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예언서 바로 읽기의 필요성
성경을 귀하게 여기지만 내용을 잘 이해하지 못하며, 의무적으로 읽어나가는 기독교인들에게 '예언서 바로 읽기'는 필요하다. 말씀의 홍수 속에 살고 있지만 정작 중요한 생수 즉 성경의 말씀을 갈급하기 때문이다. 의미를 새겨가며 자세히 읽는 정독을 통해 성경을 더 깊고 정확히 읽고 싶은 사람들에게 시원한 생수가 될 수 있다. 단순한 통독과 다독을 넘어서 성경읽기의 진정한 즐거움을 맛보는 정독의 세계로 이끌어갈 수 있다. 저자는 구약 전문가로서 경험과 강의로 누적된 지식을 공유하며 성경을 바르게 이해하고자 하는 것이다.
예언서는 맡겨진 말씀을 전달하는 것으로, 하나님께서 맡기신 말씀을 전달하는 것이다. 예언자들의 활동 연대와 메시지를 시기별로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예언자들의 고민과 메시지 속에 담긴 하나님의 뜻을 발견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성경을 더욱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다. 단순한 통독을 넘어서 예언서 속 메시지와 그 배경을 정확히 파악하는 정독이 필요하다.
1.2. 저자 소개: 구약 전문가 차준희 교수
구약 전문가 차준희 교수는 성경을 귀하게 여기고, 많이 보기는 하지만 내용을 잘 이해하지 못하며, 의무적으로 읽어나가는 기독교인들에게 이 책을 권한다. 말씀의 홍수 속에 살고 있지만 정작 중요한 생수 즉 성경의 말씀을 갈급하기 때문이다. 의미를 새겨가며 자세히 읽는 정독을 권하며, 그간의 경험과 강의로 누적된 지식을 공유하며, 성경을 더 깊고 정확히 읽고 싶은 사람에게 시원한 생수가 되길 원하며 글을 시작한다.
1.3. 예언서 이해의 중요성과 목적
예언서는 하나님께서 맡기신 말씀을 전달하는 것이며, 이를 통해 하나님의 성품과 뜻을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다. 구약성경은 하나님이 누구인지를 보여주며 이스라엘과의 관계를 통해 자신을 계시하고 계신데, 이 두 축인 하나님의 계시와 인간의 신앙고백적인 응답 중 후자를 담당하는 것이 예언서이다. 따라서 예언서를 바로 이해하는 것은 구약성경의 핵심을 깨닫는 길이며, 나아가 하나님과의 바른 관계 형성과 성숙한 신앙생활을 위해 필수적이다.
예언자들은 단순히 미래를 점치는 자가 아니라, 하나님께서 맡기신 말씀을 전달하는 자들이다. 이들은 당시의 사회적, 역사적 상황 속에서 하나님의 뜻을 선포하며, 백성들의 회개와 변화를 촉구하였다. 따라서 예언서 이해의 목적은 예언자들이 선포한 하나님의 메시지를 통해 우리의 삶과 신앙을 반성하고 새롭게 하는 것이다.
더불어 예언서에는 메시야 예언, 부활신앙, 하나님의 보편적 사랑 등 신약의 주요 신학적 주제들이 담겨있다. 이를 깊이 있게 이해함으로써 구약과 신약의 유기적 연결고리를 발견할 수 있으며, 온전한 성경 이해에 도달할 수 있다. 또한 시대와 문화를 초월한 하나님의 영원한 진리를 체험하고 실천할 수 있다.
결국 예언서 이해의 핵심은 우리의 삶과 신앙을 하나님의 뜻과 부합되도록 변화시키는 데 있다. 이를 통해 하나님과의 친밀한 관계를 형성하고, 더욱 성숙한 그리스도인으로 성장할 수 있을 것이다.
2. 이사야서
2.1. 이사야서의 구조와 주요 내용
이사야서의 구조와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이사야서는 1-39장까지 유다 멸망 이전의 역사적 배경이며, 유다와 예루살렘의 심판, 이사야의 회고록, 메시야 예언 등이 기록되어 있다. 특히 이사야의 묵시록이라 불리는 24-27장 내에는 부활신앙이 나오며, 이는 시온에 서게 될 성읍에 대한 희망과 이스라엘의 부활을 말하고 있다. 40-55장의 배경은 바빌로니아로 바뀌며, 바벨론 포로로 끌려간 유다 백성들에게 준 메시지로서 위로의 내용으로 채워져 있다. 이어 55-66장은 포로에서 예루살렘으로 귀환하고 난 사람들에게 준 예언의 말씀이다. 이사야는 유다와 예루살렘 사람들을 소돔과 고모라에 비유하며, 삶이 뒷받침되지 않는 자들의 제물은 의롭게 하는 수단에 불과하고, 예배는 감정을 고양시키는 형식에 지나지 않으며, 기도는 무의미하거나 위선적이라고 지적하였다. 이는 사회 정의를 도외시하고 종교 행사에만 치중하는 오늘날 한국교회에도 적용되는 메시지이다. 이사야는 하나님의 거룩성을 발견한 최초의 예언자로서, 자신의 꿈이 아닌 하나님의 꿈을 이루어가려는 참된 신앙인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2.2. 절대신앙과 정의로운 삶의 메시지
이사야는 하나님에 대한 절대 신앙을 추구하며, 이를 가장 큰 교훈으로 전한다. 그는 유다와 예루살렘 사람들을 소돔과 고모라에 비유하며, 이들이 심판받아 마땅한 패역한 백성들임을 강조한다. 이사야는 하나님께서 제사를 거부하신 이유가 삶이 뒷받침되지 않는 자들의 제물은 의롭게 하는 수단에 불과하고, 예배는 감정을 고양시키는 형식에 지나지 않으며, 기도는 무의미하거나 위선적이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정의로운 삶의 바탕이 되지 않고 드려지는 예배는 하나님께 부담만 줄 뿐이며, 사회 정의를 도외시하고 종교 행사에만 치중하는 것을 지적한다. 이는 오늘날 한국교회에 가장 시급히 전달되어야 할 메시지이기도 하다. 많은 양의 물질을 사회적 약자들을 위해 나누는 것이 성경대로 사는 삶이며, 그것이 선행되어야 하나님이 기뻐 받으시는 예배가 될 것이다.
하나님을 만나 자신의 죄성을 깨닫고, 자발적 소명으로 주님께 쓰임받기 원한 이사야는 하나님의 거룩성을 발견한 최초의 예언자이기도 하다. 자신의 꿈이 아닌 하나님의 꿈을 이루어가려는 참된 신앙인의 모습을 보여주는 이사야는 불가능한 소명을 받고도 자신이 헌신하겠다고 나서게 된다. 이는 하나님의 절대적 주권과 신앙인의 전적인 순종을 요구하는 것이다.
2.3. 메시야 예언과 부활신앙
이사야는 메시야에 대한 예언을 많이 남겼다. 메시야에 대한 예언은 1-39장에서 나타나는데, 특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