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원격교육의 구성요소 및 운영전략"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원격교육의 구성요소 및 운영전략
2.1. 원격교육체제와 원격교육체제 모형
2.2. 원격교육 구성요소 및 운영전략
2.2.1. 학습자
2.2.2. 평가
2.2.3. 교육자
2.2.4. 원격교육 센터
2.2.5. 전자도서관
2.2.6. 학습자의 기록(성적)
3. 원격교육 프로그램 기획
3.1. 원격교육체제와 ADDIE 모형
3.2. 원격교육 프로그램 요구 분석
3.3. 원격교육 프로그램 설계 및 개발
3.4. 원격교육 프로그램 운영 및 평가
4. 결론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원격교육은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에 따라 급속히 변화해 가고 있다. 기존의 교육자와 학습자의 공간적 분리 중심에서 벗어나 교육자가 필요한 부분을 폭 넓은 검색을 통해 습득하고, 공간적으로 멀리 떨어진 지역에 대한 정보도 실시간 확인할 수 있는 다양한 원격교육에 대한 개념의 변화가 진행되고 있다. 원격교육은 전통적인 교육 방법과 달리 다양한 통신수단과 매체를 활용하여 발달된 정보체계를 활용하여 학습자와 교육자가 시ㆍ공간적으로 분리된 상태에서 교육을 진행한다. 따라서 본 보고서에서는 원격 교육의 구성 요소와 이에 따른 운영 전략을 살펴보고자 한다.
2. 원격교육의 구성요소 및 운영전략
2.1. 원격교육체제와 원격교육체제 모형
원격교육체제는 효과적인 원격교육 과정을 개발하고 실행하는데 연관된 요소들을 확인하고 요소들 간의 상호 연관성을 보여준다. 대표적인 원격교육체제 모형으로 ADDIE 모형이 활용되고 있다. ADDIE 모형은 분석(Analysis) - 설계(Design) - 개발(Development) - 운영(Implementation) - 평가(Evaluation)로 구성된다. 분석 단계에서는 요구분석, 직무분석, 학습자분석, 개발자원분석, 학습맥락 분석이 이루어지며, 설계 단계에서는 학습 목표 기술, 내용 영역설정/계열화, 평가전략 수립, 교수전략 수립이 진행된다. 개발 단계에서는 학습자료 준비, 수업계획서/매뉴얼 제작, Pilot Test, 교재/매체 제작이 이루어지고, 운영 단계에서는 운영전략 수립, 강사양성, 운영이 실시된다. 마지막으로 평가 단계에서는 내부적 평가와 대외적 평가가 이루어진다. 이처럼 ADDIE 모형은 원격교육체제의 주요 요소들을 체계적으로 구조화하여 보여준다.
2.2. 원격교육 구성요소 및 운영전략
2.2.1. 학습자
학습자는 원격교육체계의 중심에 있는 대상이다. 학습자는 원격교육 과정에서 단순한 수동적 수용자가 아니라 교육의 주체이다. 학습자는 원격교육체계의 한 부분으로 참여하여 교육 과정 및 결과를 보여줌으로써 원격교육시스템의 발전에 기여한다. 학습자의 형태는 개인이나 그룹으로 구분되며, 그룹 내에서도 학생의 역할에 따라 개인, 소그룹, 전술 팀 등으로 세분화된다. 군의 경우 장교, 부사관, 병사 등 계급별로 단위별 분류가 가능하며, 전체 대상 단위는 군 교육 목표에 맞게 상급 부대에서 정한다. 대상자의 선택 및 형태는 각 교육자가 결정할 수 있다. 학습자 중심의 원격교육 환경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정보화 체계를 활용하여 학습의 효과를 극대화하는 방향으로 운용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군 내 학습자는 인트라넷을 사용하지만 군 외부에 있을 때는 인터넷을 이용하여 학습할 수 있다. 다만 보안 문제로 인트라넷과 인터넷은 공용으로 사용되어서는 안 되며, 특히 보안이 필요한 과목이나 자료는 인터넷 사용을 금지해야 한다.
2.2.2. 평가
평가는 학습자의 반응을 측정하는 절차이다. 학습자의 현재 교육 상태를 파악하고 교육자에게 알려주며 학생의 성취...
참고 자료
정인성. (1999). 원격교육의 이해. 서울: 교육과학사.
정호성. (2002). 화상교육용 원격 학습 방법에 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동의대학교.
서진숙, 방성원. (2019). 화상교육을 활용한 한국어 튜터링 사례 연구. 이중언어학.
김민정, 김남연, 유효인 (2020). 전자매체에 대한 유아교육 관련 연구 동향 분석: 2000년 이후 국내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유아교육학논집.
교안 : 위더스, 원격교육론
김지윤, 원격대학, 코로나 시대 미래교육 이끈다, 한겨례, 2020 https://www.hani.co.kr/arti/society/schooling/959166.html
김종열, BJ 육성·방송 콘텐츠 제작… 창업 2년 만에 매출 8배 성장, 부산일보, 2022 http://www.busan.com/view/busan/view.php?code=2022031318402055692
[인터넷 자료] 네이버 블로그 꿈날개, 영상제작의 핵심! 영상편집온라인강의, 2020
숭실사이버대학교 콘텐츠 개발팀, 수업설계문서 표준화를 위한 작성 가이드, 2013
조민정, 황해익. (2019). 원격교육에서의 상호작용 증진 전략. 한국원격교육학회, 14(2), pp.93-112.
이동민. (2021). 코로나19 시대의 원격교육 도구와 기술 활용 사례. 한국교육기술학회, 37(3), pp.599-625.
최은영, 박소연. (2017). 원격교육 평가 방법의 혁신 방안. 한국교육학회, 55(4), pp.31-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