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대학교보건교사의 활동
1.1. 목표 및 기본방침
1.1.1. 목표
대학교보건교사의 활동에 있어서 목표는 다음과 같다. 학교보건교육 강화를 통해 학생과 교직원의 건강관리 능력을 강화한다. 일상생활에서 건강을 위한 행동을 생활화하는 태도를 육성하여 학교로서 보건교육 및 건강증진 활동을 통해 구성원의 건강증진을 도모한다. 학생들의 대부분의 시간을 학교에서 보내며 선생님의 지도에 따라 학교생활을 하므로 건강하고 안전한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학교보건요원의 활동을 강화한다. 보건 및 건강에 대한 정확하고 풍부한 지식을 제공하고, 건강한 생활을 할 수 있도록 자기 건강관리 능력을 길러준다. 학생 건강검사는 정확하게 실시하고, 그 결과에 따라 적절한 제반 조치를 취한다. 체계적인 보건교육으로 학생 스스로 건강한 생활습관을 갖도록 지도한다. 유관 보건의료 단체와의 긴밀한 유대로 적극적인 학교보건 사업을 수행한다.
1.1.2. 방침
학생들은 하루의 대부분 학교에서 보내며 선생님의 지도에 따라 학교생활을 하므로 건강하고 안전한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학교보건요원의 활동을 강화한다.
보건 및 건강에 대한 정확하고 풍부한 지식을 제공하고, 건강한 생활을 할 수 있도록 자기 건강관리 능력을 길러준다.
학생 건강검사는 정확하게 실시하고, 그 결과에 따라 적절한 제반 조치를 취한다.
체계적인 보건교육으로 학생 스스로 건강한 생활습관을 갖도록 지도한다.
유관 보건의료 단체와의 긴밀한 유대로 적극적인 학교보건 사업을 수행한다.
1.1.3. 중점추진내용
실천내용은 보건교육 내실화, 성고충 상담업무, 학생 건강검사 및 추후 관리, 보건실 운영 및 응급환자 관리, 감염병 예방관리, 안전공제회 관련 업무이다. 보건교육 내실화를 위해 보건교육 1개 학년 16차시 이상 운영하고, 성교육 학년별 14차시 이상 의무 실시한다. 성고충 상담업무를 연중 구성원을 대상으로 진행한다. 학생 건강검사 및 추후 관리는 신체발달상황 및 건강조사, 1,2학년 건강검진, 3학년 별도검사 등을 실시한다. 보건실을 연중 운영하며 응급환자를 관리한다. 감염병 예방관리를 위해 감염병 예방교육을 실시하고 발생 시 신고 및 대응한다. 안전공제회 관련 업무를 연중 진행한다.보건교육 내실화를 통해 자기 건강관리 능력을 향상시키고 건강한 생활습관을 형성한다. 성고충 상담업무는 구성원의 고충에 대한 상담, 조언 및 처리 등을 진행한다. 학생 건강검사 및 추후 관리로 질병의 예방 및 치료를 통해 건강한 학교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한다. 보건실 운영과 응급환자 관리로 적절한 건강상담과 즉각적인 응급처치를 제공한다. 감염병 예방관리를 통해 감염병 발생을 최소화하고 확산을 예방한다. 안전공제회 관련 업무로 사고 발생 시 보상 등의 행정적 조치를 취한다.
1.2. 학생건강관리 세부 추진내용
1.2.1. 연간계획표
학생들의 건강관리를 위해 매년 세부적인 계획을 수립한다. 보건교육, 건강검사, 감염병 예방관리, 응급의료 관리체계 등 학생들의 건강과 관련된 전반적인 사항을 정기적이고 체계적으로 관리한다.
보건교육은 성교육, 장애인식 개선교육, 흡연·음주 등 약물 오·남용 예방교육, 심폐소생술 교육 등을 연중 실시하고, 학부모와 교직원에 대한 교육도 병행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