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당뇨병케톤산증 비효과적 호흡"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간호과정
2.1. 간호사정
2.2. 간호진단
2.3. 간호계획 · 수행 · 평가
3. 결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당뇨병은 우리나라 국민의 10명 중 1명이 앓고 있는 질병이다. 그중 급성 합병증인 당뇨병성 케톤산증의 사망률은 10%대에 달한다. 당뇨병성 케톤산증은 당뇨병에서 발생하는 가장 흔하면서도 심각한 급성 합병증으로, 당뇨병 환자 1,000명 당 약 4-8명에서 발생하고 있다. 특히 당뇨병으로 중환자실에 입원하게 되는 주요 원인의 7% 정도가 당뇨병성 케톤산증 환자인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적절한 치료를 받으면 당뇨병성 케톤산증의 사망률이 1% 미만이지만, 치료가 늦어질 경우 사망률이 5%까지 높아질 수 있어 응급상황으로 간주하고 적절한 치료를 해야 한다. 따라서 당뇨병성 케톤산증을 진단받은 환자의 사례를 통해 질병의 기전과 증상을 명확히 알고, 적용 가능한 간호과정을 공부하며, 질병 상태의 변화를 파악함으로써 대상자에게 적절한 간호와 안위를 제공하고자 한다.
2. 간호과정
2.1. 간호사정
임○○ 환자는 13세 남아로 당뇨병성 케톤산증을 진단받았다. 환자는 오심과 구토, 가벼운 복통 증상으로 내원하였으며, 입원 당시 활력징후는 혈압 112/74mmHg, 맥박 118회/분, 호흡 29회/분, 체온 36.2°C이었다.
환자는 출생 시 다운증후군 진단을 받았고, 2017년 7월 20일 제1형 당뇨병을 진단받아 본원에서 경과관찰 중이었다. 가족력상 간경화로 진단받은 할아버지가 계셨다. 환자는 평소 인슐린 치료를 잘 이행하지 않았으며, 최근 1개월 동안 부모가 바빴기 때문에 인슐린 투여를 제대로 받지 못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입원 당시 환자는 오심과 구토...
참고 자료
성인간호학1_수문사_윤은자_2019
성인간호학2_수문사_윤은자_2019
기본간호학1_현문사_양선희_2019
기본간호학2_현문사_양선희_2019
아동간호학상권_현문사_박호란_2020
아동간호학하권_현문사_박호란_2020
「아동간호학 하권」, 현문사 (2014)
「아동간호학 각론」, 수문사 (2019)
김태임 외, 「아동간호학」, 정민사, (2012)
권인수 외, 「아동간호 핵심술기」, 수문사, (2014)
김명아, 「병원검사 길라잡이」, 의학서원, (2014)
Marilyn Winterton Edmunds, 「임상약리학」, 엘스비어코리아, (2010)
Rakuwakai Otowa Hospital, 「 ER 포켓북 」, 대한의학서적, (2020)- [네이버 지식백과] 당뇨병성케톤산증 [Diabetic ketoacidosis]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 대학교병원)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
[네이버 지식백과] 다운 증후군 [Down syndrome]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최윤경, 정성희 저(2018). 성인간호학.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송복례(2009). 당뇨병 합병증 검사의 종류와 주의사항. 대한당뇨병학회.
김매자, 송미순 외 1명 저(2009). 영양과 식사요법의 간호적용. 정문각.
대한당뇨병학회(2007). 단계별 당뇨병 관리. 대한당뇨병학회.
국가건강정보포털 health.mw.go.kr
병원간호사회 www.khna.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