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 입원과 관련된 불안 간호과정 / 아동간호학 간호진단"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아동 간호와 가족 중심 돌봄
1.1. 아동 입원의 배경 및 필요성
1.2. 가족 중심 돌봄의 중요성
1.3. 입원 아동 보호자의 역할과 과제
2. 입원 아동의 간호 중재
2.1. 분리 예방 및 최소화
2.2. 통제력 상실 최소화
2.3. 신체손상에 대한 공포 예방과 감소
3. 가족 간호 중재
3.1. 가족구성원 지지
3.2. 정보 제공
3.3. 부모 참여 격려
3.4. 퇴원 및 가정간호 준비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아동 간호와 가족 중심 돌봄
1.1. 아동 입원의 배경 및 필요성
아동의 입원은 두려움, 분리, 불안을 느끼게 하는 사건이다. 특히 5세 이하 아동의 경우 분리에 대한 두려움이 크게 작용한다. Salmela, Salantera, & Aronen가 4-6세 아동 90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 따르면, 아동의 91%가 병원과 관련된 두려움을 경험하였으며, 그 원인으로 통증, 주사, 낯선 환경, 입원, 가족과의 분리 등을 꼽았다. 이처럼 아동의 입원은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사건이지만, 가족은 이러한 스트레스에 잘 대처할 수 있는 힘의 원천이 된다. 특히 부모는 아동에 관한 정보를 의료진보다 더 많이 가지고 있고, 아동의 입원 생활과 돌봄에 직접 참여함으로써 아동의 입원 적응과 질병과정에 도움을 줄 수 있다. 한편, 입원 아동의 부모는 아이에 대한 상태와 질병에 대한 정보뿐 아니라 자신들의 상황을 이해해주기를 바라는 등 여러 가지 요구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부모의 요구들이 관심의 대상이 되면서, 가족의 요구 충족 및 만족도에 대한 중요성이 증가하였다. 그 결과 아동의 삶에 가족과 부모의 역할이 중요함을 인식하고, 아동의 건강관리 모든 면에 있어 가족의 참여를 지지하고 존중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는 '가족중심돌봄'의 철학이 확산되었다.
1.2. 가족 중심 돌봄의 중요성
가족 중심 돌봄의 중요성은 다음과 같다.
가족은 입원한 아동들이 경험하는 스트레스에 잘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힘의 원천이 된다. 특히 아동이 입원하는 경우 보호자로서 부모는 아동에 관한 정보를 의료진보다 더 많이 가지고 있고, 아동의 입원 생활과 돌봄에 직접 참여함으로써 아동의 입원 적응과 질병과정에 도움을 줄 수 있다.
한편, 입원 아동의 부모는 아이에 대한 상태와 질병에 대한 정보뿐 아니라 자신들의 상황을 이해해주기를 바라는 등 여러 가지 요구를 가지고 있다. 의료 서비스에 대한 고객의 관점과 가치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입원 아동 부모의 이러한 요구들은 관심의 대상이 되었고, 가족의 요구 충족 및 만족도에 대한 중요성이 증가되었다.
그 결과 아동의 삶에 가족과 부모의 역할이 중요함을 인식하고, 아동의 건강관리 모든 면에 있어 가족의 참여를 지지하고 존중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는 '가족중심돌봄'의 철학이 확산되었다. 이는 입원 아동에게 분리 불안을 감소시키고 정서적 안정을 제공하는 등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1.3. 입원 아동 보호자의 역할과 과제
입원 아동의 보호자는 아동의 입원생활과 돌봄에 직접 참여함으로써 아동의 입원 적응과 질병과정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입원 상황에서 보호자가 수행하는 역할은 크게 아동을 위해 먹이기, 입히기, 재우기, 놀아주기 ...
참고 자료
김영혜 외, 『아동간호학 각론』, 현문사, 2018
정소영 · 탁영란, “입원 아동의 가족중심돌봄 개념분석”, 한국아동간호학회, 2017
-출처 : 학술콘텐츠 디비피아(DBpia)
정은 · 권인수, “보호자역할증진 프로그램이 입원아동 보호자의 불확실성, 스트레스 및 돌보기 수행에 미치는 효과”, 『한국아동간호학회』, 2017
-출처 : 학술콘텐츠 디비피아(DBp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