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중동 이슬람 국가 갈등과 전쟁의 이유"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중동 이슬람 국가 갈등과 전쟁의 이유
1.1. 이슬람 종파간 대립과 갈등의 원인
1.2. 서구 강대국 개입과 갈등 조장
1.3. 이슬람 국가/종파별 권력투쟁과 유지
2. 국제 분쟁의 이해와 해결 방안
2.1. 중동-이스라엘 전쟁
2.2. 9·11 테러 사건
2.3. 글로벌 리더의 역할과 국제평화 전략
3. 결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중동 이슬람 국가 갈등과 전쟁의 이유
1.1. 이슬람 종파간 대립과 갈등의 원인
이슬람 종파간 대립과 갈등의 원인이다. 중동 역사는 갈등으로 점철되어 왔다. 바깥으로는 중세 이래 서구와 계속 대립해 왔으며 안으로는 종파를 둘러싸고 반목해 왔다. 2차 세계대전 이후 새로운 갈등 요인이 더해져 갈등 양상은 더욱 복잡해지고 있다. 제2차 세계대전 직후에는 연합국이 임의로 국경을 정하는 바람에 영토가 새로운 분쟁 요소로 추가되었다. 이후 1960~70년대 산업화를 거치며 석유가 각국 경제 발전에 절대적으로 중요한 자원으로 부상하였다. 서구 강대국이 석유자원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해 경쟁하면서 미국, 러시아 등은 자국에 유리한 방향으로 중동 문제를 유도하기 위해 중동에서 갈등이 발생할 때마다 개입하고 있다. 이렇듯 중동을 둘러싼 대외ㆍ대내적 갈등 양상은 여러 요인들이 맞물리면서 점차 복잡해지고 있다. 하지만 중동 국가들이 표면적으로 내세우는 주된 이유는 종파 갈등이다. 분쟁을 일으키는 측에서도 종파를 명분으로 제시하는 경우가 많다. 이슬람 사회에서 종파 갈등은 뿌리가 깊기 때문에 자국민들로부터 쉽게 동의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슬람 종파 갈등은 수니파와 시아파간 대립을 의미한다. 수니파와 시아파는 기도하는 방식부터 라마단, 성지순례, 단식과 같은 종교의식에서도 서로 다른 양식을 취해오고 있다. 전체 무슬림 중 80~90%는 수니파이며 오직 10~19%만이 시아파다. 무슬림 절대 다수가 수니파다. 수니파가 이란 등 일부 국가를 제외하고는 이슬람 국가 대부분을 지배하고 있다고 봐도 무방하다. 수니파는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레이트, 카타르, 이집트, 예멘, 아프가니스탄, 튀니지 등 중동 지역 대부분의 국가를 지배하고 있다. 시아파가 지배하는 나라는 이란과 이라크뿐이며 레바논에는 수니파와 시아파가 공존하고 있다. 시아파는 소수이기 때문에 다수인 수니파와 대립하는 과정에서 역사적으로 박해를 받아 왔다. 이슬람 내 종파 갈등은 1400년을 이어져 내려오고 있으며 현재 중동 국가 간 분쟁의 많은 원인이 시아파와 수니파의 해묵은 감정에 의한 것이다. 당장 서울의 이태원을 예로만 들어도, 이슬람 사원에선 매주 수니, 시아 사람들이 함께 예배를 드리고 있다. 레바논에도 시아와 수니 마을이 구분이 되어 있기는 하나, 적대적이기보다는 공존하는 분위기에 있다. 이 같은 종교 갈등은 서구 강대국이 자신들의 이해관계에 따라 둘의 갈등을 조장한 면이 있다.
1.2. 서구 강대국 개입과 갈등 조장
중동 역사는 갈등으로 점철되어 왔다. 바깥으로는 중세 이래 서구와 계속 대립해 왔으며 안으로는 종파를 둘러싸고 반목해 왔다. 2차 세계대전 이후 새로운 갈등 요인이 더해져 갈등 양상은 더욱 복잡해지고 있다. 제2차 세계대전 직후에는 연합국이 임의로 국경을 정하는 바람에 영토가 새로운 분쟁 요소로 추가되었다. 이후 1960~70년대 산업화를 거치며 석유가 각국 경제 발전에 절대적으로 중요한 자원으로 부상하였다. 서구 강대국이 석유자원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해 경쟁하면서 미국, 러시아 등은 자국에 유리한 방향으로 중동 문제를 유...
참고 자료
Joseph S Nye Jr, 2000,『국제분쟁의 이해』, 한울 아카데미
Igarashi Takeshi, 2014,『세계제국, 미국』, 역사공간
김태현, 2001,「테러와 국제평화」, 統一問題와 國際關係
강성학, 2013, 『평화神과 유엔 사무총장』, 고려대학교 출판부
전기원, 1996,「미국 헤게모니의 지속」, 한국정치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