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의사소통 관련 qi보고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의사소통 관련 QI 보고서 개요
1.2. QI 정의 및 의료 질의 개념
2. 실습기관 QI 현황
2.1. 2022-2023년 간호부 QI 활동
2.2. 2023년 부서 QI 활동
2.3. 2022년 부서 QI 활동
3. 안전과 질향상을 위한 Contents 분석
3.1. 간호부/병동의 QI 주제 분석
3.2. QI 주제 관련 참고자료 정리
4. 실습기관/병동에 적합한 안전과 질향상 계획
4.1. 단기 목표
4.2. 중기 목표
4.3. 장기 목표
5. 실습기관/병동 적용 방안
5.1. 세부 추진 일정
6. QI 보고서 성찰
6.1. 작성 활동에서 배운 점
6.2. 성공 및 실패 요인
6.3. 느낀 점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의사소통 관련 QI 보고서 개요
보건의료기관에서 의사소통은 환자안전과 의료의 질 향상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의사와 간호사, 간호사와 간호사, 간호사와 환자 간 효과적인 의사소통은 환자 치료에 있어 필수적이며, 이는 병원 전반에 걸친 활동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에 본 QI 보고서는 실습기관의 특성을 고려하여 의사소통 향상을 위한 QI 활동을 기획하고자 한다. 특히 환자 중심 의사소통을 통해 환자 만족도 향상에 초점을 맞출 것이다. 이를 위해 실습기관의 QI 현황을 파악하고, 안전과 질향상을 위한 콘텐츠를 분석하여 실습기관/병동에 적합한 개선 계획을 수립할 것이다. 또한 이를 적용하기 위한 세부 추진 일정을 제시하고, QI 보고서 작성 활동에서 배운 점과 느낀 점을 성찰할 것이다.
1.2. QI 정의 및 의료 질의 개념
QI 활동의 개념은 처음에는 생산공장에서 제품의 질을 통제하는 것으로 시작해서(QC. Quality Control), 질을 보장하고(QA. Quality Assurance), 향상시키고(Ol. Quality Improvment), 나아가 지속적 질 관리로(CQl. Continuous Quality Improvment), 총체적 협력하여 질 관리하는 것으로 발전했으며(TQM. Total Quality Management), 최근에는 근거에 기반한 조직의 장·단기 '목표'에 따라 단위 조직별 성과를 추적하고 환류하는 성과관리를(Pl. Performance Improvment) 강조하고 있다. 의료의 질(quality)은 각 환자에 대해서 의료행위로 인한 합병증이 없이 환자와 가족의 필요성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비용 효과적이고 증명된 방법으로, 적정수준의 성취 가능한 결과를 확보하는 것으로 joint commission에서는 정의하고 있다. 또한, 의료의 질 6가지 원칙은 안전성, 효과성, 환자중심성, 적시성, 효율성, 공평성으로 정의하고 있으며, 미흡할 경우 '의료의 질이 좋지 않다."라고 한다.
2. 실습기관 QI 현황
2.1. 2022-2023년 간호부 QI 활동
간호부에서는 2022년 물품 청구 관리 개선을 통한 업무 만족도 향상을 QI 주제로 하였다. 2022년 2~3월 사전조사를 통해 비처방성 물품 중 처방 가능한 물품, 비급여 항목에서 급여 항목으로 전환되는 물품, 보건복지부 고시에 따라 수가 가능한 물품, 무수가 진료재료 중 비용절감 가능한 대처물품을 발굴하였다. 이후 4~10월 동안 비처방성 물품 중 수가 가능한 물품 청구량 모니터링, 비급여에서 급여로 전환되는 물품 청구량 모니터링, 무수가 진료재료 중 비용절감 가능한 대체물품 교체 협조 요청 및 사용현장 전달, 병동별 수가관리 진료재료 물품의 월별 사용량 공지, 수가 가능한 진료재료 물품 사용에 대한 포스터 제작 및 사용 권장 활동 등의 개선활동을 실시하였다. 11~12월 사후조사를 통해 진료재료 물품별 수가 조사 및 수익 산출, 무수가 진료재료 중 대체물품 사용에 따른 경비절감액을 산출하였다.
