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세종한국어 3권 2과 -는것 강의교안"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교재의 개발 배경과 목적
1.2. 교재 분석의 필요성
2. 본론
2.1. 한국어 교재 개발의 외적 특징
2.1.1. 학습자 성향 및 목적 고려
2.1.2. 통합교재, 기능별 교재, 범주별 교재의 균형 개발
2.1.3. 현지화 교재 개발
2.1.4. 웹 기반 교재 개발
2.1.5. 사용자 친화적 교재 개발
2.2. 한국어 교재 개발의 내적 특징
2.2.1. 혼합 교수요목의 활용
2.2.2. 의사소통 교수 이론의 적용
2.3. '세종한국어 6'의 장단점 분석
3. 결론
3.1. 한국어 교재 개발의 전반적 평가
3.2. 향후 과제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교재의 개발 배경과 목적
세종한국어 시리즈는 문화체육관광부 산하의 세종학당재단과 국립국어원이 국내외에서의 한국어 교육 과정을 체계화하고 표준화하고자 하는 의도로 만들어진 통합 교재이다. 이 교재는 세종학당에서 한국어 학습을 시작하는 학습자들을 위해 그들의 의사소통 능력과 한국 문화에 대한 이해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특히 초급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통합 교재이다. 또한 세종학당 수업에 직접 참가하기 힘든 학습자들도 온라인 강의를 통해 단순히 교재가 아닌 시각적, 음성적 설명과 함께 스스로 공부할 수 있도록 하였다.
1.2. 교재 분석의 필요성
교재 분석의 필요성은 교재가 교육 목표를 구현하고 교육 과정 내용을 문서화하여 학습자에게 효율적으로 전달하는 수업에 필수적인 교육적 도구이기 때문이다. 교재는 교육과정을 구체적으로 실현시킨 구현체이며 교사와 학습자를 연결해주는 매개체이다. 따라서 교재에 대한 분석은 한국어 수업에서 학습자의 요구사항을 파악하고 효과적인 교육을 수행하는 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교재 분석을 통해 교육 내용과 방법의 적절성, 학습 효과성 등을 검토하고 개선 방안을 도출할 수 있다. 이는 한국어 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해 필수적이라고 볼 수 있다.[1,2]
2. 본론
2.1. 한국어 교재 개발의 외적 특징
2.1.1. 학습자 성향 및 목적 고려
학습자 성향 및 목적 고려이다. 세종한국어 시리즈는 문화체육관광부 산하의 세종학당재단과 국립국어원이 국내외에서의 한국어 교육 과정을 체계화하고 표준화하고자 하는 의도로 만들어진 통합 교재이다. 특히 세종한국어 시리즈는 온라인 누리-세종학당이나 유튜브를 통해 온라인 비디오 강의를 접할 수 있으므로 세종학당 수업에 직접 참가하기 힘든 학습자들도 온라인 강의를 통해 단순히 교재가 아닌 시각적, 음성적 설명과 함께 스스로 공부할 수 있고 한국어 교사는 세종한국어를 가르치는데 필요한 보조 자료들을 쉽게 구할 수 있다. 세종한국어 시리즈는 초급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만들어진 통합 목적 교재이며, 한국어 학습자의 의사소통 능력과 한국 문화에 대한 이해력을 향상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2.1.2. 통합교재, 기능별 교재, 범주별 교재의 균형 개발
통합교재, 기능...
참고 자료
구민지,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재론", 강의 교안
국립국어원, "세종 한국어 1", 2013
누리 세종학당, “세종한국어6”, 세종한국어6(증보판) (iksi.or.kr), (2021-05-03)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재론』, ㅇㅇㅇ 원격평생교육원,P5-6, P19-20, P49-56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발음 교육론 강의 교안(2021), 배론원격평생교육원.
박정진(2012) "한글 자모자(子母字)교육 내용의 문제점과 수정 방안"에 대한 토론문
한국문법교육학회 학술발표논문집(N/A) Vol.2012 No.1
국립국어원-세종한국어- 1
국립국어원-결혼 이민자 한국어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