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비만율 지역사회간호"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지역사회 간호과정
1.1. 지역사회 건강진단
1.1.1. 지역사회 건강문제의 열거
1.1.2. 지역사회 건강문제의 우선순위 결정
1.2. 지역사회 간호계획
1.2.1. 지역사회 간호목표설정
1.2.2. 방법 및 수단 선택
1.2.3. 사업 수행 계획
1.2.4. 사업 평가계획
1.3. 지역사회 간호수행
1.4. 지역사회 간호평가
2. 비만예방관리사업의 필요성
3. 비만예방관리사업의 목적
4. 비만예방관리사업의 방법 및 사례
4.1. 비만 예방의 날 캠페인
4.2. 비만 예방 프로그램
5. 결론 및 마무리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지역사회 간호과정
1.1. 지역사회 건강진단
1.1.1. 지역사회 건강문제의 열거
고혈압은 노인인구 증가로 인한 유병률 증가가 문제로 나타났다. 2018년 기준 OO시의 고혈압 유병률은 28.3%로 전국 평균에 비해 높은 편이며, 특히 남성의 유병률이 여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만성질환인 고혈압이 노령인구의 증가와 함께 지속적으로 유병률이 상승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당뇨의 경우, OO시에서는 2014년 13.0%에서 2016년 9.9%로 감소하다가 다시 2017년 11.0%로 증가하는 등 변동 폭이 크게 나타났다. 당뇨병 환자의 적절한 혈당관리와 합병증 예방을 위한 관리교육 이수율이 낮은 것으로 확인되어, 지식부족으로 인한 부적절한 혈당관리가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자살은 우울과 관련된 높은 자살 위험성이 문제로 지적되었다. OO시의 자살률은 10만명당 32.1명으로 전국 평균에 비해 높은 수준이며, 특히 아동·청소년층에서 자살 예방에 대한 필요성이 높게 나타났다.
치매의 경우, 노인인구 증가로 인한 치매 유병률 증가가 주요 문제점으로 확인되었다. 2017년 기준 OO시의 치매진단·감별검사 건수는 672건으로, 노인 인구 증가에 따른 치매환자 증가와 이에 따른 사회·경제적 비용 증가가 우려되는 상황이다.
출생아수 감소는 자녀 양육비 증가와 관련된 문제로 나타났다. 2017년 OO시의 출생아수는 1,208명으로 초저출산 현상이 지속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인구절벽 위기가 현실화되고 있다.
비만의 경우, 신체활동 실천율 감소와 관련된 비만율 증가가 문제로 나타났다. OO시의 비만율은 2014년 23.5%에서 2017년 28.1%로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으며, 이는 신체활동 저하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1.1.2. 지역사회 건강문제의 우선순위 결정
지역사회 건강문제의 우선순위 결정"은 지역사회의 다양한 건강문제 중에서 가장 시급하고 중요한 문제를 선정하는 과정이다. 건강문제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건강문제의 크기(A), 심각도(B), 사업효과(C) 등의 요소를 고려해야 한다.
먼저, 건강문제의 크기(A)는 해당 건강문제가 지역사회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예를 들어 고혈압의 유병률이 높다면 그 건강문제의 크기가 크다고 볼 수 있다.
다음으로 건강문제의 심각도(B)는 그 문제가 개인과 지역사회에 미치는 위험과 위협의 정도를 나타낸다. 자살이나 치매와 같은 건강문제는 개인과 사회에 미치는 영향이 크므로 심각도가 높다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사업효과(C)는 해당 건강문제에 대한 중재 사업이 얼마나 효과적일 것인지를 나타낸다. 어떤 건강문제는 중재 사업을 통해 개선 효과가 크지만, 다른 문제는 중재 효과가 크지 않을 수 있다.
이렇게 건강문제의 크기, 심각도, 사업효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BPRS(A+2B)+C 공식에 따라 우선순위를 결정한다. 그 결과, 고혈압, 당뇨, 정신건강, 비만, 암, 음주, 관절염, 자살, 치매, 출생아수 감소 순으로 우선순위가 도출되었다.
결국, 지역사회 건강문제의 우선순위 결정은 지역사회 간호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단계라고 할 수 있다. 지역사회의 다양한 건강문제 중에서 가장 시급하고 중요한 문제를 선정하여 체계적인 간호 중재를 수립할 수 있기 때문이다.
