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응급실 의료장비
1.1. 응급실 구조 및 주요 시설
응급실의 구조 및 주요 시설이다. 응급실은 접수 및 분류(Triage) 구역, 진료구역, 소생구역(Resuscitation Area), 처치실(Procedure Room), 관찰실(Observation Room), 격리실(Isolation Room), 영상의학실(Radiology Room), 약국 및 검사실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요 시설 및 장비로는 심폐소생술 장비, 산소 공급 및 기도 유지 장비, 모니터링 시스템, 응급 처치 장비, 외상 처치 장비, 감염 예방 시설 등이 갖춰져 있다. 이처럼 응급실은 응급환자 치료를 위해 필수적인 다양한 시설과 의료장비가 구비되어 있다.
1.2. 응급의료체계와 환자 분류(Triage)
응급의료체계는 응급환자에게 신속하고 적절한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응급의료체계는 병원 전 단계(Pre-hospital)와 병원 내 단계(In-hospital)로 구분된다. 응급환자의 중증도를 평가하고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환자분류(Triage) 시스템이 필수적으로 운영되며, 대한민국에서는 KTAS(Korean Triage and Acuity Scale)이 표준으로 활용되고 있다.
병원 전 단계(Pre-hospital EMS)에서는 119 구급대 및 응급의료기관의 응급처치와 이송 중 환자 안정화 및 중증도 평가, 응급의료정보센터 운영(Hotline 1339) 등이 이루어진다. 병원 내 단계(In-hospital EMS)에서는 응급실 도착 후 환자분류(Triage) 시행, 진료 구역 배정 및 신속한 응급처치, 입원 결정 및 전원 조치 등이 이루어진다.
KTAS(Korean Triage and Acuity Scale)는 환자의 중증도를 5단계로 분류하는 한국형 환자분류도구로, 캐나다의 CTAS(Canadian Triage and Acuity Scale)를 기반으로 개발되었다. KTAS의 목적은 응급실에서 신속하고 정확한 중증도 평가를 통해 환자 치료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것이다. KTAS 평가 요소로는 주증상(Chief Complaint), 활력징후(Vital Signs), 환자의 임상적 상태(Clinical Condition)가 활용된다.
KTAS 분류 기준에 따르면, KTAS 1등급은 '최우선(Immediate)' 처치가 필요한 최중증 환자로 심정지, 쇼크, 무의식, 호흡정지 등의 상태에 해당한다. KTAS 2등급은 '긴급(Emergent)' 처치가 필요한 중증 환자로 급성 심근경색, 뇌졸중, 패혈증 등이 포함된다. KTAS 3등급은 '준응급(Urgent)' 처치가 필요한 중등도 환자로 중등도 복통, 고열 동반 감염 등이 해당된다. KTAS 4등급은 '비응급(Less Urgent)' 처치가 필요한 경증 환자로 가벼운 골절, 피부열상, 경미한 복통 등이 포함된다. KTAS 5등급은 '응급 아님(Non-Urgent)' 처치가 필요한 환자로 가벼운 감기, 만성 질환 약 처방 등이 해당된다.
KTAS 적용 절차는 다음과 같다. 먼저 환자가 호소하는 주증상을 확인하고 KTAS 가이드라인을 활용하여 분류한다. 다음으로 활력징후(혈압, 맥박, 호흡수, 체온, 의식수준)를 평가한다. 마지막으로 환자의 임상적 판단을 적용하여 필요 시 한 단계 상향 조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최종 KTAS 등급을 결정하고 적절한 진료 구역으로 안내한다.
KTAS의 장점은 신속한 환자분류로 응급실 대기시간을 감소시키고, 치료 우선순위가 명확하여 의료자원 배분의 효율성을 높이며, 의료진 간 일관된 평가가 가능하다는 것이다. 반면 단점으로는 중증 환자 과소평가 가능성, 의료진 경험에 따른 분류 결과 차이, KTAS 3~4등급 환자의 대기 시간 증가 등이 있다.
2. 기본 응급 처치
2.1. 기도확보 및 인공호흡
기도확보는 환자의 호흡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기도를 개방하고 유지하는 과정이다. 기도가 폐쇄되면 저산소증과 이산화탄소 저류가 발생하여 심각한 신체 손상이 유발될 수 있으므로 응급 상황에서 생명을 구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처치 중 하나이다.
기도폐쇄는 여러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으며, 부분폐쇄 시에는 숨소리가 나지만 기도가 좁아진 상태이고, 완전폐쇄 시에는 호흡음이 없고 공기 흐름이 차단된 상태이다.
기도확보 방법으로는 기본적인 두부후굴-하악거상법과 하악견인법이 있다. 두부후굴-하악거상법은 경추 손상이 없는 환자에게 적용하며, 하악견인법은 경추 손상이 의심되는 환자에게 적용한다. 이 외에도 구강 기도관, 비강 기도관, 후두마스크 기도관, 기관내 삽관, 기관절개술 등의 침습적 기도확보 방법이 있다.
인공호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