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스콜라철학 인물비교
1.1. 토마스 아퀴나스의 『신학대전』
토마스 아퀴나스의 『신학대전』은 13세기 스콜라 철학의 완성자로 불리는 그의 대표적인 저서이다. 이 책은 신의 존재를 증명하고, 선악의 문제와 현실적인 문제들을 고민하며 철학적인 견해를 담고 있다.
『신학대전』은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1부는 신에 대한 문제를 다루며, 다섯 가지 논증을 통해 신의 존재를 증명한다. 악은 선의 결핍이라는 틀에서 윤리학을 전개하고, 법의 위계를 세 가지로 규정하여 이성과 양심이 이끄는 삶을 추구한다. 2부는 인간론에 대한 내용으로, 인간의 정체성과 영혼, 자유의지, 인간관계 등을 다룬다. 3부는 그리스도론으로, 예수 그리스도와 구원, 교회에 대한 문제를 다룬다.
토마스 아퀴나스는 신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을 통해 경험과 이성을 사용하여 이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또한 당시 신앙이라는 이름으로 사람들을 강제로 종교에 복속시키던 교조주의자들과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을 절대적으로 숭배하던 급진 아리스토텔레스주의자들 사이에서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는 신앙과 이성의 조화로운 공존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신학대전』에서 토마스 아퀴나스는 신의 존재를 다섯 가지 논증으로 증명한다. 첫째, 세상의 운동과 변화를 초래한 최초 원인으로서 부동의 원동자, 둘째 인과관계에서 제 1 원인, 셋째 동시에 절대필연으로 무의존적 자립적 존재, 넷째 선한 완전한 존재, 다섯째 최고의 지성적 존재로서 신이 존재함을 논증한다. 이를 통해 토마스 아퀴나스는 신에 대한 맹목적인 믿음을 강조하거나 강요하기보다는 경험과 이성을 사용하여 이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또한 『신학대전』에서는 선악의 문제와 현실적인 문제들도 다루고 있다. 악은 선의 결핍이라는 틀에서 윤리학을 전개하였고, 내세적 신앙과 현실 사이에서 실존적 행복의 문제를 고민하였다. 더불어 법의 위계를 세 가지로 규정하여 이성과 양심이 이끄는 삶을 추구하였다. 이를 통해 토마스 아퀴나스는 윤리학과 행복론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펼치고자 하였다.
『신학대전』은 당시에 통용되던 여러 이론과 해석을 제시하고, 토마스 아퀴나스 본인의 반론을 통해 이들의 오류를 지적하며 논박을 마무리한다. 이를 통해 독자들은 토마스 아퀴나스의 철학을 이해할 수 있으며, 신 존재 증명의 다섯 가지 논증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신앙과 이성의 공존에 대한 그의 주장을 바탕으로 그의 철학을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다.[1]
1.2. 철학의 주요 논점과 사상가
1.2.1. 신의 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