1.2. 지역사회 간호계획
1.2.1. 지역사회 간호목표설정
간호목표설정에서는 비만 문제에 대한 장기 목적과 단기 목적을 구체적으로 명시하였다. 장기 목적으로 "OO시 비만율을 2020년 6월 1일부터 2025년 5월 31일까지 28.1%(2017년 기준)에서 23.1%로 5% 감소시킨다."를 설정하였다. 단기 목적으로는 "1. 2020년 7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OO시 비만율을 28.1%에서 27.1%로 1% 감소시킨다. 2. 2020년 7월 1일부터 2020년 12월 31일까지 비만, 비만예방을 위해 시행되는 댄스교실 프로그램을 주 3회 실시한다."를 설정하였다. 이처럼 구체적인 수치 목표와 수행 계획을 포함하여 비만 문제 해결을 위한 체계적인 접근을 하고자 하였다.
1.2.2. 방법 및 수단 선택
비만 예방을 위한 방법 및 수단으로는 댄스교실 운영, 자전거 프로그램, 걷기 프로그램, 비만 예방 교육 등 다양한 접근 방식이 선택되었다.
먼저 댄스교실 운영의 경우, 신체활동 실천율 감소와 관련된 비만율 증가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기획되었다. 주 3회 운영되는 댄스교실에서는 스트레칭, 탭댄스, 벨리댄스, 최신 가요 댄스 등을 배우게 된다. 장소는 OO 국민 체육센터 강당으로 선정되었는데, 이 장소는 프로그램을 운영하기에 적합한 공간이 마련되어 있고 지역주민 누구나 이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대상자는 비만이거나 비만을 예방하고자 하는 주민들로, 매달 25일 선착순으로 30명씩 모집하여 총 180명이 참여할 수 있도록 계획되었다. 프로그램을 이끌어갈 인력으로는 건강증진과 직원 1명, 댄스강사 3명 등 총 4명이 투입되며, 체육복, 만족도 조사지, 음향장비, 현수막 등의 장비가 활용될 예정이다. 이를 위해 약 465만원의 예산이 편성되었다.
둘째, 자전거 프로그램 '제주 만끽'은 비만 질환자의 신체활동 실천율 증가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장소는 제주 환상자전거길로 선정되었고, 자전거 보유자와 공공자전...
참고 자료
2019 지역사회 건강통계 제주시 제주.
2019 국민건강통계;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문옥륜,강재헌,이상이,정백근,이신재,윤태호,황경화,김남순. "한국인의 비만도에 따른 비만관련질환의 유병률 증가." 예방의학회지 34.4 (2001): 309-315.
남수정, 박종호. “비만정도에 따른 우울 및 스트레스-정상체중, 비만, 고도비만 집단의 비교” 한국생활과학회지 21.6 (2012): 1199-1210.
보건복지부, ‘국제암연구소(IARC), 비만으로 인한 위험 암종 발표’, 2016-08-29.
머니투데이, ‘흡연보다 더 나쁜 것이 비만…심장질환 사망 원인 1위’, 이소현 기자, 2021-04-16.
동아닷컴, 뉴시스, ‘비만으로 사회경제적 손실 年11.4조...1인당 의료비 27만8천원 지출’, 2018-12-10.
[보건복지부 보도참고자료] 생생 속, 소소한 실천으로 비만관리 하세요! (배포일 2018-10-08).
한국건강증진개발원, 2019년 지역사회 통합건강증진사업 우수사례집.
박봉섭. (2009). 비만 중년여성을 위한 보건소 걷기운동사업 효과. 한국사회체육학회지, 35(1), 343-350.
www. facebook.com/Ygkhaenam
김병성. "자전거 이용의 건강증진 효과분석." 국립의과학지식센터, (2010)
자전거 행복나눔 홈페이지.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 비만예방운동(의자편) 및 비만토끼의 지방간 이야기 동영상, 체육건강과, 2020-11-04.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 비반예방을 위한 3가지 바른 습관, 체육건강과, 2020-05-15.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 학생 건강 증진 및 비만율 절반 줄이기 길라잡이, 체육건강과, 2016-03-08.
박지영 외, 「보건소 비만예방관리 사업 현황 및 요구도 분석」, 지역사회간호학회지, 한국지역사회간호학회, 2021
“예산군보건소, 비만 예방의 날 캠페인 운영”, 중도일보, 신언기, 2022-10-06
http://www.joongdo.co.kr/web/view.php?key=2*************308
“대구 수성구, ‘비만예방의 날’ 캠페인 실시”, 경상매일신문, 조필국, 2022-10-10
http://www.ksmnews.co.kr/default/index_view_page.php?idx=397429&part_idx=266
“강원 원주시 주요뉴스(10월 6일)”, 위클리 오늘, 김영철, 2022-10-06
http://www.weeklytoday.com/news/articleView.html?idxno=530840
“칠곡군보건소, 성인 비만 예방프로그램 참여자 모집”, 뉴데일리, 강승탁, 2022-05-02
https://tk.newdaily.co.kr/site/data/html/2022/05/02/2022050200285.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