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수술실 케이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문헌고찰
2.1. Compression Fracture의 소개
2.1.1. Compression Fracture의 정의
2.1.2. Compression Fracture의 원인
2.1.3. Compression Fracture의 진단
2.1.4. Compression Fracture의 보존적 치료
2.2. Vertebroplasty의 소개
2.2.1. Vertebroplasty의 정의 및 적용범위
2.2.2. Vertebroplasty의 합병증
3. 개인력
4. 수술명
5. 마취방법 및 마취제
6. 수술 전 준비
7. 수술과정
8. 수술에 사용된 기계 및 기구
9. 회복실 간호 내용
10. 수술 결과
11.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수술실 실습 중에 담당교수로부터 척추성형술(Vertebroplasty)에 대한 사례를 소개받았다. 처음에는 장난으로 생각했지만, 뼈에 시멘트를 주입하는 수술이라는 설명을 듣고 이 질환과 수술에 대해 심도 있게 알아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게 되었다. 이 환자는 85세 여성으로 Compression Fracture(압박 골절)이 있어 Vertebroplasty 수술을 받았다. 이러한 배경에서 Compression Fracture와 Vertebroplasty에 대해 문헌고찰을 통해 자세히 살펴보고자 한다.
2. 문헌고찰
2.1. Compression Fracture의 소개
2.1.1. Compression Fracture의 정의
Compression Fracture의 정의는 압박력 때문에 척추뼈의 앞부분에 골절이 생기는 것이다. 척추의 골절의 한 유형으로 척추가 붕괴되어 높이가 짧아질 수 있고 뼈 조각이 척수와 신경을 압박하여 척수에 도달하는 혈액과 산소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
2.1.2. Compression Fracture의 원인
Compression Fracture의 원인은 Osteoporosis(골다공증)이 가장 흔하다. 다른 원인으로는 척추 부상(예: 자동차 사고 및 스포츠 부상)과 척추의 종양이 있다. Osteoporosis과 관련된 대부분의 Compression Fracture은 여성에게서 특히 폐경 후에 발견되고, 노인들에게서 나타난다. Osteoporosis은 골밀도가 감소하여 뼈의 강도가 낮아져서 외부의 압박력에 의해 척추체가 쉽게 부서지게 된다. 자동차 사고나 낙상과 같은 외상으로 인해 척추 부위에 충격이 가해지면 척추체가 압박되어 Compression Fracture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척추에 발생한 종양은 뼈를 약화시켜 Compression Fracture의 원인이 될 수 있다.
2.1.3. Compression Fracture의 진단
Compression Fracture의 진단은 다음과 같다.
Compression Fracture은 X-ray, Computed Tomography, Magnetic Resonance Imaging으로 진단할 수 있다. X-ray에서는 척추체의 높이가 감소한 소견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골절이 심하지 않으면 알아보기 힘들 때도 있다. Bone Mineral Densitometer 검사를 추가적으로 시행하여 Osteoporosis을 알아볼 수 있다. Bone Mineral Densitometer은 골밀도를 측정하는 기기이며, T-score 값을 보아 -1.0 이하일 경우 골다골증으로 진단한다. 따라서 Compression Fracture의 진단을 위해서는 X-ray, CT, MR...
참고 자료
서울대학교병원, http://www.snuh.org/health/nMedInfo/nView.do?category=DIS&medid=AA000789
대한정형외과학회-요추질환
골다공증성 척추 골절에서 경피적 척추 성형술, 이상구,
https://kmbase.medric.or.kr/Fulltext/09489/2003-2-2/148-154
서울아산병원,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management/managementDetail.do?managementId=213
2020년. 송경애 외. 최신기본간호학. P. 217
닥터단감 – 메디컬, 복강경 담낭절제술 수술 사진 인용
00병원 EMR
성인간호학 상권, 조경숙 외 9명 공저, 2014, 현문사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 (2012). 여성건강간호학Ⅰ,Ⅱ. 서울 : 수문사
윤혜상 (2008). 수술실환자간호. 서울 : 청구문화사
김금순, 김영숙, 최경옥, 현경선, 윤은자 (2012). 성인간호학 1. 서울: 수문사
박형주, 송철민, 허균, 전철우, 장원호, 박한규, 이석열, 이철세, 염욱, 이길노. (2003). Nuss 술식에 기초한 누두흉의 최소 침습 수술. The Korean Journal of Thoracic and Cardiovascular Surgery, 36(3), 164-174.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