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한국 간호역가
우리나라는 날이 갈수록 고령화 사회에 접어들면서 노인인구가 급증하고 있다. 과거에 대동맥판막 협착증의 주요 원인이었던 류마티스열은 생활수준 향상에 따른 감염성 질환 감소로 현재는 퇴행성 변화에 의한 판막 질환이 가장 흔한 원인으로 대두되고 있다. 노인 인구가 증가하면서 대동맥판막 협착증 환자도 자연스레 늘어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의술의 발달로 TAVI라는 수술법이 개발되어 흉골 절개 없이도 간편하게 수술할 수 있게 되었다. 이처럼 의술이 발전하면서 간호학도로서 이 질환을 가진 환자에게 발전 수준에 맞는 간호를 제공해야 할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1.2. 연구의 목적
간호 사정의 목적
간호사정은 대상자의 건강 상태, 간호요구도 및 문제점 등을 사정하여 간호진단을 내리고 적절한 간호중재를 수립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루어진다. 환자의 개인력, 건강력, 생리적 검사 및 결과, 약물 처방 사항 등을 종합적으로 파악하여 대상자의 전체적인 건강상태와 문제점을 정확히 파악한다. 이를 토대로 실제적이거나 잠재적인 건강문제를 도출하고 우선순위에 따른 간호 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따라서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간호사정은 대상자에게 최적의 간호를 제공하기 위한 필수적인 단계라 할 수 있다.
1.3. 선행연구 고찰
대동맥판막 협착증에 관한 기존 연구들을 살펴보면, 이 질환의 주요 원인은 퇴행성 변화, 류마티스성 판막 변성, 선천적 판막 기형 등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발생하는 퇴행성 변화가 가장 흔한 원인이며, 이로 인해 판막이 섬유화되고 석회화되어 좁아지게 된다. 또한 류마티스열로 인한 염증성 변화도 대동맥판막 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 그리고 태어날 때부터 대동맥판막의 구조적 이상을 보이는 선천적 기형도 젊은 층에서 발생하는 대동맥판막 협착증의 주요 원인으로 확인되었다. 최근에는 심장 검사 기술의 발달로 인해 과거에는 발견되지 않았던 경미한 수준의 협착증도 진단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고령화 사회가 진행되면서 대동맥판막 협착증 환자가 늘어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의료 기술의 발달과 간호 수요 증가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2. 간호 사정
2.1. 개인력
김00씨는 28세 여성이다. 입원 당시 미혼 상태였으며, 국적은 대한민국, 인종은 황인이다. 종교는 무교이다. 직업은 공무원이며, 진료비 지불 능력이 있다. 과거병력과 자가투약, 알레르기는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가족병력도 없었으며, 흡연과 음주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월경 상태는 규칙적이며, 최종 월경일은 2020년 9월 26일이었다. 키는 169cm이고, 현재 체중은 58kg이다.
2.2. 건강력
대상자는 28세 여성으로, 최근 몇 달 전부터 월경 기간에 심한 하복통과 골반통을 가지고 있었으나 최근 증상이 더욱 심해져 내원하게 되었다. 과거 병력과 가족력, 알레르기, 투약 내역 등에서는 특이사항이 없었다. 또한 음주와 흡연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10일 전 마지막 월경을 경험하였으며, 월경 양상은 규칙적이었다. 대상자는 공무원으로 직업을 가지고 있었고 경제 상태도 양호한 편이었다.
2.3. 이학적 검사 결과
이학적 검사를 통해 대동맥판막 협착증 환자의 다양한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청진 시 혈액이 협착된 대동맥판막을 통과하면서 발생하는 수축기 심잡음이 관찰된다. 이 심잡음은 오른쪽 흉골연의 두 번째 갈비사이공간 위치에서 잘 들린다. 또한 기본적인 흉부 X선 검사와 심전도 검사를 통해 환자의 심장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심초음파 검사는 대동맥판막의 석회화 정도, 변성 정도, 대동맥판막의 개구부 크기, 압력차 등을 평가할 수 있어 대동맥판막 협착증 진단에 매우 중요하다. 경우에 따라 관상동맥 조영술을 시행하여 관상동맥 질환의 유무도 확인한다. 이처럼 이학적 검사는 대동맥판막 협착증을 진단하고 그 정도를 파악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2.4. 진단 검사 결과
대동맥판막 협착증 환자의 진단을 위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