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청소년 개별상담에서 인간중심 상담이 갖는 의의는 청소년의 자아성장과 자발적인 문제해결 능력을 촉진시킨다는 점이다. 청소년기는 외부의 평가와 기대에 민감한 시기로, 상담자가 청소년을 평가하거나 지도하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인 긍정적 존중과 공감을 통해 청소년 스스로 해답을 찾도록 돕는 인간중심 상담이 적합하다.
인간중심 상담은 상담자와 내담자의 신뢰관계 형성을 중요시하며, 상담자가 무조건적 긍정적 존중, 공감적 이해, 진정성 등 핵심적인 태도를 제공함으로써 내담자가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러한 접근법은 청소년이 자신을 이해하고 변화의 동기를 내재화할 수 있도록 하여, 자아성장과 자율성 증진에 기여한다.
또한 인간중심 상담은 관계 형성, 문제 탐색, 변화와 성장의 단계로 진행되며, 비지시적 반영, 열린 질문, 요약 등의 기술을 활용한다. 이를 통해 청소년이 자신의 감정과 경험을 있는 그대로 탐색하고, 스스로 해결책을 찾아나갈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인간중심 상담은 청소년의 자율성과 자기결정 능력을 강화하여 보다 주도적이고 책임감 있는 삶을 살 수 있도록 도와준다는 점에서 청소년 상담에 매우 효과적인 접근법이라고 할 수 있다.
2. 본론
2.1. 인간중심 상담의 주요 개념
2.1.1. 무조건적 긍정적 존중
무조건적 긍정적 존중이란 상담자가 내담자를 어떠한 평가나 판단 없이 그대로 수용하는 태도이다. 이는 청소년들이 상담자에게 신뢰를 느끼고,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예를 들어, 청소년이 상담에서 자신의 감정이나 고민을 털어놓을 때, 상담자가 이를 비판하거나 평가하지 않고, 그 자체를 존중하는 태도를 보일 때 청소년은 더욱 솔직하게 자신의 내면을 탐색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청소년들은 자신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게 되고, 상담자와의 신뢰 관계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담자의 무조건적 긍정적 존중은 청소년 내담자가 보다 자유롭게 자신을 표현하고, 상담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이끄는 핵심적인 요소이다.
2.1.2. 공감적 이해
공감적 이해는 상담자가 내담자의 입장에서 그의 감정을 이해하고, 이를 표현하는 것을 의미한다. 공감적 이해는 내담자가 자신의 감정과 경험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여지고 있다는 느낌을 갖도록 하며, 이를 통해 내담자는 자신을 탐색하고 성장할 수 있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