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간호력 사정
1.1. 일반적 특성
환자의 일반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환자명은 이●●이며, 69세 여성이다. 결혼상태는 기혼이고 직업은 주부이며, 교육정도는 고졸이다. 진단명은 Coxarthrosis, unspecified(변형성고관절증)과 AVN(avascular necrosis, 무혈관성 괴사)이다.
5년 전 좌측 고관절 부분 치환술(Lt BPHA, bipolar hemiarthroplasty)을 시행한 과거력이 있다. 최근 6개월 간 우측 고관절통(Rt hip pain)을 주호소로 내원하여 현재 AVN이 의심되어 우측 전치환술(Rt, THRA) 수술을 계획하고 있다.
1.2. 과거력
69세 여성 환자는 5년 전 좌측 고관절 부분 치환술(bipolar hemiarthroplasty)을 받은 과거력이 있다. 이는 고관절 질환에 대한 치료법 중 하나로, 대퇴골두만 인공관절로 교체하는 수술이다. 또한 환자는 2003년에 양측 슬관절 전치환술(TKRA)을 받은 과거력이 있으며, 2005년에는 우측 대퇴골 경부 골절의 수술력이 있다. 이처럼 환자는 이전부터 고관절과 슬관절 등의 정형외과적 질환을 앓아왔음을 알 수 있다.
더불어 환자는 고혈압 1년 전, 당뇨병 15년 전 진단되었고, 간간히 변비약을 복용하는 등 기저질환들을 가지고 있다. 2019년에는 협심증, 2020년에는 심근경색으로 입원한 기록이 있어 심혈관계 질환 또한 동반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처럼 이 환자는 고관절, 슬관절, 그리고 심혈관계 및 내분비계 질환 등 다양한 기저질환을 가지고 있는 다병발 환자라고 볼 수 있다.
1.3. 주호소 및 입원 경위
Rt. hip pain 주호소로 어제 본원 내원한 환자로 AVN : avascular necrosis (무혈관성 괴사) 진단받고, 금일 Rt, THRA 수술 예정이다. 5년 전 Lt BPHA(bipolar hemiarthroplasty)(고관절 부분 치환술) 시술한 과거력이 있다."강●●님 세 여성으로 요양원에 계시면서 정상야외보행 하시던 분으로 내원 2시간 전 턱에 걸려 넘어진 후 Rt hip pain 주호소로 증상 발생해 Fracture of interotrochanteric section of femur, closed 진단받고, 9/19 Closed reduction of fracture, femur (right) 수술위해 입원한 환자이다."
1.4. 현재 상태
환자 이●●는 69세 여성으로 내원 2일 전 우측 고관절 통증을 주소로 본원에 내원하였다. 환자는 5년 전 좌측 고관절 부분 치환술(BPHA)을 받은 과거력이 있으며, 내원 당시 우측 고관절 부위에 NRS 7점의 날카로운 통증을 호소하며 주로 지팡이나 보호자의 부축을 받아 이동하고 있었다. 또한 수술에 대한 불안감으로 인해 실금 및 잔뇨감, 빈뇨감을 호소하였다.
환자는 수술 전 NRS 2점의 우측 고관절 통증을 호소하고 있었으며, 간헐적으로 심호흡을 하며 통증을 관리하고 있었다. 마취과 의사와의 유선 인계 후 수술을 위해 수술실로 내려갔다.
수술 후 환자는 휠체어 보행이나 보행기를 이용한 보행이 가능한 상태이나, 수술 부위 통증으로 인한 불편감을 호소하고 있었다. 특히 수술 직후 통증이 심했으나 PCA(patient controlled analgesia)와 진통제 투여로 통증이 점차 완화되었다. 또한 실금 및 잔뇨감, 빈뇨감도 감소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수술 부위 드레싱은 깨끗하게 유지되고 있었으며, 상처 부위 출혈이나 감염 징후는 관찰되지 않았다.
1.5. 치료 과정
이 환자는 9월 20일 오후 5:20에 입원하였고, 우측 엉덩이 통증(NRS 7점)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본원 X-ray 검사 결과 AVN(무혈관성 괴사)이 의심되어 수술 치료를 위해 입원하였다.
입원 당일인 9월 20일 오후 5:20에 입원한 환자는 NRS 2점의 통증을 호소하였고, 날카로운 통증, 간헐적 통증을 보였다. 실금 및 잔뇨감, 빈뇨감을 느낀다고 하였다.
9월 21일 오전 8:35에 마취과 의사 인계 후 수술을 위해 수술실로 내려갔다. 수술은 THA Rt(우측 고관절 전치환술)로 시행되었다. 수술 전 항생제 Cefotetan 1g을 투여하였고, 수혈을 위해 농축적혈구 320ml와 신선동결혈장 320ml를 준비하였다.
수술이 끝난 후 환자는 휠체어보행, 워커보행이 가능한 상태였으며, 수술 다음날 CPM과 휠체어 운동을 시작하였다. 수술 후 1일차에는 금식 상태를 유지하다가 2시간 후부터 물 섭취, 3시간째부터 연식으로 식이를 진행하였다. 또한 하지 벌림 자세와 무릎 아래 및 허벅지 사이에 베개를 받치는 자세를 취하였다.
수술 후 IM/IV/PO 진통제와 항생제, 혈액순환개선제, 비타민제 등을 투여하며 통증 조절과 감염 예방, 회복을 위한 치료를 진행하였다.
요약하면, 이 환자는 우측 고관절 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