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부버"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마르틴 부버의 실존주의 사상과 교육철학
1.1. 부버의 생애와 사상적 배경
1.2. '나와 너'의 관계에 관한 부버의 사상
1.3. 부버의 실존주의 교육이론
2. 부버의 '나와 너'의 관계 개념
2.1. '나-그것'과 '나-너'의 관계
2.2. 자연, 인간, 정신적 존재와의 관계
2.3. 관계 형성을 통한 인간 실존의 발현
3. 부버의 교육이론
3.1. 전인을 지향하는 인간교육론
3.2. 세계 자체를 교육장으로 보는 관점
3.3. 교사와 학생의 인격적 만남 강조
4. 부버 실존주의 교육의 특징과 의의
4.1. 자기결정적 자아의 형성
4.2. 삶의 주체성과 선택의 결과 교육
4.3. 인격적 관계와 만남 강조
4.4. 실존주의 교육의 한계와 과제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마르틴 부버의 실존주의 사상과 교육철학
1.1. 부버의 생애와 사상적 배경
마르틴 부버는 1878년 2월 8일 오스트리아 빈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 카를 부버는 농부였고, 어머니 엘리제는 부버가 3살 때인 1881년에 사망하였다. 부버는 그 후 할아버지 살로몬 부버의 집에서 14살까지 자랐는데, 살로몬 부버는 당시 유명한 랍비 문학가이자 사업가, 유대교 계몽운동인 하스칼라의 학자였다. 할아버지는 세상 여러 종교에 관심을 가졌으며, 부버 역시 이러한 영향을 받았다. 1892년 14세 때 아버지가 있는 곳으로 돌아온 부버는 여러 종교를 탐닉하다가 신은 한 개인이 자신만의 사고를 통해 이해할 수 있다는 결론에 도달하였고, 점점 전통적인 유대교 사상과 멀어졌다. 부버는 칸트, 키르케고르, 니체 등의 저서를 즐겨 읽었으며, 특히 키르케고르와 니체의 사상에 영향을 많이 받았다. 그는 빈, 취리히, 베를린 대학에서 철학과 예술사 등을 공부하였고, 1899년 21세 무렵 소설가이자 작가인 파울라 빈클러와 결혼하였다. 1904년에는 베를린 대학에서 독일 신비주의라는 주제로 철학석사 학위를 받았다. 이후 부버는 유대인들의 시온주의 운동을 도와 잡지 선민을 창간하였고, 1924년부터 1933년까지 프랑크푸르트 대학에서 유대 종교철학을 가르쳤다. 1926년부터 1930년까지는 정기간행물인 피조물을 발간하여 종교와 관련된 사회적, 교육적 문제를 취급하였다. 부버는 문화적 시온주의자로서 유대인들과 독일의 교육 공동체, 이스라엘 국민들을 위해 활동하였으며, 팔레스타인 지방에서의 양국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하였다. 1938년에 예루살렘으로 이주한 부버는 1952년 미국으로 가서 여러 대학과 단체에서 강의를 하였다. 부버의 사상은 유대적 신비주의를 바탕으로 한 유대 인간관계의 재현이라고 할 수 있으며, '나와 너'의 관계를 중심으로 발전하였다.
1.2. '나와 너'의 관계에 관한 부버의 사상
부버는 인간이 세계에 대해 가질 수 있는 두 가지 태도를 '나-그것'의 관계와 '나-너'의 관계로 구분하였다. '나-그것'의 관계는 사물세계와의 관계를 나타내며, '나-너'의 관계는 인격적 만남의 세계를 의미한다. 인간의 삶의 양식은 어떤 관계를 형성하느냐에 따라 달라진다.
부버는 '나-너'의 관계가 성립되는 영역을 세 가지로 보았는데, 자연 혹은 사물과의 만남, 사람과의 만남, 그리고 정신적 존재(혹은 영적 존재, 신)와의 만남이다. 참다운 인간 존재는 이러한 관계 형성을 통해 나타나며, 인간은 관계를 통해 자신의 실존을 형성해 나가는 창조자로 파악된다.
부버에 따르면, 인간 실존의 기본적 사실은 '인간이 인간과 더불어 함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위기상황 속에서 잃어버린 인간의 본래적 모습을 인간과 인간 간의 참된 관계 형성, 즉 '나'와 '너'의 '만남'을 통해 회복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부버는 현대사회의 인간상실, 인간소외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1.3. 부버의 실존주의 교육이론
부버의 실존주의 교육이론은 인간 실존을 바탕으로 한다. 부버는 '나와 너'의 관계를 통해 인간의 실존성을 발현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르면, 교육의 중심은 자연과의 관계, 인간과의 관계, 정신적 존재와의 관계를 통해 학생들의 인격을 계발하고 실현하는데 있다. 부버는 전인을 지향하는 인간교육론을 주장하였다. 아동을 무한한 가능성과 창조성을 지닌 현실로 보며, 인간의 자발성을 억압하지 않고 아동의 창조력을 해방시켜 주고자 하였다.
...
참고 자료
계영혜, 1963, 실존주의 철학의 인간관에서 본 현대 교육철학의 비판과 인간의 실존성을 토대로 한 새로운 교육철학의 모색,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교육연구, 제21호
정정숙, 1971, 실존주의 철학의 인간관과 교육이론,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교육연구, 제37호
구리나, 2012, 마르틴 부버의 철학에 비추어 본 교과교육의 성격 고찰 : 초등교육을 중심으로, 한귝초등교육학회, 초등교육연구, 제25권 제4호
네이버 지식백과, https://terms.naver.com/
위키백과, https://ko.wikipedia.org/wiki/
두산백과, http://www.doopedia.co.kr/
네이버블로그, https://blog.naver.com/kkk249/2215265071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