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수간호사의 대처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간호사의 윤리적 딜레마와 대처방안
1.1. 윤리적 딜레마의 의미
1.2. 윤리적 딜레마 사례 개요
1.3. 윤리적 딜레마 사례 분석
1.4. 논의 및 대안 선택
1.5. 윤리적 결정
2. 간호관련법규 판례해석
2.1. 판례 소개
2.2. 판시 주요내용
2.3. 재판 요지
2.4. 관련 근거법
2.5. 판례에 대한 자신의 생각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간호사의 윤리적 딜레마와 대처방안
1.1. 윤리적 딜레마의 의미
윤리적 딜레마는 윤리나 도덕의 문제가 내포된 상황에서 만족스런 해결이 불가능해 보이는 어려운 문제 혹은 어떤 선택이나 상황이 동등하게 불만족스런 두 가지 중에서 결정해야 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간호사들은 직접적인 간호업무보다 오히려 환자의 죽음, 환자와 가족들의 요구, 협력자 및 관리자와의 갈등문제로 윤리적 딜레마에 직면하게 된다. 간호사들은 실무에서 윤리적 딜레마 상황에 부딪힐 때마다 이러한 문제에 대한 확고한 해답이 없어 이를 회피하거나 무관심으로 흘려버리려는 경향이 있으며, 이를 통하여 자기만이 갖는 비밀 또는 무의식 속의 죄의식으로 처리하고 있다. 또한 간호사 윤리강령이 있지만 딜레마 상황에 대한 구체적인 방향을 제시해주지 못하기 때문에 개별적, 관례적, 감정적 차원에서 대처하는 경향이 많다. 이는 간호사들의 태도가 질적 간호제공에 영향을 미치고 간호전문직 발전에도 저해 요소가 된다. 따라서 간호사들은 윤리 도덕적인 문제와 관련된 지식과 이해력을 갖추어 딜레마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야 한다.
1.2. 윤리적 딜레마 사례 개요
사례「회복이 불가능한 환자에 대한 무의미한 치료」에서는 뇌졸중(Cerebrovascular accident, CVA)으로 거의 1년 동안 무의식인 상태인 환자에 대해 담당 간호사 김 씨가 새벽 근무 중 갑자기 발생한 청색증, 혈압 저하, 소변량 감소 등의 증상을 경험하였다"" 의사는 환자의 상태가 회복 불가능함을 보호자에게 설명하였고, 보호자는 집으로 돌아갔지만 새벽 5시경 환자가 심장마비가 왔다며 보호자가 뛰어왔다"" 이에 심폐소생술이 시작되었지만 환자의 상태가 악화되어 5시부터 6시까지 심폐소생술을 시도하였고, 의사는 전기충격기까지 가져오라고 하였다"" 이 상황에서 김 간호사는 회복 불가능한 환자에게 무의미한 치료를 계속해야 하는지, 편안한 임종을 맞이하도록 해야 하는지에 대한 심각한 갈등을 경험하게 되었다""
1.3. 윤리적 딜레마 사례 분석
사례 속 환자는 뇌졸중(Cerebrovascular accident, CVA)으로 지난 1년 동안 무의식인 상태였고 현재 환자가 회복될 가능성이 없다는 사실은 의사도, 보호자도 알고 있는 상황이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심장마비가 발생한 환자에게 심폐소생술을 실시하고 전기충격파까지 시도하는 것이 정말 옳은 일인가라는 의문이 들었다. 또한, 환자는 심폐소생술을 시행한 지 이미 1시간이 지난 상태였고 약물투여를 계속한다고 해서 상태가 호전될지 알 수 없는 상황에서 간호사가 심폐소생술의 필요성에 대해 재반문하였음에도 불...
참고 자료
김현경. (2003). 윤리적 딜레마 사례에 대한 간호사의 의사결정 분석. 간호행정학회지, 9(3), 459-480.
박현주, 김미예. (2004). 간호사의 윤리적 딜레마와 대처유형.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0(1), 75-83.
박명옥, 윤희장. (2016). 중환자실 간호사가 경험하는 윤리적 딜레마.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6(8), 81-93.
연명의료결정법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3385743&cid=43667&categoryId=43667
인천지방법원 2006. 6. 16. 선고 2005고단302 판결[업무상과실치사∙의료법위반] https://lbox.kr/case/%EC%9D%B8%EC%B2%9C%EC%A7%80%EB%B0%A9%EB%B2%95%EC%9B%90/2005%EA%B3%A0%EB%8B%A8302
인천지방법원 2008. 1. 10. 선고 2006노1326 판결 [업무상과실치사·의료법위반] https://lbox.kr/case/%EC%9D%B8%EC%B2%9C%EC%A7%80%EB%B0%A9%EB%B2%95%EC%9B%90/2006%EB%85%B81326
대법원 2010. 3. 25., 선고, 2008도590, 판결 https://www.law.go.kr/precInfoP.do?mode=0&precSeq=144505&vSct=%EC%97%85%EB%AC%B4%EC%83%81%EA%B3%BC%EC%8B%A4%EC%B9%98%EC%82%AC%20%EB%A7%88%EC%B7%A8%EC%A0%84%EB%AC%B8%EA%B0%84%ED%98%B8%EC%82%AC
마취전문간호사의 마취시술행위, 법원도 “불인정” [의협신문 2021.09, 홍완기 기자] https://www.doctors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41148
‘전문간호사’ 업무 범위 놓고 의사∙간호사 대립하는 이유는?‘ [파이낸셜뉴스 2021.09, 안호균 기자] https://www.fnnews.com/news/2021092007014626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