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토양오염"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토양오염의 특징과 문제점
1.1. 토양오염의 정의와 특징
1.2. 토양오염의 원인
1.3. 토양오염의 환경적 영향
2. 토양오염 관리와 대책
2.1. 토양오염 예방 대책
2.2. 토양오염 정화 기술
2.3. 토양오염 모니터링과 관리 체계
3. 농업에서의 토양오염 문제
3.1. 농약 사용의 장단점
3.2. 화학비료와 염류집적 문제
3.3. 축산 활동과 토양오염
4. 지속가능한 토양환경 보전
4.1. 유기농업과 친환경 농법
4.2. 토양오염 복원과 생태계 복원
4.3. 토양 보전을 위한 정책과 제도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토양오염의 특징과 문제점
1.1. 토양오염의 정의와 특징
토양오염이란 인간의 활동으로 인해 토양에 유해물질이 유입되어 토양의 본래 기능이 훼손되고 물질의 이동성이 나빠지는 현상이다. 토양오염은 장기간에 걸쳐 작물 오염 및 지하수 오염을 유발하여 생태계는 물론 사람의 건강과 생활환경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또한 오염된 토양은 자정작용이 어려워 정화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된다. 토양은 대기나 수질에 비해 오염물질에 대한 반응이 복잡하고 다양하게 나타나는 특징이 있다. 토양오염은 축적성 오염으로 과거부터 누적된 것까지 정화해야 하고, 피해가 늦게 나타나는 장기 지속성을 가지고 있어 회복이 어려운 경우가 많다.
1.2. 토양오염의 원인
비료 과다 사용에 의한 염류집적이다. 농사를 지으면서 수확량을 늘리기 위해 화학비료를 많이 사용하게 되는데, 농작물이 이용하는 비료 성분의 양이 높지 않아 상당량의 비료 성분이 토양 속에 남게 된다. 이렇게 토양에 축적된 염류로 인해 염류집적 현상이 일어나며, 심한 경우 작물이 말라 죽는 현상까지 발생한다.
유류에 의한 토양오염이다. 우리나라에는 약 20,000여 개의 주유소, 기름 저장탱크 등이 존재하는데, 이러한 저장 시설이 노후화되면 파이프 연결 부위나 저장 탱크가 깨져 기름이 새어 나와 토양을 오염시키게 된다. 새어 나온 기름은 토양 중의 기공을 막아 토양 생태계를 마비시킨다. 군부대의 정비창, 비행장 등도 기름 오염원으로 거론된다.
유독물질에 의한 토양오염이다. 화학공장과 같이 유해물질을 생산하거나 저장하는 공장의 경우, 유해 화학물질의 누출로 인해 토양이 오염될 수 있다. 이러한 독성 물질로 인해 토양 생물이 죽게 되고 토양이 오염된다. 또한 농약 등의 사용에 의한 토양생물의 사멸과 토양 잔류도 토양오염의 원인이 된다.
광산폐기물에 의한 토양오염이다. 우리나라에는 약 900여 개의 폐광산이 있는데, 일제강점기부터 지하에 있는 광석을 캐내고 광석 찌꺼기를 광산 주변에 방치해왔다. 이 찌꺼기에는 각종 유해 중금속이 들어 있어 심각한 토양오염을 유발하고 있다.
대기 및 수질오염 물질에 의한 토양오염이다. 배출된 대기오염물질이 공기 중을 떠돌다 빗물에 씻겨 토양으로 유입되거나, 수질오염물질이 토양으로 유입되어 토양을 오염시킨다. 특히 공단 주변이나 공장 주변에서 심각한 토양오염이 발생한다. 산성비 문제도 대기오염물질에 의한 토양오염의 한 유형이다.
폐기물(쓰레기)에 의한 토양오염이다. 과거부터 사람들이 버린 폐기물들이 토양 속으로 들어가서 분해되고 다시 식물에 이용되는 등의 순환을 해왔지만, 최근에는 많은 쓰레기와 유독물질이 배출되어 토양을 오염시키고 있다.
방사성 물질에 의한 토양오염이다. 원자력 발전이나 핵연료 재처리 과정, 원자력 시설 운용, 핵폭탄 실험, 원자력 시설 사고 등으로 인해 방사성 물질이 주변 환경으로 방출되어 토양을 오염시킬 수 있다.
1.3. 토양오염의 환경적 영향
토양오염은 토양의 본래 기능을 훼손하여 물질의 이동성이 나빠지고 장기간에 걸쳐 작물 오염 및 지하수 등의 수질오염을 유발한다. 이는 생태계는 물론 사람의 건강 및 생활환경에 여러 가지 악영향을 미친다. 오염된 토양은 자정작용이 어렵고 정화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수반된다.
토양오염으로 인해 유해물질이 토양 중에 잔류하게 되면 토양생태계가 변화되고 ...
참고 자료
박용하 ‧ 박상열 ‧ 양재의, “토양오염실태조사 및특정토양오염관리대상시설 부지 등에서 토양오염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환경정책의 고찰”, 환경정책연구, 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06,
박가영, “토양오염관리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2012
서산시, 올해부터 지하수 총량관리제 시행(서산태안신문)y
지역사회보건간호학 편찬위원회2019), 『최신 지역사회보건간호학 2』. 수문사
유혜정(2020), 『지역사회간호학』. 에듀팩토리
환경보전협회, https://www.kepaedu.or.kr/index.do
환경부, http://me.go.kr/home/web/main.do
전지영, 「[연구보고] 오염토양 복원기술 및 시장동향」, 『환경및설비』, 대림기술정보, 2002.가을호
이민효, 「토양 · 지하수 오염이 다가오고 있다.(토양 · 지하수 오염문제의 현향과 향후 전망)」, 『환경보전』, 환경보전협회, v.22 no.9/10 , 2000년
농약에 대한 이해, 안전정보, 농촌진흥청
https://psis.rda.go.kr/psis/cont/contentMain.ps?menuId=PS00318
‘한국형 스마트팜 기술’로 농업한류 날개 편다, 이은원, 영농자재신문, 2021.11.11.
권경석, 「ICT 융복합 기술을 이용한 축산 스마트팜 연구 개발 및 추진 현황」, 『환경보전』, 환한국농공학회, vol.59,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