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벨마비 케이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벨마비 증상 및 특성
2.1. 정의
2.2. 원인
2.3. 증상
3. 진단 및 치료
3.1. 진단
3.2. 일반적 치료 방법
3.3. 한방 치료
4. 간호 관리
4.1. 안면 근육 기능 저하로 인한 안구 건조 위험성
4.2. 안면마비로 인한 불편한 생활
5. 사례 연구
5.1. 대상자 정보
5.2. 건강 정보
5.3. 증상 및 검사 소견
5.4. 간호 문제 확인 및 간호 과정 적용
6. 고찰 및 결론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벨마비는 말초성 얼굴신경 마비로, 얼굴의 근육을 움직이는 안면신경의 기능에 문제가 생겨 갑자기 얼굴 마비가 발생하는 질환이다. 얼굴 근육의 마비로 인해 이마에 주름을 잡을 수 없고, 눈을 완전히 감을 수 없으며, 마비된 입꼬리가 늘어지고, 음식물이나 침이 새어나오는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벨마비의 원인은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대부분 바이러스 감염이나 자가면역 반응에 의한 신경염으로 추정되고 있다. 매우 흔한 질환으로 인구 10만 명당 8명~240명의 발병률을 보이며, 연간 3,000명 이상이 발병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벨마비는 특징적인 임상 증상으로 진단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영상검사나 신경전도 검사를 추가로 시행할 수 있다. 대부분의 환자는 자연 회복이 되지만, 초기 치료가 늦거나 증상이 심한 경우에는 후유증이 남을 수 있다. 따라서 스테로이드나 항바이러스 제제 등의 약물 치료와 함께 안면근육 관리, 눈 보호 등의 관리가 중요하며, 한의학적 치료법도 활용될 수 있다.
2. 벨마비 증상 및 특성
2.1. 정의
벨마비는 말초성 얼굴신경 마비로, 얼굴의 근육을 움직이는 안면신경의 기능에 문제가 생겨 얼굴 마비가 생기는 것이다. 얼굴이 마비되어 이마에 주름을 잡을 수 없고, 눈이 감기지 않으며, 마비된 쪽의 입이 늘어지고, 물을 마시거나 음식을 먹을 때 마비된 쪽으로 새어 나오게 된다. 간혹 마비된 쪽에 신경통과 같은 통증이 있는 경우도 있다.
2.2. 원인
벨마비 케이스의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다.
대부분의 말초성 안면신경마비는 벨마비(Bell's palsy)에 속하는 특발성 안면신경마비이다. 뚜렷한 원인을 찾을 수 없으나 바이러스 감염 혹은 신경염에 의한 마비로 추측된다. 이 외에도 람세이헌트증후군(Ramsay Hunt's syndrome)에 의한 안면신경마비가 많은데 이는 대상포진(herpes zoster) 바이러스에 의한 마비로 통증이 매우 심하며 수포가 발생한다. 길랭-바레 증후군(Guillain-Barre syndrome) 또한 안면신경마비를 일으키는 요인이 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원인이 명확하지 않지만 자가면역 장애를 원인으로 추정하고 있으며 대칭성의 상행성 운동마비, 심부건반사 저하 및 소실 등이 특징적으로 나타난다. 그밖에 급성 중이염, 외상이나 수술 등으로 안면신경이 손상된 경우, 신경종양으로 안면신경이 압박된 경우, 멜커슨-로젠탈 증후군(Melkersson-Rosenthal Syndrome), 유육종증(sarcoidosis), 라임병(Lyme disease), 뫼비우스 증후군(Moebious Syndrome) 등의 질병과 관련된 안면신경장애가 있고 유전적 원인(선천성 VI, VII 뇌신경 장애)에 의해서도 안면신경마비가 발생한다. 또한 차가운 곳에 노출되어 혈류에 장애가 발생하여 안면근육이 마비되기도 한다.
2.3. 증상
벨 마비 증상 및 특성
마비가 발생하기 전 귀 뒷부분에 통증이 있을 수 있다. 이마에 주름을 잡기가 어렵다. 눈을 감기가 어렵고, 눈물이 많아지거나 적어질 ...
참고 자료
윤은자 외.(2021) 수문사 성인간호학2
경희대학교한방병원 안면마비센터
http://www.khuoh.or.kr/face/03/02_01.php
강동경희대학교한방병원 안면마비센터
http://km.khnmc.or.kr/face/paralysie/paralysie.jsp
Meg Gulanick 외, 2019,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현문사.
서울아산병원 질환백과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763
조경숙 외(2014), 『제6판 성인간호학 하권』, 현문사
삼성서울병원 건강칼럼
자생한방병원 한방의학정보
대한한의학회 표준한의학용어집 2.0
전상희 외 공저, 기초경락경혈학, 현문사, 2010
김금순 외 공저, 성인간호학 II, 수문사, 2017
김금자 외 공저,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현문사, 2012
http://www.khmcpharm.com/ 경희의료원 약제본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