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쿠르드족 특징과 역사 및 분리운동 분석"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쿠르드족의 특징과 역사
2.1. 기원과 초기 역사
2.2. 고전시대와 중세시대
2.3. 근대와 현대 역사
3. 쿠르드족의 분리운동
3.1. 분리운동의 전개
3.2. 주요 사건과 결과
3.3. 분쟁의 원인과 영향
4. 쿠르드족의 현재 상황
4.1. 정치적 현황
4.2. 경제적 현황
4.3. 국제관계
5. 결론
5.1. 쿠르드족 분리 독립의 전망
5.2. 쿠르드 원유 개발과 한국의 대응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쿠르드인은 중동에 거주하는 대표적인 소수민족이다. 약 3,000만 명으로 추산되는 쿠르드인들은 터키, 이라크, 이란, 시리아 등 여러 국가에 걸쳐 거주하고 있다. 이들은 자신만의 고유한 역사, 언어, 문화를 지니고 있지만 오랜 기간 동안 주변 국가들로부터 차별과 탄압을 받아왔다. 쿠르드인들은 자신들의 정체성을 지키기 위해 끊임없이 분리 독립을 추구해왔지만, 여러 국가의 이해관계가 복잡하게 얽혀 있어 실현되지 못하고 있다. 최근 이라크 내 쿠르드 자치정부(KRG)의 부상과 시리아 내전 과정에서의 쿠르드족 역할 등으로 쿠르드 문제가 다시 주목받고 있다. 이 보고서에서는 쿠르드족의 특징과 역사, 분리운동의 전개 과정, 현재 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이들의 처지와 향후 전망을 알아보고자 한다.
2. 쿠르드족의 특징과 역사
2.1. 기원과 초기 역사
쿠르드족은 메소포타미아 비옥한 초생달 지역의 북쪽 산악지대에 살았던 토착민들이 인류 최초의 농경문화를 시작했음이 고고학적 발굴로 증명되었다. 이들의 영향으로 탄생한 것이 수메르 문명이며 메소포타미아 문명이다. 메소포타미아 문명이 발생하면서 북쪽 산악지대에 부족별로 촌락을 이루고 살았던 민족들은 경제, 정치적인 이유로 메소포타미아 사람들과 계속된 충돌이 있었고 그들 보다 발달된 문명인들에게 시달림을 받게 되었다. 그러나 메소포타미아 문명의 영향으로 도시국가를 형성할 수 있었고 어느 정도 정치체제를 갖출 수 있었다. kummuhu, melidi, gurgum, ungi, kamanu, kasku, nairi, shupria, urkish, mushku, urartu, namar, saubaru, qurtie, mardu, lullubi, kardu, zamua, ellipi, manna, qutil 등이 당시에 존재했던 도시국가들이다. 이 도시국가 중에 쿠틸(Qutil)이 강력해져서 여러도시국가를 점령하고 왕조(BC 2250-2120)를 건립하였으며 남부의 아카드 왕국과 수메르 왕국에 침입하여 수메르 비문에 그 이름이 기록되기도 하였다. 기원전 653년까지 바빌론 사람들이 쿠르디스탄 전역에 살았던 사람들을 쿠틸이라 불렀던 것도 이 당시 쿠틸의 세력이 막강했음을 보여준다. 또 중요한 국가로는 만나(Manna)국인데, 만나의 정치형태가 민주주의 형태를 띤 사실이 중요하다. 이것은 지금까지 알려져있던 그리스의 민주정치 형태보다 훨씬 앞 선 것이다. 왕의 권력이 원로회의에 의해 제한되었다. 메소포타미아와의 잦은 전쟁으로 많은 쿠르드 도시 국가가 파괴되었고 쿠틸인들이 노예로 잡혀가고 강탈당하였다. 이때 아리얀족의 침입이 있었다. 기원전 1200-900년 사이에 계속해서 아리얀족의 이주가 있었고 쿠틸인들을 비롯한 산악민족들은 아리얀화되었다. 쿠틸인으로 불린 산악민족과 아리얀족이 함께 동화되어 형성된 새로운 아이덴티티를 가진 사람들이 기원전 727년에 메데왕국 형성하였고 전 중동을 정복하였다. 이때 니느웨를 비롯해서 바빌론 등 성경에 멸망이 예언된 국가들이 파멸되었다. 세 번째 왕 Cyaxares the Great키악사레스 (624-585)가 니느웨를 정벌(BC 612)하였고 앗시리아를 무너뜨렸다. 이때 사용된 군사전술이 '카라'라고 불린 게릴라를 이용한 전술이었다. 지금은 '페슈메르가'라고 불린다. 마지막 왕인 Rshti-vega Azhi Dahak(584-549)는 아들이 없어서 그의 딸을 페르시아 장군에게 주었고 그들 사이에서 난 외손자 가 메데-파샤제국을 세운 키루스(Cyrus, 구약성서의 고레스)왕이다. 메대제국의 권좌는 이제 페르시아 아케메니드조에게 넘어가게 되었다. 마지막 왕의 통치기에 천사숭배가 초기 조로아스터교의 태동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조로아스터교의 마기(사제)제도가 소개된 것이 바로 이 때이다. 조로아스터교도들은 마지막 왕 Azhi Dahak을 악마로 보았다. 그래서 여전히 아즈다학은 쿠르드 야르산 종교를 믿는 자들에 의해 원래이름은 없어지고 술탄 싸학(Sultan Sahak)으로 숭배된다. 쿠틸인들이 아리얀화된 이후에 현재의 이란적인 문화로 바뀌었다. 그 전에는 현대의 그루지야와 같은 코카서스 문화가 지배적이었다. 현대 쿠르드에 남아있는 메데인의 흔적은 지명에 붙은 mah 또는 mai이다. 이것은 메데를 뜻한다.
