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급성 사구체신염의 정의와 특성
1.1. 급성 사구체신염의 정의
급성 사구체신염이란 상기도감염 등의 선행감염에 계속되는 잠복기간을 지나서 급성으로 발생하는 염증이다. 이 질환은 면역성 질환이기 때문에 특별한 전염성의 위험요인은 없으며, 진단도 비교적 간단하고 진행도 빠르며 완치가 많다.
1.2. 급성 사구체신염의 발병률 및 발병 시기
급성 사구체신염은 아동기에 가장 많이 발병하며, 특히 6~7세에 가장 발병률이 높다. 성별로는 남아가 여아보다 2배 정도 많이 발병한다. 대부분의 경우 상기도 감염, 특히 A군 β용혈성 연쇄상구균 감염 후 7~14일(평균 10일) 뒤에 발병하게 된다. 감염으로 인해 체내에 생성된 면역복합체가 신장의 사구체 기저막에 침착되어 염증 반응을 일으키면서 급성 사구체신염이 발병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급성 사구체신염은 선행감염 후 잠복기를 거친 뒤 급성으로 발병하는 특징을 보인다.
1.3. 급성 사구체신염의 발병 원인
급성 사구체신염은 세균감염이 주된 원인이다. 특히 A군 β용혈성 연쇄상구균의 상기도 감염증, 예를 들어 비염, 인두염, 후두염, 편도선염 등이 발병의 주 원인이다. 이러한 상기도 감염증에 걸린 환자의 경우, 감염 후 평균 10일 정도의 잠복기를 거쳐 급성 사구체신염이 발병하는 경우가 가장 많다.
감염으로 인해 생성된 면역 복합체가 신장의 사구체 기저막에 침착되어 염증 반응을 일으키게 되는 것이 병인이다. 그 외에도 바이러스, 약물, 기타 병원체의 감염이 원인이 될 수 있으며, 일부 경우에는 명확한 원인을 찾기 어려운 경우도 존재한다.
이와 같이 급성 사구체신염의 주요 발병 원인은 감염, 특히 A군 β용혈성 연쇄상구균에 의한 상기도 감염증이다. 이러한 선행 감염이 있은 후 일정 잠복기를 거쳐 면역 복합체 침착으로 인한 사구체 염증이 발생하게 된다.
2. 급성 사구체신염의 병태생리와 증상
2.1. 급성 사구체신염의 병태생리
면역복합체가 사구체 기저막에 축적되어 나타나며, 이로 인해 사구체가 커져있고(부종) 다형핵 백혈구가 침윤되어 있어 이로써 모세혈관 내경이 폐쇄된다. 이로 인한 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