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대장 게실염 개요
1.1. 정의 및 병태생리
게실은 위장관 중 대장에 가장 많이 발생하는데, 이는 대장 벽이 바깥쪽으로 동그랗게 꽈리 모양으로 튀어나오는 질환이다. 이러한 게실이 여러 개 있을 때 '게실증'이라고 부르고, 게실 안으로 변과 같은 오염 물질이 들어가 염증을 일으키게 되는 것을 '게실염'이라고 부른다.
게실은 크게 두 가지 유형으로 나뉜다. 첫째, 돌출되는 대장 벽이 장벽의 일부에 국한되는 '가성게실'이고, 둘째, 근육층을 포함한 장벽의 모든 층이 돌출되는 '진성게실'이다. 게실염은 대장게실의 가장 흔한 합병증으로, 특히 대장의 맹장부위에 발생한 경우 급성 충수염과 혼동하기 쉽다. 그러나 충수염은 초기에 상복부, 배꼽 주위에 증상이 나타나다가 오른쪽 아랫배로 통증이 옮겨가는 반면, 게실염은 전조증상 없이 돌발통이 나타나 두 질환을 구별할 수 있다.
게실 질환의 복잡한 병태생리는 다양한 기전의 상호작용에 의해 발생한다. 과거에는 식이섬유 부족, 구조적 이상으로 인한 장내압 변화, 장운동 이상 등이 게실 발생의 주 원인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최근에는 이러한 기전 외에도 염증의 지속, 장내 세균의 변화, 장과민반응 및 신경전달물질 변화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게실염이 발생하는 것으로 이해되고 있다. 특히 게실이 팽창, 확장되면 게실 내의 세균이 과증식되어 관류부전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게실 천공이 일어날 수 있다.
1.2. 위험 요인
게실증의 주요 위험 요인은 크게 연령, 식이 습관, 유전적 요인 등으로 볼 수 있다.
첫째, 연령이 높아질수록 대장 게실의 발생 위험이 증가한다. 대장 게실은 주로 45세 이상의 연령에서 많이 발생하며, 특히 60세 이상 고령층에서 유병률이 30-50% 수준으로 매우 높게 나타난다. 이는 노화에 따른 대장 벽의 강도 저하 및 탄력성 감소로 인해 대장벽이 팽출되어 게실이 형성되기 때문이다."
둘째, 섬유질이 부족한 서구화된 식단은 대장 게실 발생의 주요 위험 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섬유질이 부족하면 변비와 대장압 증가가 초래되어 대장벽이 약해지고 게실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반해 섬유질이 풍부한 식단을 섭취하는 경우 게실 발생 위험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전적 요인도 게실증 발병에 영향을 미친다. 일란성 쌍둥이의 경우 게실증 발병률이 43-71%로 높게 나타나며, 가족력이 있는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발병률이 더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는 게실 형성에 유전적 요인이 작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 외에도 비만, 신체활동 저하, 알코올 섭취, 흡연 등이 게실 발생의 위험 인자로 제시되고 있다. 따라서 고령, 서구화된 식단, 유전적 소인 등의 위험 요인을 가진 대상자의 경우 정기적인 건강검진과 생활습관 관리가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
1.3. 주요 증상
""대장 게실증의 주요 증상에는 대부분 아무런 증상이 없는 '게실증'과 염증이나 감염이 생기는 '게실염'이 있다. 게실증의 경우 복부 팽만감, 복통, 변비 등의 증상이 가끔 나타나기도 한다. 하지만 게실염의 경우에는 복통, 배변 습관의 변화, 오한, 발열 등 보다 뚜렷한 증상을 보인다. 염증의 정도에 따라 증상이 심해지며, 특히 S자 결장 부위에 게실염이 발생하면 좌하복부 통증이 심하다. 또한 복부 내압이 증가하는 활동, 예를 들어 긴장, 기침, 무거운 물건 들어 올리기 등에 의해 증상이 유발되기도 한다. 드물게 게실에서 출혈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 직장 또는 항문에서 출혈이 나타나며, 반복적인 염증에 의해 소혈관이 손상되어 출혈이 생기게 된다.""""게실염의 주요 증상으로는 경련성 복통, 발열, 오심, 구토, 복부팽만감 등이 있다. 특히 S자 결장 부위의 게실염인 경우 좌하복부에 심한 통증이 나타난다. 통증은 갑작스럽게 발생하며 시간이 지날수록 악화되는 양상을 보인다. 게실염에서 나타나는 배변 습관의 변화로는 변비와 설사가 있으며, 드물게 대량 출혈이 발생할 수도 있다. 또한 게실이 주변 장기로 침범하여 합병증이 발생하면 요로계 증상, 누공 형성 등이 나타날 수 있다.""
1.4. 진단적 검사
대장 게실염 환자의 진단적 검사는 다음과 같다.
직장지두검진을 통해 부드러운 덩어리를 촉진할 수 있으며, 대변검사를 통해 점액이나 출혈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CT scan은 게실과 농양을 확인할 수 있으며, 바륨 관장은 게실주머니와 두꺼워진 장벽 근육층을 확인할 수 있다. 그 외에도 감염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혈액검사와 소변검사, 간 문제를 배제하기 위한 간 효소 검사 등을 시행한다. 이 환자의 경우 CT scan 결과 A-Colon 게실염, 미세 천공 가능성, 국소 복막염이 의심되었으며, 다발성 게실증과 맹장의 정상 범위가 확인되었다. 또한 흉부 X-ray 검사에서 활성 폐 병변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다양한 진단적 검사를 통해 대장 게실염의 정확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2. 환자 사례 분석
2.1. 일반 정보
환자의 일반 정보는 다음과 같다.
환자 성명 김XX 성별 M 연령 52 주소 동반자 성명 환자와의 관계 누나 내원 일시 2023.2.20 내원 수단 구급차( ) 자가용( ) 택시( ) 기타(√) 병원 내원 동기 내원 전날 2AM부터 발열 및 우하복부 통증으로 인하여 2023.02.20.일 금일 13:59분에 병원 응급실로 내원하셨다.환자는 52세 남성으로 2023년 2월 20일 새벽 2시부터 발열과 우하복부 통증 증상으로 병원 응급실에 내원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