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Rotator cuff수술"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Rotator cuff 수술의 개요
1.2. Rotator cuff 수술의 필요성 및 중요성
2. 문헌고찰
2.1. Rotator cuff 수술의 정의
2.2. Rotator cuff 수술의 원인
2.3. Rotator cuff 수술의 병태생리
2.4. Rotator cuff 수술의 증상
2.5. Rotator cuff 수술의 진단검사
3. 대상자 사정 및 관찰
3.1. 임상적 진단
3.2. 영상 진단
4. Rotator cuff 수술의 치료
4.1. 보존적 치료
4.2. 수술적 치료
5. Rotator cuff 수술 후 간호
5.1. 수술 후 재활 운동
5.2. 금기사항
5.3. 간호중재
6. 결론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Rotator cuff 수술의 개요
상완골과 견갑골로 이루어진 어깨 관절을 감싸고 있는 4개의 근육(극상근, 극하근, 소원근, 겹갑하근)과 힘줄을 회전근개라 한다. 이들 근육은 어깨 관절의 회전 운동을 돕고 상완골두와 견갑골의 중심을 유지하여 어깨 관절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퇴행성 변화, 외부의 충격, 반복적인 사용 등으로 인해 회전근개의 손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를 회전근개 수술이라 한다. 회전근개 수술은 통증 감소와 운동 기능 회복을 위해 시행되며, 특히 극상근 건의 파열이 가장 흔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수술 후 재활 운동과 적절한 관리가 중요하며, 이를 통해 재발을 방지하고 일상생활로 복귀할 수 있다.
1.2. Rotator cuff 수술의 필요성 및 중요성
회전근개 수술의 필요성 및 중요성
회전근개 수술은 중년을 포함한 노인 어깨 통증의 가장 흔한 원인 중 하나이다. 최근 노령인구의 증가와 함께 발생빈도가 높아지고 있으며, 초음파와 MRI 등의 영상 기술 발달로 진단율도 높아지고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통계에 따르면 회전근개 파열로 병원을 방문한 환자수는 매년 약 5,000명씩 증가하고 있어, 이에 대한 체계적인 학습과 관리가 필요하다.
회전근개는 어깨 관절을 회전할 수 있도록 돕는 기능을 하고, 상완골두와 견갑골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부위에 퇴행성 변화, 외부 충격, 반복적인 동작 등으로 인해 회전근개가 손상되면 움직임에 장애가 생기고 통증이 유발된다. 따라서 적절한 시기에 치료를 받지 않으면 기능 장애가 지속되고 일상생활에 큰 불편을 초래할 수 있다. 특히 극상근 파열이 가장 흔하며, 치료 후에도 재발이 잦은 특징이 있어 체계적인 재활치료가 필요하다.
오십견으로 오인하여 방치하다가 치료 시기를 놓치는 경우가 많으므로, 어깨 근육통이 있는 경우 적절한 시기에 병원을 방문하여 진단과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 회전근개 수술은 보존적 치료에도 증상이 호전되지 않거나, 외상 후 근력 저하가 갑자기 발생하는 경우, 파열의 크기가 크거나 기능장애가 심한 경우에 고려되며, 대부분 80-90%의 성공률을 보인다. 따라서 회전근개 수술은 어깨 통증과 기능 장애를 해결하고 일상생활을 회복하는데 매우 필요하고 중요한 치료법이라고 할 수 있다.
2. 문헌고찰
2.1. Rotator cuff 수술의 정의
회전근개 수술의 정의
회전근개는 어깨 관절을 감싸고 있는 4개의 근육(극상근, 극하근, 소원근, 겹갑하근) 및 힘줄이다. 이들은 어깨 관절을 회전할 수 있도록 돕는 기능을 하고 상완골두와 견갑이 중심에 잘 위치하게 해 안정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회전근개 수술은 이 회전근개에 퇴행성 변화, 외부의 충격, 반복적인 충격 등으로 인해 하나 이상의 근육 및 힘줄이 손상되어 움직임에 장애가 생기고 통증을 유발하는 경우에 시행하는 수술이다. 특히 가장 상부에 있는 극상건이 흔하게 파열되며, 이는 치료 후에도 재발이 잦은 질환이다. 따라서 회전근개 수술은 회전근개의 손상으로 인한 기능 저하와 통증을 해결하기 위해 시행하는 수술이라 할 수 있다.
...
참고 자료
서울아산병원, Rotator cuff syndrome,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569
서울대학교병원, MRI,
http://www.snuh.org/board/B021/view.do?bbs_no=3648&searchKey=all&searchWord=&pageIndex=1
송경애 외(2020), 최신 기본간호학Ⅱ, 수문사, 999~1004
윤은자 외(2021), 성인간호학 1, 수문사, 552~562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
윤은자 외 공저(2019), ‘성인간호학Ⅰ’, 수문사, p340-341
윤은자 외 공저(2019), ‘성인간호학Ⅱ’, 수문사, p1006-1011
이시욱(2007), ‘회전근개 질환의 병리, 병태 생리 및 자연 경과’,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재활의학교실·보라매병원 재활의학과, p62
건강신문 헬스데일리, ‘오십견인줄 알았는데, 알고 보니 회전근개파열?’, http://www.khtm.co.kr/news/articleView.html?idxno=224
‘AO Foundation Surgery Reference’, https://surgeryreference.aofoundation.org (사진)
‘상완신경총 마취에 대해서’, https://hypnozzz.tistory.com/11 (사진)
‘Double Row Rotator Cuff Repair Using Y-Knot® RC and PopLok® ConMed Animation’, https://youtu.be/VqiySElGYyQ (사진)
구글 이미지, https://www.google.com/?&bih=600&biw=639&safe=vss&hl=ko (사진)
황옥남 외 공저(2019), 성인간호학 (하), 현문사, p.358
서울아산병원 질환백과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5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