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MRSA(메티실린 내성 황색 포도상구균) 감염 관리
MRSA(메티실린 내성 황색 포도상구균) 감염 관리는 병원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심각한 문제이다. MRSA는 황색 포도상구균 중 메티실린에 내성을 가진 균주로, 병원 내 감염의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 MRSA에 감염되면 폐렴, 패혈증 등의 중증 감염증이 발생할 수 있어 관리가 필요하다.
MRSA는 면역력이 저하된 환자나 장기간 입원한 환자, 항생제를 많이 사용한 환자 등에게서 잘 발생한다. MRSA에 감염된 환자의 객담, 창상, 혈액, 소변 등에서 균이 분리될 수 있으며, 접촉전파와 공기전파로 다른 환자에게 전파될 수 있다.
MRSA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의료진의 철저한 손위생이 필수적이다. 환자와 접촉 후 반드시 손을 씻어야 하며, 고위험 병동이나 내성균 획득 위험이 높은 환자를 진료할 때는 소독제를 사용해야 한다. 또한 MRSA 감염 환자와 비감염 환자를 분리하고, 오염된 물품을 철저히 관리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병원 직원뿐만 아니라 환자와 보호자에게도 병원감염의 위험성과 예방수칙을 교육해야 한다.
1.2. 주사침 자상 관리
주사침 자상은 의료기관에서 일어나는 감염의 중요한 원인으로 병원직원에게 가장 빈번히 발생하므로 항상 직원교육시에 주사침 자상이 자주 일어나는 원인과 예방대책 등에 대하여 강조해야 한다. 주사침에 찔림으로 인하여 전파위험이 높은 질환은 B형간염과 C형간염이 가장 크며, 백신 등 면역치료를 실시하지 않았을 때, HBs 항원 양성 환자에게 사용한 주사침에 의한 우발적인 주사침 자상에 의한 B형간염 이환율은 약 6%로 알려져 있다. 대부분의 주사침 자상은 환자에게 주사하고 난 뒤 주사침을 버리다가, 주사를 삽입하다가(환자가 협조가 안되거나 불안정할 때), 혈액을 빼내다가(혈액채취 도중), 주사 사용 후 뚜껑을 다시 씌우다가, 주사침이 들어 있는 린넨이나 쓰레기를 치우다가, 주사침을 사용한 후 정리하다가 발생하기도 한다. 이러한 주사침 자상의 예방조치는 주사침에 뚫리지 않는 통에 주사침을 버리도록 하고, 뚜껑을 다시 씌우려고 하지 않으며, 바늘을 구부리거나 자르지 않으며, 환자에게 시술 시 환자의 협조를 얻고, 환자에게 처치 시 사용한 주사침을 치울 때 주의를 기울이며, 주사침통을 환자의 주변에 가까이 설치하는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