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지역사회 현황
1.1. 지리적 특성
연제구의 지리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부산광역시의 중심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동쪽으로는 해운대구, 서쪽으로는 부산진구, 남쪽으로는 수영구와 남구, 북쪽으로는 동래구와 접한다. 연제구에는 부산광역시청을 비롯한 다수의 공공기관이 밀집해 있어 행정 중심지로 기능한다. 구의 중심지인 연산로터리에는 중앙로, 반송로 등 주요 간선도로가 방사상으로 뻗어 있으며, 이를 따라 시가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부산 도시철도 1호선과 3호선이 연산역에서 교차하는 등 교통 인프라가 잘 구축되어 있다. 구의 북서부를 온천천이 흐르며 동래구와의 경계를 이루고 있고, 서쪽에는 금정봉, 금용산 등 낮은 구릉성 산지가 분포한다. 이처럼 연제구는 부산 중심부에 위치하고 교통과 의료, 행정 인프라가 잘 갖춰진 도시 지역이다.
1.2. 인구학적 특성
연제구의 총 인구는 205,700명이며, 이 중 여성은 105,938명, 남성은 101,330명으로 나타난다. 전출 인구는 31,557명, 전입 인구는 27,647명으로 인구 증가율은 -1.63%로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고령 인구율은 15.36%로 전국 평균보다 높은 수준이며, 사망자 수는 연간 1,129명이다. 이에 따른 인구 십만 명당 자살률은 23.2명이다. 결혼은 연간 1,030쌍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인구 천 명당 종사자 수는 410.56명, 교원 1인당 학생 수는 17.83명이다. 유치원 원아 수는 1,787명, 초등학교 학생 수는 9,425명이다. 전반적으로 연제구는 고령 인구 비율이 높고 인구 증가율이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1.3. 사회경제적 특성
연제구는 부산광역시의 중심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주요 행정기관과 법조타운이 밀집해 있는 부산의 행정 중심지이다. 이에 따라 지역 내에는 다양한 의료기관과 편의시설이 많이 분포하고 있어 주민들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육거리인 연산교차로를 중심으로 주요 간선도로와 지하철이 잘 연결되어 있어 교통이 편리한 편이다. 최근에는 연산교차로 일대의 유흥업소들이 정리되면서 의료기관이 늘어나 연제구가 부산의 의료중심지로 거듭나고 있다. 이처럼 연제구는 편리한 교통망과 우수한 의료 인프라를 바탕으로 사회경제적 수준이 높은 편이며, 이는 지역 주민의 건강수준 및 삶의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1.4. 환경적 특성
연제구는 부산광역시 내에서 도시개발이 잘 이루어진 지역이다. 총 주택 수가 66,327호이며, 대부분이 아파트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연제구 내에는 다양한 공장들도 89개소가 운영되고 있다. 또한 폐수를 배출하는 사업장도 53개소가 존재하고 있다. 연제구의 1인당 폐기물 발생량은 0.001톤/일이며, 1인당 폐수 발생량은 0.220m³로 나타났다. 폐기물 관련 지표를 살펴보면, 일반폐기물 재활용률은 89%로 매우 높은 편이다. 이처럼 연제구는 다양한 산업 및 주거시설이 밀집되어 있어 환경오염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나, 재활용률 제고 등 환경 관리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대기, 수질, 소음 및 진동 등의 오염을 배출하는 사업장들이 지속적으로 관리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지역사회 건강 수준
2.1. 질병 통계
부산광역시 연제구의 만성질환자 분포현황을 살펴보면, 2020년 기준 고혈압 환자 수는 25,726명이고 당뇨 환자 수는 13,900명이다. 또한 치주질환 환자 수는 88,069명, 관절염 환자 수는 30,605명, 정신질환 환자 수는 16,010명으로 나타났다. 전염병 환자 수는 47,855명, 간질환 환자 수는 7,466명으로 집계되었다. 부산광역시 연제구의 등록 장애인 수는 9,789명이다.
연제구의 당뇨병 유병률 추이를 살펴보면, 당뇨병 진단률은 9.7%이고 당뇨병 치료율은 88.6%이다. 또한 연간 당뇨성 신장질환 합병증검사(미세단백뇨검사) 수진율은 확인되지 않았다. 고혈압의 경우 치료율은 90.6%로 나타났다.
사고율의 경우 2020년 기준 연제구의 통계자료는 확인되지 않았다. 삶의 질과 삶의 만족도에 대한 구체적인 자료도 수집되지 않았다.
2.2. 건강 행태
연제구민의 건강행태를 살펴보면, 월간 음주율이 56.3%로 부산광역시 평균 54.3%, 전국 53.7%에 비해 매우 높다. 고위험 음주율도 13.8%로 부산시 평균 10.9%, 전국 11.0% 대비 높은 수준이다. 이처럼 연제구민의 음주율이 전반적으로 부산시와 전국 평균보다 높은 편이다.
또한 연제구의 현재 흡연율은 17.3%로, 부산시 평균 16.4%, 전국 평균 14.8%에 비해 높은 수준을 보인다. 특히 남성 흡연율이 더 높은 편이다.
한편 중등도 이상 신체활동 실천율은 18.9%로 부산시 평균 25.2%, 전국 평균 20.9%에 미치지 못하는 낮은 수준이다. 이처럼 연제구민의 신체활동 실천율이 부산시와 전국 평균에 비해 저조한 편이다.
이와 같이 연제구의 월간 음주율, 고위험 음주율, 흡연율, 중등도 이상 신체활동 실천율 등 건강행태 지표가 부산시와 전국 평균에 비해 전반적으로 좋지 않은 편인 것으로 나타났다.
2.3. 정신 건강
연제구의 정신 건강 수준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연제구의 우울감 경험률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