2.2. 고전시대와 중세시대
고전시대에 들어서면 쿠르드족은 헬레니즘 시대와 쿠르드 공국시대, 로마의 확장기를 거쳤다. 헬레니즘 시대에 알렉산더 대왕의 동방 정복 이후 오리엔트 지역에서 헬라와 오리엔트 문화가 융합되어 헬레니즘 문화를 창출하였고, 이 시기에 그리스와 로마의 역사가들이 이 지역을 방문하여 쿠르드인들을 카르두치나 쿠르티로 언급하였다.
파르티아제국이 성립되면서 쿠르드족은 연방국 안에서 반독립을 이루게 되었고, 정치와 종교 분야에서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였다. 주요 쿠르드 공국으로는 Adiabene, Pontus, Cappadocia, Commagene 등이 있었다. Adiabene은 BC 1세기에 많은 귀족들이 유대교로 개종하였고, AD 4세기까지 이 지역의 대부분이 기독교로 개종하였다. Pontus, Cappadocia, Commagene 공국들은 그 세력이 팽창하여 에게해 지역까지 진출하였다.
중세시대에 들어서는 쿠르드족이 이슬람을 받아들이면서 이슬람 세계의 일원으로 융합되었고, 이슬람 문화 창달에 크게 이바지하였다. 7세기 이슬람 발흥기에 3대 칼리프 우마르의 이란 정복으로 쿠르드 지역이 이슬람에 편입되었다. 이후 우마이야 왕조와 압바스 왕조의 아랍제국을 거쳐 셀죽과 오스만 제국의 지배하에 놓였다. 1...
참고 자료
◎ 공지현, 쿠르드족 민족주의 운동, 중동연구, 제18권 2호, 1999
◎ 박은홍, 미국의 중동전략과 쿠르드 민족문제
◎ 박종평, 쿠르드족 문제와 갈등, 중동연구, 2001
◎ 이희수, 터키 쿠르드족의 분리주의 운동, 중동연구, 1995
◎ 역사교육자 협의회, 채정자 역, 세계사 밖의 세계사 100문 100답(중동, 아프리카), 서울 : 비안, 1994
◎ 장병옥, 쿠르드족 배반과 좌절의 역사 500년
세계정세를 읽는 모임, 『지도로 보는 세계분쟁』, 이다미디어, 2005.
이봉원, 『중동 쿠르드족 정치운동』, 양서각 , 2010
장병옥, 『중동분쟁과 이슬람』, 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 , 2009.
장병옥, 『쿠르드족 배반과 좌절의 역사 500년』, 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 , 2005.
김승호, “쿠르드족, 그들은 누구인가”,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 &mid=sec&sid1=117&oid=078&aid=0000005087
연합뉴스, “<기획탐구> 지구촌 화약고, 분쟁지역 현황 ⑥쿠르드족”, http://news.naver. 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01&aid=0001396673
mmgoon “쿠르드 지역과 역사” http://geology.tistory.com/136.
이라크 사태 속에서 주목받는 쿠르드(http://bluemovie.tistory.com/646)
쿠르드족 분리운동’KIDA 세계분쟁 데이터 베이스, 한국국방연구원)
다음 블로그 (http://blog.daum.net/costmgr/8487)
쿠르드족 민족주의 운동 - 기원과 전개 양상을 중심으로, 공지현
쿠르드, 배반의 역사는 되풀이 되고, 김종일, 2007, 진보적지사종합지_월간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