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외과 급성 담낭염 정의와 증상
담낭은 간의 오른쪽 아래에 위치한 작은 가지 모양의 주머니로, 담즙을 농축하여 저장하고 있다가 십이지장으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외과 급성 담낭염은 담석, 수술 후 협착, 종양 등의 원인으로 인해 담낭 배출이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차단되면서 세균 감염이 발생하여 담낭벽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이다. 급성 담낭염의 주요 증상은 오른쪽 윗배의 국소적인 압통, 오심, 구토, 발열 등이며, 특징적으로 머피징후라고 불리는 현상이 관찰된다. 담낭 벽이 비후되고 담낭이 부어오르는 등의 객관적 징후도 나타나게 된다. []
1.2. 외과 급성 담낭염의 원인과 진단
담낭염은 담낭벽의 염증을 말한다. 그중 급성 담낭염은 담석, 수술 후 협착, 종양 등의 원인으로 인해 담낭관이 완전 혹은 불완전하게 막혀 발생한다. 이로 인해 혈류나 담관을 통해 장내 세균이 담즙 내에 증식하면서 담낭에 염증이 생기게 된다. 대체로 담낭염의 90% 이상은 담석으로 인해 발생한다. 그 외에도 외상, 선천성 기형, 당뇨병, 기생충 감염 등과 관련이 있다. 담석이 담낭관 입구를 막으면 담낭벽에 염증이 시작되고 담즙이 정체되며, 이차적으로 세균이 감염되어 염증이 발생한다. 주요 세균으로는 대장균, 포도상구균, 연쇄구균, 폐렴간균 등이 있다. 급성 담낭염의 약 5~10%에서는 수술 중에도 담석이 발견되지 않으며, 이들 중 약 50%는 염증의 원인이 불분명하다. 급성 담낭염의 임상 양상이 나타나지만 담석이 확인되지 않는 경우가 많고, 다른 중증 질환을 동반하고 있는 경우도 많아 일반적인 담석증에 비해 진단과 치료가 어렵다.
1.3. 외과 급성 담낭염의 치료 방법
외과 급성 담낭염의 치료는 금식 유지, 항생제 투여, 수액 보충 등의 내과적 관리와 더불어 담낭절제술을 시행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급성 담낭염 환자는 발견된 세균에 효과적인 항생제를 투약하며, 때로는 앰피실린, 설파제, 아미노글리코사이드와 같은 항생제를 복합적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특히 당뇨병이나 쇠약한 환자에게 복합 항생제 투여가 더욱 효과적일 수 있다. 만성 담낭염의 내과적 관리로는 저지방 식이, 체중감량, 미주신경차단제, 진정제, 제산제 투여 등이 있다. 그러나 내과적 관리만으로 효과가 없는 경우 담낭절제술을 시행한다. 담낭절제술은 불안정한 협심증, 심각한 경동맥 질환, 울혈성 심주전증, 간경화증 등 고위험 상태의 환자에게는 위험성이 높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