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약제저항성"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약제저항성 해충의 발생 현황과 원인
2.1. 돌발 해충
2.1.1. 꽃매미
2.1.2. 미국선녀벌레
2.1.3. 갈색날개매미충
2.2. 약제저항성 해충
2.2.1. 배추좀나방
2.2.2. 벼멸구
2.2.3. 끝동매미충
3. 약제저항성 해충의 관리 및 방제 대책
3.1. 돌발 해충의 방제
3.2. 약제저항성 해충의 방제
4. 결론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농작물을 재배할 때 병해충으로부터 작물을 보호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작물은 병해충에 의해 병에 걸리거나 성장하지 못해 실패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농작물을 키우면서 잡초를 제거하거나 살충제를 사용하는 등 다양한 방제 방법이 동원된다. 하지만 이렇게 방제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병해충으로 인해 작물이 손상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우리나라에 원래 존재하지 않았던 해충이 발견되어 작물에 피해를 주거나 기존의 병해충의 개체수가 급증하여 작물이 제대로 자라지 않는 경우가 있다. 또한 살충제를 지속적으로 사용하다 보니 살충제에 저항성을 가지는 해충도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해충은 기존의 약제로는 제거하기 어렵기 때문에 새로운 방제 방법이 필요하다.
작물을 잘 키우기 위해서는 병해충에 대해 자세히 알고 있어야 한다. 병해충으로부터 피해를 막기 위해서는 화학적 방제뿐만 아니라 물리적인 방제 방법까지 함께 사용해야 한다.
2. 약제저항성 해충의 발생 현황과 원인
2.1. 돌발 해충
2.1.1. 꽃매미
꽃매미는 2006년 관악산에서 최초로 발견된 해충으로 중국에서 유입된 외래해충으로 추정된다. 2008~2009년에는 포도나무와 배, 복숭아, 사과 등 정읍의 과원에서 발생하였다. 당시 발생량은 적었지만 넓은 면적에서 발생했으며, 특히 포도나무의 큰 피해를 주었다. 꽃매미는 30~50개 알을 낳으며 연 1회 발생하지만, 나무줄기나 시멘트 기둥 등 어디서나 산란이 가능해 번식력이 높다. 최근 지구 온난화로 겨울 날씨가 많이 따뜻해지면서 자연 도태되는 알이나 유충의 수가 줄어들어 그 수가 점차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사진에서 보듯이 꽃매미로 인해 포도 과실과 포도잎에 그을음이 발생한다. 이렇듯 과원에 피해를 입히는 꽃매미는 3단계에 걸쳐 관리방제를 하게 된다.
2.1.2. 미국선녀벌레
미국선녀벌레는 북아메리카가 원산지인 외래해충이다. 이 해충은 2009년 서울과 밀양에서 최초로 발견되었으며, 이후 매년 발생지역과 면적이 늘어나고 있다. 2019년에는 전국 104개 시군에서 1만 2620ha가 발생하여 농가에 큰 피해를 입혔다.
미국선녀벌레는 원래 우리나라에 존재하지 않았던 해충이다. 다른 외래해충과 달리 침엽수를 제외한 모든 활엽수와 농작물에 붙어 살 수 있어 확산속도가 빠르다. 미국선녀벌레가 우리나라에 나타난 이유는 선박 수화물로 유입된 것으로 추정된다. 국가 간 무역량 증가로 예상하지 못한 외래해충의 유입으로 인한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미국 동부지역에서 발견된 미국선녀벌레는 한국뿐만 아니라 프랑스, 스페인, 오스트리아, 체코 등으로 확산되어 피해를 주고 있다.
2.1.3. 갈색날개매미충
갈색날개매미충은 2009년 공주의 사과원에서 최초로 발견되었다. 이후 급속히 확산하여 2011년 구례에서 대량으로 발생하였고, 2016년 이후에는 전국으로 확산하였다. 갈색날개매미충은 사과나무와 감나...
참고 자료
최재을 외(2018) 식물의학.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김길하 외(2012) 삼고 해충학. 향문사
김길하 외(2014) 곤충독성학. 월드사이언스
최병렬, 해충의 약제저항성 기구 및 대책. 군산시 홈페이지.
이상길, 꽃매미의 피해현황 및 방제대책, 국립산림과학원, 2008
한민혁, ‘미국선녀벌레’와 ‘선녀벌레’는 달라요, 영농자재신문, 2020.06.12. http://www.newsfm.kr/news/article.html?no=4832
김윤종, ‘미국선녀벌레’주의보, 동아일보, 2011.07.20. https://www.donga.com/news/Society/article/all/20110720/38928263/1
정인홍(In-Hong Jeong),이상구(Sang-Ku Lee),Yue Gao,전성욱(Sung-Wook Jeon),박부용(Bueyong Park),이상범(Sang-Bum Lee),정진교(Jin Kyo Jeong),이시우(Si Woo Lee),이시혁(Si Hyeock Lee),and 권덕호(Deok Ho Kwon). "배추좀나방 지역 계통의 11개 약제에 대한 저항성 수준 평가와 약제효력지수에 대한 개념 설정." 농약과학회지 21.2 (2017): 214-223.
‘벼’ 비래해충 3년 만에 최다 발생,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2010.08.09.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5653958#pressRelease
한국작물보호협회
https://www.koreacpa.org/wp-content/uploads/2020/11/3.%EB%86%8D%EC%95%BD%EC%9D%98-%EC%A0%80%ED%95%AD%EC%84%B1-%EA%B4%80%EB%A6%AC-1.pdf
농촌진흥청
https://www.nongsaro.go.kr/portal/ps/psb/psbk/kidoContentsFileView.ps?ep=8TZwQRd8dRbA2/Mraeay@TEIVp3sTU28uvSKN7WvRlI!
농약과학회지 (Korean J. Pestic. Sci.)
이미다클로프리드 저항성 벼멸구의 살충제 교차저항성과 두 종류 벼 품종(친농과 추청)에서의 발육특성
정인홍·전성욱·이상구·박부용·박세근·이상범·최낙중·이시우·이시혁·권덕호
Vol. 21, No. 4, pp. 381-388 (2017)
http://kspsjournal.or.kr/xml/12259/12259.pdf
[경향신문] 갈색날개매미충 ‘공습 경보’…방제 비상
- 권순재 기자, 2015.07.15
https://www.khan.co.kr/local/Chungnam/article/201507151456261
국립공원공단 생물종정보 : 동물
https://terms.naver.com/list.naver?cid=42478&categoryId=596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