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녹내장 낙상위험성"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녹내장 병인론
2. 녹내장 임상증상
3. 녹내장 치료
3.1. 보존적 치료
3.2. 수술적 치료
4. 녹내장 환자 간호
4.1. 건강증진
4.2. 자기돌봄
5. 녹내장 환자 간호진단
5.1. 안압상승과 관련된 급성통증
5.2. 시력저하와 관련된 낙상위험성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녹내장 병인론
녹내장은 섬유주(trabecular meshwork)와 쉴렘관의 폐쇄로 방수 유출이 저하되어 안압이 상승되는 것이다. 안압이 상승되면 망막세포(retinal ganglion cell)와 시신경이 위축되어 시력상실과 시야결손이 나타난다. 녹내장의 주요 원인은 안압 상승으로 인한 시신경의 손상이다. 시신경 손상이 진행하는 기전으로, 안압 상승에 의해 시신경이 눌려 손상된다는 기전과, 시신경 혈류에 장애가 생겨 시신경의 손상이 진행된다는 두 가지 기전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아직까지 녹내장을 유발하는 정확한 원인은 밝혀져 있지 않으며, 이를 밝히기 위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녹내장의 가족력이 있거나, 평소 안압이 높은 경우, 또는 고혈압, 당뇨병, 심혈관 질환 및 근시를 가진 사람에게서 발병률이 높다.
2. 녹내장 임상증상
개방각 녹내장의 임상증상이다. 개방각 녹내장은 녹내장 중 가장 흔한 형태로, 전방각이 정상이지만 섬유주와 쉴렘관의 막힘으로 인한 방수의 흐름장애로 안압이 서서히 상승한다. 초기에는 특별한 자각 증상을 느끼지 못하다가 안압이 24mmHg 이상으로 상승하면 초승달 모양의 암점이 나타난다. 시신경유두부가 함몰되거나 컵 모양으로 변하면서 점진적으로 시야결손이 나타나며, 심하면 시야가 좁아져서 터널 시야가 나타난다. 녹내장이 지속되면 둔한 통증이 있고 어두메 적응이 어려워지며 색의 변화를 감지하지 못한다.
폐쇄각 녹내장의 임상증상이다. 전방각의 폐쇄는 섬유주와 쉴렘관이 방수흐름을 차단하여 안압이 급격하게 상승하게 되며, 급격한 안압상승은 망막과 시신경세포 손상을 초래한다. 전형적으로 편측만 일어나지만, 폐쇄각 녹내장의 병력이 있으면 다른 쪽 눈에 발생할 위험성이 높다. 동공확장이 방수흐름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어둠이나 정서적 발작 또는 동공을 확장시킬 수 있는 요인들과 관련하여 발생한다. 폐쇄각 녹내장 환자들은 전형적인 녹내장 증상을 보이기 전 몇 시간 동안 간헐적인 증상을 보이는데, 이러한 증상이 있을 때에는 아트로핀이나 산동제 또는 산동효과가 있는 약물투여는 피하는 것이 중요하다. 급성에서는 오심과 구토를 유발할 정도로 심한 눈의 통증, 시력 감소, 동공의 확대와 고정됨, 광원주위의 달무리, 결막발적, 뿌연 각막이 나타나고 안압이 갑작스럽게 50mmHg 이상 상승한다. 안압이 24~48시간 이상 상승되어 있으면 영구적인 시력상실이 발생할 수 있다.
선천성 녹내장과 속발성 녹내장의 임상증상이다. 선천성 녹내장은 태생기에 전방, 각막, 홍채의 발달 이상 때문에 나타나는데, 뿌연 각막, 눈물, 눈부심, 안검경련, 우각의 확장으로 눈이 파란색으로 커져 보인다. 속발성 녹내장은 외상이나 수술 등으로 수정체의 위치가 잘못되거나 열상, 좌상 등으로 부종이 발생하여 방수 흐름의 장애로 나타난다.
정상 안압 녹내장의 임상증상이다. 원발성 개방각 녹내장과 같이 우각이 정상이고 안압이 정상범위에 있으면서 시신경의 기능이 저하되고 주변 시야가 감소한다.
