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감염관리실 운영 현황
1.1. 감염관리실 운영 계획
감염관리실은 의료관련감염의 발생과 위험인자를 체계적이고 지속적으로 감시·분석하여 근거기반 감염예방 활동을 강화함으로써 보건의료 안정성 확보 및 의료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감염관리 체계화와 예방적 직원 감염관리, 감염병 관리 역량 강화를 전략으로 수립하였다.
감염관리 체계화를 위해 감염관리실을 운영하고 부서별 감염관리 리더를 구성하며, 의료관련 감염발생을 지속적으로 감시할 것이다. 직원 감염관리 및 역량 강화를 위해 직원감염관리, 감염예방 교육, 감염관리 QI 및 감염 주간 행사를 실시할 것이다.
감염관리실은 병원장 산하에 설치되며, 감염관리 위원회와 소위원회를 운영할 것이다. 감염관리실의 필수 인력은 감염내과 의사인 실장, 감염관리 전문 간호사인 팀장, 그리고 감염관리 실무 전문가인 팀원으로 구성된다. 이들은 각자의 전문성을 바탕으로 의료관련감염 감시, 감염성 질환자 관리, 의료기구의 재처리, 감염관리물품 관리, 감염관리 교육 및 상담, 환경 관리, 법정 감염병 신고, 감염관리위원회 운영, 신종 감염병 대응 등의 업무를 수행할 것이다.
감염관리실은 매년 감염관리 사업 계획서를 수립하고, 감염관리위원회를 통해 연 2회 이상 정기적으로 감염관리 활동을 점검·평가할 것이다. 또한 의료관련감염 발생률, 손위생수행률, 주사침 자상률 등의 지표를 관리하고, 개선 활동을 실시할 것이다. 이를 위해 약 1,300만 원의 예산을 투입할 계획이다.
1.2. 감염관리실 조직도
병원장은 감염관리 위원회를 총괄하며, 부원장이 소위원회를 관리한다. 감염관리실은 감염관리 실장, 팀장, 그리고 팀원으로 구성된다. 실장은 감염내과 의사로 감염관리실 총괄 업무를 담당한다. 팀장은 감염관리 전문 간호사이자 감염관리 실무 전문가로 감염관리실 총괄 업무를 수행한다. 팀원은 임상 전문 간호사이자 감염관리 실무 전문가로 의료관련감염 감시, 감염성 질환자 격리 및 관리, 유행 발생 감시 및 조사, 의료기구의 재처리, 감염관리물품 도입과 사용 관리, 감염관리 교육, 감염관리 규정 검토, 상담·자문·홍보 활동, 손위생 강화 활동, 환경 관리, 법정 감염병 신고 등의 업무를 담당한다.
1.3. 감염관리팀 인력 현황 및 자격 요건
감염관리실에는 실장, 팀장, 팀원으로 구성된 전문 인력이 배치되어 있다. 실장은 감염내과 의사로 주당 20시간 이상 감염 관련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팀장은 감염관리 전문 간호사이자 감염관리 실무 전문가로 간호학 박사 과정 중이며, 주당 40시간 이상 감염 관련 업무에 종사한다. 팀원 2인 중 1인은 임상 전문 간호사이자 감염관리 실무 전문가로 간호학 석사 학위를 보유하고 있으며, 나머지 1인은 간호사로서 감염관리 실무 전문가 자격을 갖추고 있다. 모든 감염관리 인력은 연간 16시간 이상의 전문 교육을 이수하고 있다. 이와 같이 감염관리팀은 전문성과 경험을 겸비한 인력으로 구성되어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감염관리 업무를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