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노인 대상자 1명을 선정하여 노화에 따른 신체 계통별 변화와 이로 인한 건강문제를 열거하고, 건강문제 해결을 위한 간호전략을 세워보세요"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노인 대상자의 선정과 신체 계통별 변화
1.1. 노인 대상자 선정
1.2. 노화에 따른 신체 계통별 변화
2. 건강문제와 간호전략
2.1. 노화에 따른 건강문제
2.2. 건강문제 해결을 위한 간호전략
3. 효과적인 보건교육 프로그램 개발
3.1. 교육 주제 선정 및 목표 수립
3.2. 보건교육 전략 수립
3.3. 학습지도계획 작성
4. PRECEDE-PROCEED 모형 적용
4.1. 모형의 단계별 내용 요약
4.2. 만성질환 예방 및 관리 교육 계획 적용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노인 대상자의 선정과 신체 계통별 변화
1.1. 노인 대상자 선정
노인 대상자는 65세 이상의 고령자로 선정한다. 노화에 따른 신체적, 정신적 변화로 인해 일상생활 수행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노인을 우선적으로 선정한다. 또한 만성질환이나 신체기능 저하, 경제적 어려움 등의 문제를 가진 노인을 대상자로 선정한다. 노인장기요양보험 등급을 받은 대상자 중 중등도 이상의 수준인 자를 중점적으로 선정한다. 대상자 선정 시 지역적 균형을 고려하여 서울ㆍ수도권 외 지방 거주 노인을 포함한다. 이를 통해 노인의 전반적인 건강과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1.2. 노화에 따른 신체 계통별 변화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신체 각 계통은 점진적으로 기능이 저하된다. 우선 근골격계의 경우 근력 및 근육량이 감소하고 뼈의 밀도가 낮아져 골다공증이 발병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균형 및 보행 능력이 저하되어 낙상의 위험이 높아진다. 또한 관절 가동 범위가 줄어들고 관절염이 발생하여 일상생활에서의 불편함이 증가한다.
감각기관 중 시각기관은 노화로 인해 조명에 대한 민감도가 떨어지고 초점 조절 능력이 저하되어 어두운 곳에서의 시야가 좁아지고 근거리 시력이 감소한다. 청각기관 또한 고주파 청취 능력이 떨어지고 들리는 소리의 크기가 감소하여 대화나 전화 통화 시 어려움을 겪게 된다.
순환계에서는 동맥 경화로 인해 말초 혈관의 탄성이 감소하고 혈압이 상승하며, 심장 박출량이 감소하여 운동 시 심박수의 상승이 둔화된다. 호흡계에서는 폐 탄성이 감소하고 흉곽의 유순성이 떨어져 폐활량과 호흡근의 힘이 감소한다. 이로 인해 운동 시 호흡곤란을 경험할 수 있다.
신경계의 경우 중추신경계의 정보처리 속도가 늦어지고 말초신경계의 전도 속도가 감소하여 반사 시간이 느려지고 근육의 협응 능력이 떨어진다. 또한 기억력과 집중력이 약화되며 대응 반응도 지연된다.
내분비계에서는 성호르몬의 분비가 감소하여 갱년기 증상이 나타나고, 인슐린 분비 저하로 내당능이 저하되어 당뇨병의 위험이 높아진다. 배뇨 장애와 배변 장애도 흔히 발생한다.
이처럼 노화로 인한 신체 각 계통의 기능 저하는 노인의 건강과 삶의 질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이를 예방하고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2. 건강문제와 간호전략
2.1. 노화에 따른 건강문제
노화에 따라 인체의 주요 기관 및 계통별로 다양한 건강문제가 발생한다. 첫째, 신체적 노화에 따라 근골격계 건강문제가 나타나는데, 골다공증으로 인한 골절 위험 증가, 관절염으로 인한 통증과 움직임 제한, 근력 및 균형 감소로 인한 낙상 위험 등이 대표적이다. 둘째, 순환계 노화로 인해 고혈압, 협심증, 심근경색 등의 심혈관질환과 말초동맥질환의 발병률이 높아진다. 셋째, 호흡기계 노화로 인해 만성폐쇄성폐질환, 폐렴, 결핵과 같은 호흡기 질환의 발생률이 증가한다. 넷째, 소화기계 노화로 인해 소화불량, 변비, 위·십이지장궤양 등의 소화기계 문제가 나타난다. 다섯째, 신경계 및 감각기 노화로 인해 치매,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참고 자료
보건교육. 방송대 강의안
김은정. (2019). 트램폴린 운동이 중년여성의 골다공증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학회지, 17(1), 397-403.
박재순. (1999). 중년여성의 운동실천과 건강상태에 관한 연구, 지역사회간호학회지, 10(2), 400-411.
백영미. (2022년5월26일). "초고령사회 대비 '골다공증 골절 예방 국가책임제' 필요". 뉴시스. https://newsis.com/view/?id=NISX20220526_0001886910&cID=10201&pID=10200
이금숙. (2022년5월27일). '여기저기서 부러진다'… 초고령사회 '골절 대란' 경고. 조선일보.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2/05/27/2022052701872.html
이영재. (2021년9월7일). '골다공증 골절' 초고령사회 '공공의 적'. 의협신문. http://www.doctors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40940
이윤미·박형숙. (2004). 중년여성의 운동행위 변화단계, 운동 자기효능감, 우울 및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여성건강간호학회지, 10(3), 218-225.
이근홍(2020), 노인복지론 (제2판), 지식공동체.
송성우(2020),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전달체계에 관한 비교법적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권중돈(2019), 노인복지론, 학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