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영화 '브로커'에 대한 고찰
1.1. 영화 '브로커'의 주요 내용 및 시사점
영화 '브로커'는 버려진 아기를 파는 브로커들의 여정을 다룬다. 주요 내용으로는 브로커인 상현과 동수가 버려진 아기 우성이를 중간에 가로채는 장면과, 이들을 잡기 위해 잠입 수사 중이던 형사 수진과 이 형사의 활동을 볼 수 있다. 소영은 우성이의 친모이지만 우성이의 친부를 살해한 과거가 있어 그들의 갈등이 지속된다. 이들은 점차 서로의 사정을 이해하고 유대감을 형성해 나가면서 새로운 가족 관계를 맺게 된다.
이 영화는 여러 가지 시사점을 던진다. 첫째, 이기적 유전자 관점에서 볼 때 자녀를 위한 이기주의는 정당화될 수 있으나, 이러한 논리가 어디까지 통용될 수 있을지 의문이 든다. 둘째, 도박 중독자였던 송강호 캐릭터가 친자식의 소식을 접하고 침착하게 반응하는 모습은 상반된 모습으로 보인다. 셋째, 영화는 성매매 여성의 비참한 현실을 보여주지만 그들의 입장을 합리화하는 듯한 서술이 아쉽다. 넷째, 영화 속 미혼모 소영이 낙태와 살인을 선택한 이유에 대해 관객 개인의 판단이 다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다섯째, 영화는 입양에 대한 사회적 편견과 브로커의 문제를 지적하며, 새로운 가족 형태의 가능성을 보여준다.
1.2. 영화 속 가족의 다양한 형태
영화 '브로커'에는 다양한 가족의 형태가 등장한다. 첫 번째로 딩크족(DINK, Double Income No Kids)인 성매매 여성과 남편의 모습을 볼 수 있다. 이들은 아이를 갖지 않고 부부끼리만 살아가는 모습을 보인다. 또한 모자 가족의 형태로 조직 폭력배 태호와 그의 어머니가 등장하는데, 이들은 가게를 함께 운영하며 가까운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한편 불임 가족으로 우성을 구매하려는 두 쌍의 부부도 등장한다. 이들은 아이를 갖지 못하는 상황에서 불법적인 방법으로라도 아이를 얻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이혼 후 재혼한 가족의 모습도 나타나는데, 상현은 새로운 아내와 딸을 두고 있으며 이들 간의 갈등과 화해가 그려진다. 이처럼 영화 '브로커'에는 전통적인 핵가족 외에도 다양한 가족의 모습이 등장하여 현대 사회의 변화된 가족관을 보여준다.
1.3. 신가족의 등장과 기존 가족제도와의 갈등
영화 '브로커'에서는 기존의 전통적인 가족제도와는 다른 새로운 가족 형태들이 등장한다. 입양과 관련하여 사회적인 편견이 존재하며, 브로커들은 이러한 편견을 악용하여 불법적인 인신매매를 행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