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영유아 안전사고 기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영유아 안전사고 이해
1.2. 안전교육의 중요성
2. 영유아 안전사고 사례
2.1. 장난감 삼킴 및 삽입사고
2.2. 낙상 및 추락사고
3. 영유아 안전교육 방법
3.1. 설명 및 시연
3.2. 토의
3.3. 문제해결
3.4. 역할놀이
3.5. 모델링
3.6. 시뮬레이션
4. 안전교육 활동 계획
4.1. 장난감 삼킴 예방
4.2. 낙상 사고 예방
5. 결론
5.1. 안전교육의 필요성
5.2. 영유아 안전 확보 방안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영유아 안전사고 이해
안전은 위험이 없고 평안한 상태를 뜻하며 여러 가지 재해로부터 인간이 안전한 상태에 놓여있는 것을 의미한다. 안전은 인간이 가지고 있는 가장 기초적인 욕구 중 하나이지만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인간은 스스로의 의지와는 관계없이 예측하기 어려운 사건, 사고, 재해, 재난을 겪게 된다. 이처럼 기술이 발전하고 생활이 편리해질수록 인간은 스스로의 의지와는 관계없이 안전사고를 겪을 위험에 노출되어있기 때문에 안전교육 등의 대비책 등을 통해 안전한 생활을 유지하고자 한다. 특히 발달 초기에 있는 영유아들은 자기조절능력, 위험을 감지하는 능력이 매우 부족하기 때문에 성인의 보호는 물론, 영유아가 자기 자신을 위험으로부터 지킬 수 있는 문제 해결 능력, 대처 능력, 방어적인 자세와 생활습관을 가질 수 있는 교육이 철저히 시행되어야 한다. 최근에는 가정에서 양육되는 영유아보다 어린이집, 유치원 등의 보육기관에서 하루의 많은 시간을 보내는 영유아의 비중이 절대적으로 높은 만큼 보육기관에서는 영유아가 최대한 안전한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환경과 여건을 제공하며 영유아가 위험을 감지하고 자신을 보호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해주는 안전교육이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이전에는 영유아에 대한 보육, 보호, 안전교육에 대한 책임이 주로 각 가정에 있었지만 이제는 보육기관에서 영유아의 건강한 발달과 성장을 위한 포괄적인 영역의 교육을 담당하게 되었고 안전교육 역시 그 범위 안에 들어가는 중요한 교육이라고 할 수 있다.
1.2. 안전교육의 중요성
안전교육의 중요성이다. 영유아는 자기조절능력과 위험 감지 능력이 부족하기 때문에 성인의 보호는 물론, 문제 해결 능력과 대처 능력, 방어적인 자세와 생활습관을 기를 수 있는 안전교육이 철저히 시행되어야 한다. 최근 가정보다 보육기관에서 시간을 보내는 영유아가 많아졌으므로, 보육기관에서는 영유아가 최대한 안전한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환경과 여건을 제공하며 안전교육을 제공해야 한다. 과거에는 영유아의 보육, 보호, 안전교육에 대한 책임이 가정에 있었지만 이제는 보육기관에서 포괄적인 영역의 교육을 담당하게 되었고 안전교육 또한 중요한 교육이 되었다.
2. 영유아 안전사고 사례
2.1. 장난감 삼킴 및 삽입사고
장난감 삼킴 및 삽입사고는 최근 코로나19로 인해 영유아들이 가정에서 보내는 시간이 많아지면서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2017년에서 2019년까지 한국소비자원의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에 접수된 장난감 관련 위해정보를 분석한 결과 60%가 넘는 위해정보가 가정에서 발생한 사고라고 밝혀졌다. 가정에서 발생하는 장난감 안전사고의 95%가 넘는 비율이 14세 미만의 아동에게서 발생했으며, 특히 5세 미만의 영유아에게 발생한 사고는 80%가 넘었다.
안전사고의 유형은 비비탄, 풍선, 구슬 등을 입, 코, 귀 등의 신체 부위에 넣어서 일어나는 삼킴사고, 삽입사고가 50%를 넘었다. 삼킴 사고와 삽입 사고는 3세 미만의 영아에게 일어난 사고 중에서는 40%를 초과했으며, 3세부터 8세에 해당하는 유아에게 발생한 사고 중에서는 60%가 넘었고, 8세부터 14세 미만의 아동 사고 중에서는 40%를 초과했다.
특히 여자아이들은 구슬, 남자아이들은 조립완구나 블록 등을 가지고 놀다가 삼킴사고, 삽입사고가 자주 일어나므로 아이들이 입으로 삼키거나 신체부위에 넣을 만한 장난감을 가지고 놀 때는 보호자의 계속된 주시가 필요하다. 또한 장난감을 구매할 때도 안전한 제품을 구매하고 파손 여부를 정기적으로 점검해야 한다.
이처럼 영유아들의 장난감 삼킴사고와 삽입사고는 상당히 위험한 상황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보호자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영유아의 발달 특성상 자기조절능력과 위...
참고 자료
최경아, 영유아 안전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운영 실태 및 방해요인 분석, 호남대학교 대학원 석사 논문, 2018.
연합뉴스, 이신영, “"가정 내 장난감 안전사고 주의하세요"…영유아 삼킴 사고 빈번”, https://www.yna.co.kr/view/AKR20200422136100030?input=1195m, 2020.04.23.
이영진 기자. 22.5.30. 대교‘트니트니’, 낙상 사고 발생...피해부모 “모든 것이 피폐해져”. 더리브스.
전정미기자. 기저귀 교환대‘추락’사고 다발... 영유아 뇌진탕 주의. 컨슈머치, 23.8.25
기사출처: 아이들 가장 많이 다친 장소는?...안전사고 유의, KBS News, 2022.05.06
아동안전관리 통합교안
브릿지경제. 2021.09.15. 박자연기자.
http://www.viva100.com/main/view.php?key=202109150100043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