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위장관출혈 시뮬레이션"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소화성 궤양의 위험요인 및 병태생리
1.1. 위험요인
1.2. 병태생리
2. 위장관 삽관과 흡인 간호
2.1. 위장관 삽관
2.2. 흡인
3. 위장관 출혈 환자간호에서 복통과 출혈징후에 대한 사정기법
3.1. 복통 사정기법
3.2. 출혈징후 사정기법
4. 위장관 출혈 대상자에 대한 초기 치료적 중재방안
5. 수혈간호
5.1. 혈액제제의 선별 검사
5.2. 혈액투여
5.3. 수혈반응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소화성 궤양의 위험요인 및 병태생리
1.1. 위험요인
소화성 궤양의 위험요인은 다음과 같다.
H. pylori 균에 의한 감염이 위궤양의 70% 이상, 십이지장궤양 환자의 90% 이상에서 발견된다. 흡연은 위험을 2배 증가시키는데, 이는 췌장으로부터 중탄산염 분비를 억제하고 위산을 십이지장으로 빠르게 이동시키며 점막세포 재생과 점막하층 혈액순환에 장애를 일으키기 때문이다. 또한 NSAIDs의 만성적 장기 복용이 위험요인이 되며, 이는 cyclooxygenase(COX)의 작용을 방해하여 위 점막 방어벽 유지에 필수적인 프로스타글란딘 합성을 저해하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강한 가족적 성향이 있어 유전적 인자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1.2. 병태생리
문맥압 항진증으로 인해 위식도 경계부의 정맥류에서 대량 출혈이 발생할 수 있다. 정상 문맥압은 3~8mmHg이지만 12mmHg 이상으로 상승하게 되면 정맥류 파열 및 출혈의 위험이 높아진다.
문맥압 항진증은 문정맥의 순환 폐쇄나 간경변증으로 인해 발생하게 된다. 장관과 비장에서 들어오는 정맥혈이 다른 출구를 찾아야 하므로 하부 식도와 위장 상부 점막하 혈관에 압력이 증가하게 된다. 이렇게 형성된 측부 혈관은 쉽게 파열되어 출혈을 야기한다.
정맥류의 다른 원인으로는 비장정맥이나 상대정맥의 순환이상 또는 간성 정맥혈전증이 있다. 간 기능 악화로 인해 간성 혼수, 흡입성 폐렴, 패혈증, 신부전 등의 합병증이 발생하여 높은 사망률을 보인다.
2. 위장관 삽관과 흡인 간호
2.1. 위장관 삽관
비위관은 코를 통하여 삽입되며, 위 내용물을 채취하거나 영양공급을 목적으로 사용된다. 삽관 과정은 다음과 같다. 우선 환자의 협조를 구하고 좌측위를 취하게 한다. 코의 끝에서 귓불과 흉골의 검상돌기까지의 거리를 재어 테이프로 표시한다. 수용성 윤활제를 바른 뒤 비강인두로 부드럽게 삽입하고, 구강인두에 도달하면 삼키라고 지시하여 식도 상부 괄약근이 열리도록 한다. 관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 위 내용물을 흡인하거나 공기를 주입하여 청진으로 소리를 듣는다. 방사선 불투과성 관은 X-선 촬영으로 위치를 확인한다. 삽관 과정에서 분비물로 인한 궤양 예방을 위해 외비공을 부드럽게 닦고 윤활제를 바르며, 탈락 조직은 제거하고 구강간호를 한다. 또한 타액 분비 자극을 위해 껌이나 새콤한 사탕을 권장하고, 합병증 발생 시 즉시 의사에게 보고한다. 흡인 시에는 점막에 외상이 가해지지 않...
참고 자료
윤은자 외, 『성인간호학1』 9판개정, 수문사, (2021), pp.409-410, 431-442
윤은자 외, 『성인간호학2』 9판개정, 수문사, (2021), pp.962-966
윤은자 외 공저, 성인간호학Ⅰ, 수문사, 2021, P78, P394-414
송경애 외 공저, 기본간호중재와 술기, 수문사, 2019, P435-439
김성민 외 공저, 보건인을 위한 병리학, 의학교육, 2021 P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