소개글
""종속절로 이어진문장과 부사절로 안긴문장의 차이점에 대해서 설명하시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문장의 정의와 특성
1.2. 문장의 종류: 홑문장과 겹문장
2. 종속절로 이어진 문장
2.1. 종속절로 이어진 문장의 특성
2.2. 종속절을 연결하는 연결어미
3. 부사절로 안긴 문장
3.1. 부사절로 안긴 문장의 정의
3.2. 부사절을 나타내는 표지
4. 종속절로 이어진 문장과 부사절로 안긴 문장의 차이점
4.1. 문장에서의 역할
4.2. 위치 이동의 자유도
4.3. 문장 분리 성립 여부
4.4. 선어말어미 결합의 자유도
4.5. 주어와의 관계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문장의 정의와 특성
문장이란 생각이나 감정을 완결된 내용으로 표현하는 최소의 언어형식이다. 이는 문장이 아니고서는 머릿속의 생각이나 혹은 감정을 완전히 표현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문장은 구성상으로 주어와 서술어를 갖추어야 하며, 형식상으로 문장이 끝났음을 나타내는 표지가 있어야 한다. 문장을 구성하는 문법단위에는 어절, 구, 절이 있다. 한국어의 기본문장에서 서술어의 특성에 따라 동사 문, 형용사 문, 명사 문으로 나뉘며, 이러한 문장 중에서도 복문의 종류의 문장은 겹문장인 복문과 홑문장인 단문으로 구분된다. 겹문장은 주어와 서술어의 관계가 두 번 이상 나타나는 문장으로서, 안은 문장과 안긴 문장으로 나뉜다. 홑문장은 주어와 서술어의 관계가 한 번만 나타나는 문장이다. 이와 같이 문장의 특성은 주어와 서술어의 관계, 문장의 구조, 그리고 문장이 끝났음을 나타내는 표지 등으로 정의될 수 있다.
1.2. 문장의 종류: 홑문장과 겹문장
문장은 생각이나 감정을 완결된 내용으로 표현하는 최소의 언어형식이며, 구성상 주어와 서술어를 갖추어야 하고 형식상 문장이 끝났음을 나타내는 표지가 있어야 한다""이다. 문장을 구성하는 문법단위에는 어절, 구, 절이 있으며, 주어와 서술어의 관계에 따라 홑문장과 겹문장으로 나뉜다"".
홑문장은 주어와 서술어의 관계가 한 번만 나타나는 문장이며, 겹문장은 두 개 이상의 절로 이루어진 문장이다"". 겹문장은 두 가지 유형으로 나뉠 수 있는데, 하나는 주어와 서술어의 관계가 두 번 이상 나타나는 "안은문장(또는 안긴문장)"이고, 다른 하나는 두 개의 문장이 대등하거나 종속적으로 연결된 "이어진 문장"이다"".
안은문장은 한 문장(절)이 일정한 문장성분의 구실을 하면서 다른 문장 속에 들어가 있는 문장을 말하며, 문장 내에서의 역할에 따라 명사절, 관형절, 부사절, 서술절, 인용절로 나뉜다"". 이어진 문장은 두 개의 문장이 대등하게 연결되는 "대등하게 이어진 문장"과 앞 절과 뒤 절이 종속적으로 연결되는 "종속적으로 이어진 문장"으로 구분된다"".
2. 종속절로 이어진 문장
2.1. 종속절로 이어진 문장의 특성
종속절로 이어진 문장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종속절로 이어진 문장은 종속적 연결어미에 의해서 앞절과 뒤 절이 이어지는데, 의미가 대등하지 못해 종속적인 관계에 있는 문장을 말한다"". 대등하게 이어진 문장...
참고 자료
외국어로서의한국어학개론 교안
우리말 형태론/ 탑출판사/ 김석득 1992
학교문법론/ 월인/ 이관규 1992
서태길(2019), 「외국어로서의 한국학개론」, 진흥원격평생교육원
강희철(2008), 「학교문법의 문장 짜임새 연구」, 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권재일(2012), 「한국어 문법론」, 태학사
서태길(2017), 외국어로서의 한국어학개론, 진흥원격평생교육원
서태길(2022), 외국어로서의 한국어학개론 강의교안, 진흥원격평생교육원
남기심ㆍ고영근(2014), 표준 국어문법론, 박이정출판사
고영근ㆍ구본관(2018), 우리말 문법론, 집문당
국립국어원(2005),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문법 1, 커뮤니케이션북스
네이버 블로그 : https://blog.naver.com/ms2948/2209990272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