3. 녹내장 치료
3.1. 보존적 치료
약물은 안압을 조절하고 시력을 보전하는 효과가 있다. 약물은 국소적이나 전신으로 투여되며 방수의 흐름을 증가시켜 방수 형성을 줄이는 방법으로 안압을 낮춘다. 약물 선택은 방수형성을 억제하는 베타아드레날린차단제와 탄산탈수효소억제제를 포함한다. 프로스타글란딘 효능제는 포도공막의 방수흐름을 증가시킨다. 축동제는 동공을 수축시켜 방수흐름을 높인다. 따라서 약물요법은 안압을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
참고 자료
윤은자 외(2019). 성인간호학 Ⅱ. 수문사.
원종순 외(2018).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제2판. 현문사.
정순용. "자조집단 참여여부에 따른 건강증진행위에 관한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09. 서울
고성희 외. “정신간호 진단과 중재.” 수문사, 2022. 경기
네이버 지식백과.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국가건강정보포털. 녹내장 [glaucoma].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6507662&cid=51004&categoryId=51004. (22. 10. 26)
네이버 지식백과.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녹내장 [glaucoma].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926951&cid=51007&categoryId=51007. (22. 10. 26)
네이버 지식백과. 세브란스병원 건강칼럼. 녹내장 - 시신경 파괴로 시야가 좁아지는 안과 질환.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6508670&cid=63166&categoryId=51022. (22. 10. 26)
서울아산병원. 건강정보, 질환백과. 녹내장(Glaucoma).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152. (22. 10. 26)
서울아산병원. 의료정보, 안과 질환 백과. 녹내장. https://www.amc.seoul.kr/asan/depts/oph/K/bbsDetail.do?menuId=1266&contentId=152848. (22. 11. 03)
약학정보원. 의약품 상세정보. 노바스크정 5mg Norvasc Tab. 5mg. https://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BBBBB0949. (22. 10. 26)
약학정보원. 의약품 상세정보. 다이아벡스엑스알서방정 500mg Diabex XR Tab. 500mg. https://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OOOOO8208. (22. 10. 26)
약학정보원. 의약품 상세정보. 모티리톤정 Motilitone Tab. https://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2011051800003. (22. 10. 26)
약학정보원. 의약품 상세정보. 무코스타정 Mucosta Tab. https://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4270A0014. (22. 10. 26)
약학정보원. 의약품 상세정보. 신일티아민염산염정 10mg. https://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2070B0018. (22. 10. 26)
약학정보원. 의약품 상세정보. 알파간피 점안액 0.15% Alphagan P eye drops 0.15%. https://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MMMMM1139. (22. 10. 26)
약학정보원. 의약품 상세정보. 울트라셋세미정 Ultracet Semi Tab. https://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OOOOO7488. (22. 10. 26)
약학정보원. 의약품 상세정보. 잘라탄 점안액 50μg/mL (1회용) (0.2mL) Xalatan Eye Drops 50μg/mL (single use) (0.2mL). https://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BBBBB0924. (22. 10. 26)
약학정보원. 의약품 상세정보. 케이캡정 50mg K-CAB Tab. 50mg. https://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2018070600004. (22. 10. 26)
약학정보원. 의약품 상세정보. 하이로손정 Hyroson Tab. https://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PPPPP0919. (22. 10. 26)
의학신문. 녹내장 진단을 위한 검사① 시야검사. http://www.bosa.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80777. (22. 11. 04)
헬스조선. 안약도 투약 순서 있어… 녹내장 안약은? [이게뭐약].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2/06/03/2022060302027.html. (22. 10. 31.)
Nursing Skills. 불안해하는 대상자와의 의사소통 (Communication with Anxious Patients). https://www.els-nursingskills.kr/SkillContent/IndexLearning/5297. (22. 11. 04)
Nursing Skills. 불안 [정신간호] (Anxiety [Mental Health]). https://www.els-nursingskills.kr/SkillContent/IndexLearning/4963. (22. 11. 04)
김금순 외 (2012). 성인간호학 상·하, 현문사.
김정애, 장은정 (2009). NANDA 간호진단별 간호중재 가이드북, 수문사.
김종임 외 (2018). EBN 기본간호학 Ⅰ,Ⅱ, 수문사.
민석식 외 (2009). 병태생리학 6판, 바이오사이언스.
박은영 외 (2017).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현문사.
박정숙 외 (2016). 성인간호학 Ⅰ, Ⅱ. 현문사, 엘스비어 코리아.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ttp://www.snuh.org/
이향련 외 (2010). 성인간호학 Ⅰ,Ⅱ, 수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