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조사의 결합방식 두가지를 제시하고 예로 설명하자"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한국어 문법 교육의 과제
1.2. 문법 표현의 개념과 유형
1.3. 연구의 목적과 범위
2. 본론
2.1. 한국어 문법에서 문법 표현의 예
2.1.1. -(으)ㄹ 수밖에 없다
2.1.2. -(으)ㄹ 테니까
2.1.3. 의미, 형태통사, 화용, 관련어 정보
2.2. 선정한 문법 표현의 교수 방법
2.2.1.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활동
2.2.2. 문장, 대화, 담화 단위 연습
3. 결론
3.1. 연구 결과 요약
3.2. 한국어 문법 교육에의 시사점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한국어 문법 교육의 과제
한국어 문법은 품사론과 관련하여 한국어의 형태론, 통사론을 서술한다. 음운론과 음성학의 경우 한국어 음운론을 참고할 수 있다. 한국어 문법에서 문법 표현의 예를 -(으)ㄹ 수밖에 없다, -(으)ㄹ 테니까 이 두 가지로 선정하여 각 문법 표현에 대해 의미, 형태통사, 화용, 관련어 정보를 가르쳐야 하며, 선정한 문법 표현을 활용하여 문장, 대화 또는 담화 단위의 연습이나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등의 활동 교수 방법도 포함하여 내용을 제시해야 한다.
1.2. 문법 표현의 개념과 유형
문법 표현의 개념과 유형이다. 문법 표현은 문법 범주, 결합형, 공기 표현을 포함한다. 문법 범주에는 일부 부정 표현과 일부 사동 표현이 있다. 결합형에는 조사 결합형과 어미 결합형이 있다. 공기 표현에는 의존명사 서술어 공기, 어미와 의존명사 간의 공기, 어미 간 공기, 조사-서술어 공기가 있다. 문법 표현은 의미, 형태통사, 화용, 관련어 정보를 포함한다. 이러한 문법 표현들의 개념과 특성을 이해하는 것은 한국어 문법 교육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1.3. 연구의 목적과 범위
한국어 문법 교육에서 중요한 문법 표현 두 가지를 선정하여 각각의 의미, 형태통사, 화용, 관련어 정보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또한 선정한 문법 표현을 활용하여 문장, 대화 또는 담화 단위의 연습이나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등의 교수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한국어 문법 교육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와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2. 본론
2.1. 한국어 문법에서 문법 표현의 예
2.1.1. -(으)ㄹ 수밖에 없다
-(으)ㄹ 수밖에 없다는 반드시 뒤에 부정을 나타내는 말과 함께 사용된다. 오직 그것만을 선택할 수밖에 없음을 나타내는 조사이다. 다른 선택을 할 가능성이 없거나 그것이 유일한 선택임을 의미한다. 반드시 그 선택 이외에는 선택할 수 없는 상황이라는 것을 나타낸다.
이는 문법 범주에 속하는 표현으로 부정 표현과 사동 표현 등이 있다. 또한 조사 결합형, 어미 결합형 등의 결합형과 의존명사 서술어 공기, 어미와 의존명사 간의 공기, 어미 간 공기, 조사-서술어 공기 등의 공기 표현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 문장에서 늘 함께 쓰이는 두 언어 단위 간의 관계, 즉 일치관계, 호응...
참고 자료
『외국어로서의 한국어문법교육론』 , 배론원격평생교육원.
강현화, 이현정 외, 한국어교육 문법(자료편)
서울대학교 언어교육원, 서울대 한국어 1, 2
남성우, 언어교수이론과 한국어교육, 한국문화사, 2006
노충래. (2002). 아동 및 가해자의 특성에 따른 아동학대의 심각성 예측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아동복지학, (13), 123-154.
남경욱, & 신현기. (2008). 인지적 장애를 지난 아동을 위한 보완· 대체 의사소통 중재에 대한 메타분석: 단일대상연구를 중심으로: 단일대상연구를 중심으로. 특수교육학연구, 42(4), 193-212.
유혜령. (1997). 질적 아동연구를 위한 해석학의 방법론적 시사. 아동학회지, 18(2), 57-71.
이재경. "과학적 탐구에서 가설검증 방법고안의 사고과정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충청북도
“연역법”, 두산백과,
“귀납법”, 두산백과,
여영서 and 홍지호. (2021). 연역 논증과 귀납 논증의 구분 기준. 논리연구, 24(1), 53-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