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아동 급성비인두염 부비동염 간호과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2. 질환에 대한 문헌고찰
2. 간호과정 적용
2.1. 대상자의 건강력
2.2. 검사 및 치료과정
2.3. 간호과정
2.3.1. 간호사정
2.3.2. 간호진단
2.3.3. 간호목표
2.3.4. 간호계획
2.3.4.1. 약물적 계획
2.3.4.2. 비약물적 계획
2.3.5. 간호수행
2.3.6. 간호평가
3. 결론 및 느낀점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소아청소년기는 호흡기 감염이 가장 흔한 질환이며, 그중 인두염은 특히 다양한 합병증을 동반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인두염 환아의 간호과정을 적용하여 효과적인 간호중재를 모색하고자 한다.
호흡기 감염이 빈번한 소아청소년기에 인두염은 매우 중요한 질환이다. 인두염은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하며 중이염, 부비동염, 인두후부농양 등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간호중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두염 환아에 대한 간호과정을 적용하고 효과적인 간호중재를 모색하고자 한다.
1.2. 질환에 대한 문헌고찰
인두염은 바이러스나 세균 등의 감염에 의해 인두에 염증이 생긴 경우를 말한다. 인두강 내의 염증은 림프조직의 비대를 초래하며, 비대된 구개편도는 중심선에서 맞닿아 연하곤란과 호흡곤란을 유발한다. 삼출물로 인해 구강호흡을 하게 되고 구강 점막이 건조해지며 목의 통증이 일어난다. 주로 피로 및 과로, 열성질환, 과도한 온도 차이, 체질허약과 면역저항성을 감소시키는 질환 등으로 인해 발병한다.
인두염은 다양한 병원체에 의해 발병되는데, 바이러스성과 세균성으로 나눌 수 있다. 바이러스성 인두염의 경우 아데노바이러스가 가장 흔한 원인이며, 세균성 인두염의 경우 A군 베타 용혈성 연쇄상구균이 가장 흔한 원인이다. 세균성 인두염은 대개 2세 이하의 소아에서는 흔하지 않고, 성인과 접촉이 많아지면서 빈도가 증가하므로 유치원이나 학교생활을 시작하면서 빈도가 현저히 늘어난다.
바이러스성 인두염의 경우 비교적 서서히 진행되며 결막염, 코감기, 쉰소리, 기침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반면 연쇄상구균성 인두염은 갑자기 발병하고 두통과 발열이 있으며 어린 아동에서는 복통도 나타날 수 있다. 편도와 인두에 염증이 생기고 발병 2일 경에 삼출물이 작은 황백색의 점상 소포와 위막을 형성하며 압통이 있는 경부 림프절 비대를 보인다. 연쇄상구균성 감염은 4~7세 아동에서 흔하고, 2세 미만의 아동에게는 드물지만 질병의 경과가 더 심하다.
인두염의 진단은 임상증상과 인두 배양검사를 통해 이루어진다. 세균성 인두염을 진단하기 위해 인두 부위에서 검체를 채취하여 배양한다. 또한 신속항원 검출검사를 통해 수 시간 내 결과를 얻을 수 있지만 민감도가 낮아 배양검사와 함께 시행해야 한다. 합병증으로는 중이염, 부비동염, 인두 후두부 및 편도 주위 농양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치료는 질환의 원인에 따라 달라진다. 바이러스성 인두염의 경우 대증요법으로 열과 통증을 완화시키고 충분한 휴식과 수분섭취를 하도록 한다. 반면 연쇄상구균성 인두염의 경우 항생제 투여가 필요하며, 주로 페니실린 계열의 항생제를 10일 이상 투여한다. 항생제 투여 후 24시간 이내에는 다른 사람에게 전파될 수 있으므로 유치원이나 학교에는 보내지 않는 것이 좋다. 또한 항생제 투여 기간을 정확히 준수하도록 하여 합병증 예방에 유의해야 한다.
...
참고 자료
서울대학교병원, N의학정보-급성인두염[http://www.snuh.org/health/nMedInfo/nView.do?category=DIS&medid=AA000164]
퍼시픽 간호학 개념서, 아동간호학, “상기도감염-급성 인두염”, p.229~231
아동간호학 각론, 엘스비어 현문사, “상기도감염-급성인두염”
성인간호학1 제 9판, 수문사, 임상진단검사와 임상적의의 표
급성 인두염 –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https://www.pediatrics.or.kr/bbs/index.html?code=disease_info
서울대학교 어린이병원-진료질환정보-급성인두염 http://child.snuh.org/health/nMedInfo/nView.do?category=DIS
네이버 지식백과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급성인두염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926739&cid=51007&categoryId=51007
대한민국 의약품 약학정보원, ‘약물참조’ https://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0030A0583
[급성인두염 환자에서 분리된 A군 연쇄구균의 Erythromycin 및 Clindamycin 내성 표현형 및 유전자형 조사], 대한진단검사의학회, 고은하 김선주, 2004.
● [급성 상기도 감염에서 항생제 처방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임상약학회, 강혜경, 2012.
박충선, 김미희, 김은영, 김은주, 박수아, 서지영 외(2018). 아동건강간호학I. 퍼시픽북스.
박순옥, 윤로사, 윤영숙, 정미영, 홍정주, 김산옥 외(2019). 성인간호학I. 퍼시픽북스.
김순희(2021). 아동간호학 실습II 지침서
드러그인포 ( www.druginfo.co.kr )
박충선 외 공저 (2020) 아동건강간호학Ⅰ,Ⅱ. 퍼시픽북스
권소희 외 공저 (2021) 핵심 건강사정(수정판). 수문사
성미혜 외 공저 (2021) 간호과정의 적용(비판적 사고 기반). 수문사
차영남 외. (2013). NANDA 간호진단과 중재가이드 제3판. 현문사.
[네이버 지식백과] 급성 인두염 [acute pharyngitis]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26739&mobile&cid=51007&categoryId=51007
[네이버 지식백과] 급성 인두염 (세브란스병원 건강칼럼, 세브란스병원).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103927&cid=51003&categoryId=51022
대한감염학회 소아 급성 상기도 감염의 항생제 사용지침 20
http://www.ksid.or.kr/rang_board/list.html?code=notice4&num=26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