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논리모델은 사회복지 전반에 걸쳐 매우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다. 이는 복지 프로그램의 진행 과정과 예상되는 결과를 도표화하여 나타냄으로써,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체계적으로 분석할 수 있게 해준다. 많은 복지 전문가들은 논리모델에 기반하여 다양한 복지 문제와 관련된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운영하며, 이를 통해 프로그램의 성과와 문제점을 미리 예측하고 대응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논리모델은 복지 프로그램의 근거이자 토대가 되어, 프로그램의 설득력과 타당성을 높이는데 기여한다. 따라서 논리모델은 복지 전반에 있어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의 성과를 예상하고 평가하는데 필수적인 도구라고 할 수 있다.
2. 논리모델의 개념과 특성
2.1. 논리모델의 개념
논리모델의 개념은 특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설계된 프로세스나 시스템, 애플리케이션 등이 어떻게 작동할 것인지에 대한 기대와 예측을 도표로 나타내는 것이다. 이는 문제와 욕구의 명확한 이해와 문제해결의 목표설정, 목적 달성을 위한 프로그램 활동내역 구성과 활동을 가능하게 하는 자원편성의 과정을 거쳐야 한다. 또한 논리모델에 근거한 프로그램기획은 지식에 근거하여 특정한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와 예측과정을 의미한다. 비록 논리모델이 항상 달성될 수 없지만 기대와 예측이 논리적이고 과학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처럼 논리모델은 프로그램의 기획을 도식화하여 설명하는 방식을 활용하며, 사전에 상정한대로 프로그램이 진행되었는지를 검증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2.2. 논리모델의 구성요소
투입은 프로그램에 투입되는 자원이다. 이는 인적, 재정적, 조직적, 지역사회자원 등이 포함된다. 활동은 자원을 활용하여 프로그램이 하는 일들의 통칭이다. 프로그램 목적 달성을 위해 의도적으로 행하는 과정도구, 행사, 기술 등이 이에 해당한다. 산출은 프로그램 활동의 직접적 산물이다. 프로그램이 전달하는 서비스유형, 수준, 대상 등이 여기에 속하며, 횟수, 참여자 수, 진행시간 등이 포함된다. 단기성과는 짧은 시간에 나타나는 가시적 프로그램 참여자 변화를 의미한다. 행동이나 상황의 변화 전 오는 지식이나 기술, 인식 등의 변화가 여기에 해당한다. 장기성과는 프로그램이 궁극적으로 의도하는 목표의 달성정도를 나타낸다. 프로그램참여자의 궁극적 변화 상태, 즉 장기적인 변화를 의미한다. 이와 같이 논리모델은 프로그램의 구성요소들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높이는데 활용된다.
3. 논리모델을 이용한 프로그램 평가
3.1. 형성평가
프로그램의 형성평가는 프로그램이 논리모델에 따른 개입에 의해 계획한대로 잘 이루어졌는지를 점검하는 평가이다. 프로그램의 형성평가는 주로 프로그램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정보를 바로 제공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투입, 활동, 산출에 대한 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