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과제를 들어가며
사람이 살아가다 보면 뜻하지 않게 크고 작은 사고들을 겪게 된다. 사고의 결과는 여러 가지로 나타나는데, 대표적인 질환들 중 뼈의 부러짐을 뜻하는 '골절'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어릴 때에 호기심이 많고 활발한 성격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다치는 일이 아주 많았다. 나는 몇 번 더 뼈를 다치는 일이 있었고 그 당시에는 몰랐지만, 간호학과를 다니면서 골절에 대해서 몇 번 배우고나니 그때 했던 치료들의 의미를 알게 되어 흥미로웠던 기억이 있다. 이번 과제를 통해 골절을 더 자세히 알고 싶어 이 주제를 선정하게 되었다. 엄마가 얼마 전 폐경이 되셨는데 폐경 후에 골절과 골다공증이 많이 생긴다고 하여 이에 대해 좀 더 알고 싶은 마음에 여성의 폐경 후 골다공증과 낙상이 얼마나 잘 발생하며 골절의 위험은 얼마나 큰지에 대해 나와 있는 논문을 선택하게 되었다.
1.2. 골절의 개념 및 분류
골절(fracture)이란, 뼈나 골단판 또는 관절면의 연속성이 완전 혹은 불완전하게 소실된 상태이다. 대개의 경우 외부의 힘에 의하여 발생하며, 뼈의 주변에 있는 연부 조직이나 장기들의 손상도 흔히 동반된다. 발생하는 위치에 따라 사지골절, 척추골절, 기타 골절(늑골, 두개골, 안와 등)로 나뉜다. 또한 골절편의 수에 따라 단순골절과 분쇄골절로 구분되며, 골선의 모양에 따라 횡골절, 사골절, 나선골절, 종골절로 세분된다. 골다공증, 종양, 감염 등의 이유로 약해진 부위에 정상적인 힘에 의해 일어난 골절을 병적 골절이라 하며, 종양 이외의 병변 부위에 일어난 경우를 불충분 골절이라 한다. 또한 뼈에 반복되는 스트레스가 가해져 점차적으로 생긴 골절을 피로골절이라 한다.
2. 골절의 원인 및 증상
2.1. 골절의 원인
대개의 경우 뼈에 강한 외력이 가해지는 외상 후에 골절이 발생한다.이다. 직접적인 외상과 간접적인 외상에 의하여 발생하는데, 직접적인 외상에 의한 골절은 작용한 외력의 크기나 외력이 작용된 뼈의 범위에 따라 조금씩 다르며 교통사고, 타박, 총상 등이 원인이 된다.이다. 간접적인 외상에 의한 골절은 뼈에 붙은 근육이나 인대가 갑작스럽게 힘이 가해지면서 뼈를 잡아당겨 골절이 생기거나 뼈에 회전력 등이 가해져 골절이 발생하는 경우 등을 말한다.이다. 그 밖에 골다공증, 종양, 감염 등으로 약해진 부위에 정상적인 뼈에서는 골절을 유발하기에 약한 힘에 의해 일어난 골절을 병적 골절(pathologic fracture)이라 하며, 종양 이외의 병변 부위에 일어난 병적 골절을 불충분 골절(insufficiency fracture)이라 한다.이다. 피로골절(fatigue fracture, stress fracture)은 뼈의 일정한 부위에 반복되는 스트레스가 가해질 때 점차적으로 생긴 골절로 군인이나 전문적인 운동 선수들에게서 장거리 행군이나 반복된 훈련 후 발생하곤 한다.이다.
2.2. 골절의 증상
골절이 발생한 부위 주변으로 통증과 압통이 발생한다. 통증은 근육의 경직, 골편의 중복, 주위 연부 조직의 손상이 원인이 되어 발생하며, 골절 부위를 움직이거나 압력을 가하면 더욱 심해진다. 골절 부위에 체액이 증가하고 출혈로 인하여 부종과 종창이 나타나고, 피부 바깥에 보이는 점상 출혈이 발생한다. 부러진 뼈가 변형되거나 위치가 변하게 되어 각을 형성하거나 회전되기도 하고, 팔, 다리의 뼈와 같은 장골에서는 근육 경직과 골절된 부위가 겹쳐지는 현상이 발생하여 사지 길이가 단축되어 보일 수 있다. 신경의 손상이 동반될 경우 감각 이상과 저린 느낌이 발생하게 된다. 심한 외상으로 인한 골절의 경우 장기 손상 등이 동반될 수 있고, 쇼크에 빠지는 경우도 있다.
2.3. 골절의 합병증
골절 환자에게는 다양한 합병증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