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간호학개론 중간고사 과제 요약
상급 간호사로서의 자질과 역량을 갖추기 위해 이해해야 할 간호학개론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제1의 간호혁명은 나이팅게일이 주도하였다. 나이팅게일은 크림 전쟁 당시 군대 위생제도와 관리제도를 혁신하여 사망률을 42%에서 2.2%로 낮추었다. 또한 의학실험실, 군의학교 설치, 군인 휴게소와 우편제도 등을 도입하여 군대 의료 체계를 개선하였다. 더불어 성 토마스 병원에 간호학교를 설립하여 체계적인 간호교육을 실시하였다. 나이팅게일은 간호는 직업이 아닌 사명이라고 주장하였고, 간호의 독립성과 전문성, 윤리 등 간호 이념을 정립하였다.
제2의 간호혁명은 펜위크가 주도하였다. 펜위크는 간호사의 자격과 대우를 위해 면허제도 도입을 주장하였다. 그는 영국간호협회를 조직하였고, 국제간호협의회를 창설하여 간호사의 전문직 지위 향상에 힘썼다. 30년간의 노력 끝에 1919년 간호사 면허법이 제정되었다.
나이팅게일과 펜위크의 견해 차이는 면허제도에 대한 입장에서 드러났다. 나이팅게일은 면허제도가 사명감을 흐리게 한다고 반대하였으나, 펜위크는 면허제도가 간호사를 독자적인 직업으로 인정받게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러한 대립은 간호학 발전의 원동력이 되었다.
전문직의 기본적 특징은 전문화된 고도의 지식과 기술, 자율성, 권한, 숙련도, 책임감 등이다. 간호전문직도 이러한 특징을 갖고 있으며, 윤리강령을 제정하여 직업윤리를 강조한다. 간호전문직이 갖추어야 할 조건에는 전문지식과 기술, 체계적 교육, 자격 규제, 자율성, 전문직단체의 활동, 윤리강령, 사회봉사 등이 있다.
제1·2 간호혁명과 간호전문직의 조건은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 나이팅게일은 간호의 전문지식과 윤리를 정립하였고, 펜위크는 면허제도 도입을 통해 간호의 자격 규제와 자율성을 확보하였다. 이러한 노력들이 현대 간호전문직의 토대가 되었다.
2. 제1간호혁명과 제2간호혁명의 차이점과 역사적 시사점
2.1. 제1의 간호혁명과 역사적 시사점
나이팅게일은 여러 논문과 저서를 통하여 제1의 간호혁명을 이루어냈다. 그녀는 크림반도에서의 경험을 토대로 빅토리아 여왕에게 군 의료 체계의 대대적인 개선을 제안했고, 이를 실천에 옮기기 위한 행동에 돌입했다. 정부와 군부 곳곳에서 갖가지 반발과 핑계가 나왔지만, 그녀는 길고도 꾸준한 싸움으로 하나하나 승리를 쟁취해 갔다. 필요하다면 개인적 명성에 호소하기도 했고, 영향력 있는 친구나 친지까지 인맥을 총동원했으며, 때로는 크림반도에서 보고 들은 영국군 야전 병원의 끔찍스러운 실태를 대중 앞에 폭로하겠다며 군부 고위층에 협박까지도 불사했다. 특히 1859년에 출간한 『간호에 관한 일들』이라는 저서는 병원 환경의 위생, 정확한 통계, 병동관리, 올바른 간호를 위해 알아야 하는 병원관리 등의 내용뿐만 아니라, 병원 내부의 위생시설, 개인위생, 정신건강, 증상관찰의 중요성, 간호 행정 담당자의 윤리적인 지도를 다루고 있다. 이 저서는 세계 각국어로 번역되어 간호법과 간호사 양성의 기초 자료가 되고 있다. 1859년, 그녀의 친구이자 후원자인 시드니 허버트가 육군성 장관이 되면서 군 의료 개혁은 본격적인 궤도에 올랐다. 불과 2년여 뒤에 허버트가 갑자기 사망함으로써 나이팅게일은 정계에서 강력한 후원자를 잃어버렸지만, 이때부터는 가난과 질병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대하면서 전반적으로 의료 및 위생 수준이 향상되었다. 나이팅게일은 크림 전쟁 당시에 영국에서 조성된 '나이팅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