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현대에는 주변에서 쉽게 허리가 구부정한 것을 쉽게 볼 수 있다. 앉아 있는 시간이 증가하면서 10대부터 20대, 30대 등의 젊은층부터 쉽게 볼 수 있는 질병이 추간판 탈출증이다. 예전에는 추간판 탈출증 하면 노인층에서 많이 보여지며 척추의 퇴행성 변화로 생기는 질병이라고만 생각했지만 최근에는 이와 다르다. 추간판 탈출증은 나에게 멀리서 보던 질병이 아니었다. 평소 어머니가 질병을 앓고 계셨기 때문이다. 평소 어머니가 달고 살던 말이 "허리가 쑤시다, 아파서 아무것도 못하겠다."였다. 조금만 무거운 물건을 들거나 허리를 사용한 날에는 누워서 허리를 눌려달라는 어머니의 모습을 보면서 추간판 탈출증으로 오는 통증을 완화하는 간호로써의 도움을 드리고자 선정하게 되었다.
1.2. 추간판 탈출증의 정의
추간판(척추 원반, intervertebral disc)은 각 척추체(척추뼈몸통, vertebral body) 사이에 있는 구조로서 척추뼈에 작용하는 충격을 흡수하고 굴곡·신전과 회전 운동을 가능하게 한다. 추간판은 연골판(cartilaginous plate), 중앙의 반고체성 수핵(nucleus pulposus)과 이를 둘러싸고 있는 섬유륜(annulus fibrosus)으로 구성되어 있다. 추간판은 나이가 들어갈수록 용적과 탄력성이 감소되어 압박에 대한 저항력이 약해진다. 추간판의 섬유륜이 약해져 수핵이 밖으로 빠져나오면 신경근을 압박하여 통증을 유발하게 되는데, 이를 추간판 탈출증(Herniation of Nucleus Pulposus, HNP)이라고 한다. 외부의 큰 충격이나 잘못된 자세 등으로 인해 추간판이 튀어나오게 되면 염증이 생기게 되고, 이는 신경을 눌러 요통, 방사통 등의 통증을 유발한다.
1.3. 추간판 탈출증의 원인과 발병 현황
추간판 탈출증은 갑자기 혹은 서서히 일어나는데, 추락이나 척추의 굴곡운동, 구부정한 자세에서 반복적으로 무거운 물건을 들어올리기, 진동하는 기계를 작동하는 일, 심한 육체적 운동, 격렬한 운동 등이 주요 원인이다. 무릎을 구부리지 않고 허리를 굽혀 회전운동하는 것은 추간판에 큰 긴장을 유발하며, 이러한 반복된 긴장은 추간판을 약하게 하고 결국 탈출을 야기한다. 퇴행성 변화 또는 단순히 무거운 짐을 들다가 생긴 부담으로도 발생할 수 있다. 추간판탈출증 환자의 50% 이상이 이전에 등 손상을 받은 병력이 있다. 유전적인 소인은 척추전방전위증에서 볼 수 있으며, 흔히 40~60세의 남자에서 많이 볼 수 있다. 주로 L4~L5, L5~S1(90~95%), C5~C6, C6~C7(5~10%)에서 발생한다.
2. 이론적 배경
2.1. 추간판 탈출증의 병태생리
추간판(척추 원반, intervertevral disc)은 각 척추체(척추뼈몸통, vertevral body) 사이에 위치하며 척추뼈에 작용하는 충격을 흡수하고 굴곡·신전과 회전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구조이다. 추간판은 연골판(cartilaginous plate), 중앙의 반고체성 수핵(nucleus pulposus)과 이를 둘러싸고 있는 섬유륜(annulus fibrosus)으로 구성되어 있다. 추간판은 나이가 들어갈수록 용적과 탄력성이 감소되어 압박에 대한 저항력이 약해진다.
무거운 물체를 들어올릴 때나 염좌와 같은 부상으로 인해 추간판이 파열되면, 내용물의 일부가 추간판에서 밖으로 빠져나와 척추관에 박히게 된다. 이때 척추 원반에서 단백질이 누출되면 이를 이물질로 인식하여 통증과 염증반응을 유발하게 되고, 이를 추간판 탈출증 또는 수핵 탈출증(herniated nucleus pulposus, HNP)이라고 한다.
요추 부위에서 추간판 탈출이 가장 흔하게 일어나며, 특히 L4-L5와 L5-S1 사이에서 많이 발생한다. 추간판 탈출로 인해 척수신경근이 압박되면 지속적인 날카롭고 찌르는 듯한 통증이 발생한다. 경추 부위 탈출의 경우 통증이 한쪽 팔로 방사되고 악력이 약화되며, 요·천추 부위 탈출의 경우 엉덩이 가운데에서 다리 뒤쪽으로 통증이 퍼져나간다. 또한 근육 경련으로 인한 부종, 감각 장애, 하지의 강직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2.2. 추간판 탈출증의 증상 및 합병증
추간판 탈출증의 초기 증상은 요통이다. 경추 추간판 탈출증의 경우 목의 경직, 팔과 손으로 방사하는 어깨 통증, 손의 지각이상 및 감각장애가 나타난다. 요추 추간판 탈출증의 경우 둔부와 하지로 방사되는 좌골신경통이 발생하며, 통증은 척수내 압력을 증가시키는 요인(기침, 재채기, 배변, 구부리거나 물건을 들어올릴 때, 다리를 똑바로 뻗쳐 올렸을 때)에 의해 악화되고 안정시 완화된다. 근육경련 및 심부건반사의 약화와 감각의 감퇴가 일어난다.
중증 만성 상태에서는 추간판이 압박하는 척수신경근이 관장하는 사지나 등의 근육이 위축될 수 있어 근육 긴장도와 강도 평가가 필요하며, 돌출된 추간판의 크기가 크고 중앙에 위치한다면 하부 척수를 압박하여 장과 방광의 조절기능이 상실될 수 있다.
추간판 탈출증의 대표적인 합병증으로는 뇌척수액 누출과 체액량 결핍, 급성 요정체, 마비성 장폐색, 지방색전증, 지속적 혹은 점진적 요추 신경근증, 감염 등이 있다.
2.3. 추간판 탈출증의 진단법
단순 엑스레이 촬영(X-ray)은 안전하고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일반적인 진단 검사이다. 추간판의 형태나 탈출 여부, 척추관의 크기나 형태, 그리고 주변 조직들의 병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전산화단층촬영(CT)은 조직의 밀도와 정상을 비교하여 종양, 경색, 그리고 뼈와 뇌실의 위치변화를 포함한 이상소견을 발견할 수 있다. 현재 가장 보편적으로 이용되는 검사법으로 요추 추간판 탈출증의 병변을 정확하게 알려주며, 척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