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오늘날 4차 산업혁명의 물결은 농축산업계를 변화시키고 있다. 농업에서 스마트팜은 이제 익숙한 용어가 되었는데, 정보통신기술(ICT)을 접목하여 생육환경을 적정하게 유지 관리할 수 있는 농장인 스마트팜이 핵심 기술의 발달에 따라 점점 진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스마트팜은 1세대 편이성 증진, 2세대 정밀생육 관리를 통한 생산성 향상에서 3세대 로봇화, AI 등 첨단기술을 융합한 무인 자동화 시스템으로 옮겨가면서 최근에는 AI, 빅데이터에 대한 관심이 부각되고 있다. 이제 한국의 상황을 고려할 때, 농축산업에서의 스마트팜 전환은 선택이 아닌 필수라고 할 수 있다. 농촌 인구의 급격한 감소와 농업 인구의 고령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스마트팜을 활용한 생산성 향상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에 본 보고서에서는 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술을 활용한 딸기 농업경영 방안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2. 딸기 수경재배 온실 구축 및 관리
2.1. 수경재배 과채류 선정과 온실 구축
과채류 수경재배 온실 구축
본 문서에서는 자신의 토지에 과채류 수경재배 온실(3,000㎡)을 구축한다고 가정하고, 재배할 과채류 선정과 온실 구축에 대해 설명한다.
수경재배 과채류로는 딸기를 선정하였다. 딸기는 온실에서 수경재배로 재배하기 적합하며, 인근 지역에서 이미 수경재배로 딸기를 수확하는 것을 보았고, 딸기 체험농장 방문 경험도 있어 익숙한 과일이기 때문이다. 또한 개인적으로도 좋아하는 과일이다.
딸기 재배를 위한 온실 구축 시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는 외부환경인 광량, 온도, 습도, 풍속, 풍향 등을 고려하여 온실의 규모와 형태를 결정해야 한다는 것이다. 딸기 수경재배에 적합한 온실은 야간 보온에 초점을 맞춰 처마높이가 낮은 것이 일반적이지만, 작업성과 환기를 고려할 때 처마높이는 2.0m 이상이 유리하다. 따라서 본 온실은 연동하우스 방식으로 처마높이 2.5m로 계획한다.
딸기 고설식 수경재배 벤치는 X, H, Y, U자형 구조로 설치할 수 있는데, 그중 설치가 간단하고 농가에서 많이 사용하는 X형을 선택하기로 하였다. 딸기 수경재배 베드 재료는 천막지, 스티로폼, 플라스틱 성형 베드 등이 있으며, 이중 정식 시 노동력을 절감할 수 있고 가볍고 설치가 편한 플라스틱 베드를 선택하였다. 배지로는 보수성, 배수성, 화학성 등을 고려하여 펄라이트를 선택하기로 하였다.
2.2. 온실환경 관리 방안
작물의 생육에 영향을 주는 환경인자는 온도, 습도, 광, 공기 환경 등이며, 이들은 최소율의 법칙에 따라 관리되어야 한다. 작물의 체내 온도가 충분히 올라가야 광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