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인공지능과 문해교육의 발전"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인공지능과 문해교육의 발전
1.1. 인공지능의 등장과 사회현상
1.2. 책의 저자 소개
1.3. 문해력과 리터러시의 개념
1.4. 인간의 읽고 쓰기, 인공지능의 읽고 쓰기
1.5. 인공지능에 열광하는 이유 - 생산성과 효율
1.6. 프롬프트 엔지니어링과 질문이 모든 것이라는 환상
1.7. 기술의 변화, 인간의 변화
1.8. 결과가 아니라 과정
1.9. 비판적 메타-리터러시
1.10. 인공지능, 문제의식이 필요한 시점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인공지능과 문해교육의 발전
1.1. 인공지능의 등장과 사회현상
인공지능의 등장과 사회현상이다. 2022년 12월 오픈AI 사가 챗GPT를 공개한 후 인공지능 광풍이 불었다. 인간 이외의 존재가 인간처럼 읽고 쓴다는 사실은 충격이었고, 관련 학문과 사업 분야뿐 아니라 사회 전반에 충격을 던졌다. 그 후로 몇 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사람들은 인공지능의 능력에 열광하고 있다. 그 열광의 중심에는 생산성과 효율이라는 열쇳말이 자리하고 있고, 인공지능이 나 대신 돈을 벌어줄 거라는, 그것도 빠르게 많이 벌어줄 거라는 환상이 작동하고 있다. 인공지능 관련 책도 수없이 쏟아지고 있지만 대부분이 기술적인 내용의 활용법이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
1.2. 책의 저자 소개
이 책의 저자 김성우는 응용언어학자이다. 김성우는 2000년 전후 웹 기반 교육 프로젝트를 수행하며 컴퓨터를 활용한 언어 학습에 대한 논문을 작성하였다. 이후 현업에서 테크니컬 라이팅, 이러닝 기획 및 프로젝트 매니저, 학습 게임 콘텐츠 개발자로 일해왔다. 응용언어학자로서 김성우는 언어와 교육, 문해력과 권력, 사회현상 전반을 주제로 다양한 책과 논문을 집필해왔으며, 기술과 리터러시가 엮이는 방식을 연구하고 있다.
1.3. 문해력과 리터러시의 개념
문해력은 글을 읽고 이해하는 능력에 초점을 맞춘다면, 리터러시는 다양한 미디어와 주제를 능숙하게 다루는 역량과 조건을 포함한다. 즉, 문해력이 기능적 측면에 집중한다면 리터러시는 이를 바탕으로 폭넓은 미디어 활용 능력까지 포괄한다. 또한 인공지능 리터러시는 인공지능이 사회와 문화, 제도, 정치, 일상과 교육, 환경과 생태계 등에 미치는 광범위한 영향에 대한 지식과 관점, 그리고 시민으로서의 행동과 연대를 포함하는 비판적 리터러시가 필요하다. 따라서 단순한 텍스트 읽기와 이해를 넘어 다양한 미디어를 능숙하게 다룰 수 있는 능력과 비판적 사고가 리터러시의 핵심 개념이라고 볼 수 있다. []
1.4. 인간의 ...
...
참고 자료
남궁선희, 「스위트북, 인공지능 동화책 만들기 ‘AI 스토리교실’ 서비스 출시」, 매일경제, 2023-08-25.
박서연, 금준경, 「(인공지능의 두 얼굴) 챗 GPT시대의 교육, ‘읽기’와‘쓰기’의 순서가 뒤바뀐다」, 미디어오늘, 2023-07-08.
조현정, 2023, 「인공지능(AI) 활용 문학 수업 모형 개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천명진, 2021, 「AI 문학작품을 활용한 서사-창작교육 방안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리니테일 홈페이지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