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은거울반응실험 레포트"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실험 목적
1.2. 실험 원리
1.2.1. 질산은 용액과 암모니아수의 반응
1.2.2. 환원과 환원성
1.2.3. 포도당의 환원성
1.2.4. 물중탕 반응
1.2.5. 도금
2. 실험 기구 및 시약
3. 실험 과정
4. 실험 결과
5. 고찰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실험 목적
질산은(AgNO3)과 암모니아(NH3)의 화학적 반응을 이용하여 알데하이드의 환원성을 확인하고, 이를 통해 은 코팅 현상을 관찰하는 것이 이 실험의 목적이다.
이 실험에서는 질산은 용액에 암모니아수를 가하면 수산화은(AgOH)이라는 갈색 앙금이 생성되다가 계속해서 암모니아수를 가하면 물에 잘 녹는 은 착이온(Ag(NH3)2+)이 형성되어 투명한 용액이 된다. 여기에 포도당 용액과 수산화나트륨 용액을 넣고 물중탕 반응을 하면 알데하이드의 환원성으로 인해 은이 환원되어 시험관 벽면에 은 코팅이 발생한다. 이러한 은거울 반응을 통해 알데하이드의 환원성을 확인할 수 있다.
질산은 용액에 암모니아수를 가하면 AgOH(s) 갈색 앙금이 생성되고, 여기에 더 많은 암모니아수를 가하면 Ag(NH3)2+(aq) 착이온이 형성되어 투명한 용액이 된다. 이 착이온과 포도당 용액 및 수산화나트륨 용액이 반응하면 알데하이드(R-CHO)가 산화되어 카르복실산(R-COOH)이 되고, 동시에 Ag(NH3)2+가 환원되어 금속 은(Ag)이 석출된다. 이러한 은거울 반응을 통해 알데하이드의 강한 환원성을 확인할 수 있다.
이 실험에서는 질산은 수용액, 암모니아수, 포도당 용액, 수산화나트륨 용액 등의 시약을 사용하며, 시험관을 활용한 실험 과정을 거친다. 특히 물중탕 반응을 이용하여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은 코팅이 잘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를 통해 알데하이드의 환원성을 확인하고, 은거울 반응 현상을 관찰할 수 있다.
1.2. 실험 원리
1.2.1. 질산은 용액과 암모니아수의 반응
질산은(AgNO3) 용액에 암모니아수(NH4OH)를 가하면 수산화은(AgOH)이라는 갈색 앙금이 생성된다. 여기에 계속해서 암모니아수를 가하면 물에 잘 녹는 이온(착이온)이 만들어져 투명한 용액이 된다. 이는 질산은이 은 이온을 제공하고 암모니아수가 산화은을 침전시키기 때문이다. 암모니아수가 더해지면 수산화은이 암모니아와 반응하여 [Ag(NH3)2]+이라는 착이온이 생성된다. 이 착이온은 중심 금속 이온인 은 이온과 리간드인 암모니아가 배위 결합한 형태이다. 착이온이 형성되면서 갈색 앙금이 사라지고 투명한 용액으로 변화한다. 따라서 질산은 용액에 암모니아수를 천천히 넣으면 갈색 앙금이 생성되다가 투명한 용액으로 변화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1.2.2. 환원과 환원성
환원과 환원성
환원은 산화의 역반응으로, 일반적으로 수소가 가해지거나 산소를 잃는 경우 또는 전자를 얻었을 때를 말한다. 산화와 환원 반응은...
참고 자료
https://prezi.com/wmlldnxy7cul/presentation/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johnlion77&logNo=140192834731&widgetTypeCall=true
http://m.blog.naver.com/kinkigu/150189317678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959397&cid=47312&categoryId=47312
https://kin.naver.com/qna/detail.nhn?d1id=11&dirId=1115&docId=107570913&qb=66y87KSR7YOV&enc=utf8§ion=kin&rank=5&search_sort=0&spq=0&pid=TJoDaspVuEVsstPwtbVssssssph-038963&sid=6ivbrVOtT5sB%2BnMKWeBV2A%3D%3D
https://kin.naver.com/qna/detail.nhn?d1id=11&dirId=1115&docId=251378226&qb=66y87KSR7YOV&enc=utf8§ion=kin&rank=4&search_sort=0&spq=0&pid=TJoDaspVuEVsstPwtbVssssssph-038963&sid=6ivbrVOtT5sB%2BnMKWeBV2A%3D%3D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housemil&logNo=60023387030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145497&cid=40942&categoryId=32269
https://ko.wikipedia.org/wiki/%EC%95%8C%EB%8D%B0%ED%95%98%EC%9D%B4%
EB%93%9C
5주차 수소 제법 이론 강의 동영상, 배윤경, 2021.
화학교재연구회, 『줌달의 일반화학 제10판』, CENGAGE, p.149
https://www.11st.co.kr/products/pa/3748065908?gclid=CjwKCAjw7--KBhAMEiwAxfpkW
Lg6BdddRbqLCv2El3TzTY7bVKsxXDko3NGiixFcnh9pFEhfyZrvvBoCWjwQAvD_BwE&utm_term=&utm_campaign=%B0%CB%BB%F6%3E%B1%B8%B1%DB%BC%EE%C7%CE%3E%BE%C6%B8%B6%C1%B8&utm_source=%B1%B8%B1%DB_PC_S_%BC%EE%C7%CE&utm_medium=%B0%CB%BB%F6 2021.10.06. 검색.
화학교재연구회, 『줌달의 일반화학 제10판』, CENGAGE, p.1083
네이버 지식백과, ‘은 거울 반응’의 정의
네이버 지식백과, ‘알데하이드’ 의 정의
네이버 위키백과, ‘은거울 반응’ 반응식 사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