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성인간호학실습 NSTEMI 중환자실 심근경색 사례분석"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2. 연구 방법
2. 문헌 고찰
2.1. NSTEMI의 정의 및 원인
2.2. 병태생리
2.3. 진단방법
2.4. 증상
2.5. 치료 및 간호
2.6. 예후
3. 간호과정
3.1. 간호사정
3.2. 자료 분석 및 간호 진단
3.3. 간호계획
3.4. 간호 수행 및 평가
4. 결론 및 평가
5. 참고문헌
6. 소감문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NSTEMI는 심혈관계 질환으로 우리나라 응급실에 많이 방문하는 케이스 중 하나이다. 이 질환은 초기 응급처치와 치료하는 시간에 따라 예후가 크게 달라지기 때문에 이에 대한 연구의 중요성을 깨닫게 되었다. 따라서 이 연구를 통해 NSTEMI에 대해 어떠한 이유로 이 질환이 발생하는지 공부하고, 해당 병태생리를 통해 환자에게 진정하게 필요한 간호는 무엇이 있는지 깊이 있게 알아보고자 한다. []
1.2. 연구 방법
본 연구의 방법은 다음과 같다.
**대학교병원 심혈관계 중환자실에서 2021년 03월 15일부터 2021년 03월 26일까지의 간호실습을 통해 수행하였다. 중환자실에 입원 중이신 김**님의 EMR 정보와 함께 관찰 및 면담으로 간호과정을 적용하여 연구하였다.
2. 문헌 고찰
2.1. NSTEMI의 정의 및 원인
NSTEMI는 관상동맥 내부에 생긴 혈전으로 인해 심장근육에 필요한 혈액 공급이 완전히 차단됨으로써, 심근세포의 손상 또는 괴사가 발생하는 상황을 말한다. 이는 ST분절 상승 없이 심근경색이 발생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NSTEMI의 주요 원인은 관상동맥의 죽상경화증이다. 죽상판의 파열이나 균열로 인해 혈전이 형성되고, 이로 인해 관상동맥이 갑자기 부분적으로 폐쇄되어 혈류 감소가 발생한다. 이 과정에서 심근경색이 발생한다.
이 외에도 관상동맥의 색전증, 혈관염, 수술 후 쇼크, 심한 탈수 등의 원인으로 관상동맥 혈류가 일시적으로 감소하는 경우에도 NSTEMI가 발생할 수 있다.
고혈압, 당뇨병, 흡연 등은 NSTEMI의 주요 위험요인으로, 이러한 요인들로 인해 관상동맥 내부에 콜레스테롤이 쌓여 죽상경화증이 진행된다. 그리고 이 죽상판이 파열되면 혈전이 형성되어 NSTEMI가 발생하게 된다.
2.2. 병태생리
죽상동맥경화증은 동맥벽에 주로 콜레스테롤이 침착되어 발생하는 동맥질환이다. 침착된 콜레스테롤은 결과적으로 동맥경화성 플라크를 형성한다. 대부분의 ST분절 미상승 심근경색증의 병태생리로 동맥경화성 플라크의 파열 또는 침식을 말할 수 있다. 동맥경화성 플라크의 파열은 혈소판 응집반응을 일으켜서 관상동맥에서 혈전이 형성된다. 이로 인해 동맥혈전은 심근 일부의 혈액공급을 차단한다. 그 결과로 심근세포의 영구적 손상이 발생하고, 심근세포의 죽음에 이르게 된다. 경색부위는 좌관상동맥 전하행가지(LAD)의 폐색으로 오는 좌심실 전벽에 가장 흔하며, 좌심실의 후벽과 승모판의 후측부위, 횡경막 닿는 부분에도 많이 발생된다. 좌심실 후벽의 경색은 우관상동맥(RCA)과 좌관상동맥의 회선가지(LCX)의 폐색으로 온다.
2.3. 진단방법
심전도 검사(EKG)는 급성 심근경색 환자를 진단하는 데에 매우 중요하다. 심근경색 환자는 EKG상 ST분절의 상승 여부에 따라 STEMI와 NSTEMI로 구분된다.
STEMI는 관상동맥이 100% 폐색되어 광범위한 심근경색이 나타나 진단된다. 반면 NSTEMI는 혈전 형성의 진행이 천천히 일어나 협착되어 완전히 관상동맥이 막히지 않은 심근경색이 나타나 진단된다.
따라서 NSTEMI 환자의 경우 EKG상에서 ST분절의 상승이 나타나지 않는다. 이를 통해 NSTEMI와 STEMI를 구분할 수 있다.
혈액 검사는 심근경색 진단에 추가적인 도움을 준다. 심근에는 CPK, LDH, myoglobin과 같은 다양한 효소가 포함되어 있는데, 이 중 CPK-MB가 심장근육에만 존재하는 단백질이기 때문에 혈액에서 이 단백질이 발견되면 심장 근육의 손상을 의미한다. 따라서 CPK-MB 측정을 통해 NSTEMI를 진단할 수 있다.
또한 GOT, CPK, LDH와 같은 효소들은 다른 장기에도 존재하기 때문에 단독으로는 심근경색 진단이 어렵지만, 흉통이 있으면서 이들 ...
참고 자료
황옥남, 유양숙, 조경숙, 김희경, 권보은, 은 영, 박효미, 박영례, 엄미란, 제 7판 성인간호학 상권, 현문사, 618
황옥남, 유양숙, 조경숙, 김희경, 권보은, 은 영, 박효미, 박영례, 엄미란, 제 7판 성인간호학 하권, 현문사, 292~308
대한진단검사의학회 : http://www.kslm.org/sub01/sub05_4.html
약학정보원:http://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0150A0235
서울아산병원:http://amc.seoul.kr/asan/mobile/healthinfo/body/bodyDetail.do?bodyId=2
급성 ST분절 상승과 ST 분절 비상승 심근경색증 환자의 예후 비교, 김민철, 안영근, 조경훈 외 17명, 대한 내과학회지: 제 77권 제 5호
관동맥질환에 의한 내과응급질환, 대한내과학회지: 제 73권
「기본간호학Ⅰ」, 양선희 외 공저, 현문사, 2018
「성인간호학II」, 윤은자 외 공저, 수문사, 2019
「성인간호학실습3 지침서」, 김경운
질병 관리본부
http://www.cdc.go.kr/CDC/health/CdcKrHealth0101.jsp?menuIds=HOME001-MNU1132-MNU1147-MNU0746-MNU2421&fid=7954&cid=69114
약학정보원, 니트로글리세린, https://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BBBBB0474
약학정보원, 모르핀, https://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DDDDD0155
약학정보원, 헤파린, https://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0030A0287
약학정보원, 아테놀롤, https://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0030A04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