또한 2023년 부서 QI 활동으로 PDA 수행 문제점 개선을 통한 PDA 사용 활성화를 실시하였다. 3~4월 사전조사에서 현행 PDA 수행률 및 사용만족도, PDA 수행 문제점을 파악하고, 5~8월 PDA 수행 관련 업무 매뉴얼 개발, PDA 사용률을 높이기 위한 포스터 제작 등의 개선활동을 전개하였다. 9월 사후조사를 통해 PDA 수행률과 사용만족도를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2022년 부서 QI 활동으로는 입원 간호 업무 개선을 통한 환자, 간호사 만족도 및 간호업무 효율성 향상을 실시하였다. 3~5월 사전조사에서 수속 경로별 입원 간호 소요 시간, 입원 간호에 대한 사전 환자 만족도 및 간호사 만족도를 조사하고 원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4~8월 E동 병동 위치안내문 제작, 사전 간호정보조사지 출력물 제작, 입원 간호 매뉴얼 개발 및 활용 등의 개선활동을 전개하였다. 사후조사를 ...
참고 자료
이정화 외 4명, 환자의 신뢰만족도 향상을 위한 간호사의 의사소통 전략, 한국학술지인용색인, 2017
한슬기 외 2명, 간호 대학생의 시뮬레이션 교육 프로그램의 통합적 고찰-환자 및 보호자와의 의사소통을 중심으로, 2021
입원환자의 입원경험 만족도 향상 활동 [2021년 QI 우수 사례 발표]
https://www.youtube.com/watch?v=KS1PFrWStXg
세브란스 환자경험여정
https://www.youtube.com/watch?v=WpBtsSkxsso
건강보험심사평가원, QI 뉴스레터, https://www.hira.or.kr/main1.do
김명수 외, 투약오류예방 시스템 구축에 따른 환자안전문화와 환자안전행위계획, 성인간호학회지, 2015;27(1):1-10.
김미예 외, 아동건강회복간호, 수문사, 2018
김준규 외, 임상간호사의 투약오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경북대학교 간호학과, 2021
서울대학교병원 간호본부장 이경이, 바코드/RFID 도입을 통한 오류개선 및 업무효율 향상, 한국의료질향상학회, 2019
송수연, 영아 목순 앗아간 ‘투약 오류’ 사고 예방하려면..., 청년의사, 2022.05.09.
http://www.docdocdoc.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22811
신나라, "약물 50배 초과" 제주대병원 투약 오류, 코로나 영아 사망, 여성조선, 2022.04.29., http://woman.chosun.com/news/articleView.html?idxno=97615
양금덕 기자, 부산대병원, PDA 활용한 환자안전관리시스템 구축, 청년의사, 2018.03.17.,
http://www.docdocdoc.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53628
여혜숙, “투약오류 사고 막으려면, 안전한 시스템 구축해야”, 현대건강신문, 2022.11.11.,
http://www.hnews.kr/news/view.php?no=60523
이성주 외, 응급실에 내원한 소아 환자를 대상으로 한 자동화 약 처방 프로그램의 효용성, 가천대학교 길병원 응급의학교실, 대한응급의학회지, 2012
조윤주, 중환자실 간호사의 환자안전관리 활동의 중요성 인식 및 수행, 2012, p49
청년의사, 예방 가능한 환자안전사고 ‘투약오류’ 줄이려면?, 2021.05.14.
http://www.docdocdoc.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10618
서문경애 외. 간호관리학. 제 2판. 서울 현문사; 2020.
김종래. “병동에서의 전문인력간 업무협력에 대한 의사 및 간호사의 인식”. 한양대학교. 209. 56p
이임선, “병원 간호사와 의사의 갈등관리유형과 의사소통능력 및 협력 간의 관계”. 건양대학교. 2017
가천대 길병원. https://www.gilhospital.com/web/www/ho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