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화농성관절염 케이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문헌고찰
2.1. 화농성 관절염의 정의
2.2. 관절의 해부
2.3. 화농성 관절염의 병태생리
2.4. 화농성 관절염의 원인
2.5. 화농성 관절염의 증상
2.6. 화농성 관절염의 진단
2.7. 화농성 관절염의 치료
2.8. 화농성 관절염의 간호
2.9. 화농성 관절염의 예후
3. 본론
3.1. 간호력 사정
3.2. 진단 검사
3.3. 임상검사
3.4. 투약 기록지
3.5. 간호진단
3.6. 간호과정
4. 결론 및 제언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사람의 수명이 점점 늘어나는 만큼 젊은 세대들의 건강관리에 대한 관심도도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노년층을 괴롭히는 질환 중 하나인 관절염을 연구하여 미리 증상을 알아보고 예방하고자 이 사례를 선정하게 되었다. 감염성 관절염은 세균이 빠르게 번식해 하루 이틀 만에 심각한 관절 손상을 일으킬 수 있는 응급질환으로 2012년부터 꾸준히 증가하여, 2016년에는 3만 6천 명을 넘어섰다. 입원해서 치료 받은 환자 만해도 2016년 기준으로 22만 9천 명이나 된다. 감염성 관절염의 진단과 치료가 지연되면 세균 감염에 의한 심각한 관절조직 파괴가 빠르게 진행돼 치료 후에도 관절에 심각한 후유장애를 남길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전신적인 패혈증이 동반된 경우 혈액 내 균 증식을 통해 감염성 심내막염 등을 일으킬 수 있고 패혈증으로 사망할 수 있어 신속한 치료가 필요한 질병이다.
2. 문헌고찰
2.1. 화농성 관절염의 정의
화농성 관절염은 염증을 일으키는 감염원이 관절 내에 들어옴으로써 발생되며, 피부의 발적, 열감 그리고 관절을 움직이지 못할 정도의 심한 통증을 보인다. 관절 내 조직 및 윤활액에 발생하며 대개 세균에 의해 일어나지만 일부에서는 바이러스 또는 진균에 의해 발생하기도 한다. 류마티스 관절염 같은 면역학적 질환으로 관절이 이미 파괴된 경우, 약물이나 만성질환으로 면역이 억제된 경우, 당뇨병 환자, 스테로이드 장기 복용자 및 노인에게 잘 발생한다.
2.2. 관절의 해부
관절은 여러 가지 형태가 있지만 두 개의 뼈가 만나서 이루는 관절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 양쪽의 뼈는 관절막(joint capsule)으로 서로 연결되고 그 내부를 아주 얇은 활막이 관절을 싸고 있다. 뼈의 상단 부위는 연골로 되어 있고, 연골은 혈관이 없이 관절액에서 영양을 흡수한다. 관절염이란 여러 과정을 거쳐 결국 연골의 손상을 초래하고, 더 나아가 뼈를 손상시키는 과정을 밟는다.
2.3. 화농성 관절염의 병태생리
세균이 혈액을 통하여 고관절로 전파되는 경우, 외부로부터 침입하거나 몸의 다른 부위 감염에서 퍼져 나온 세균이 혈관을 통하여 이동하다가 관절을 둘러싸고 있는 활액막에 염증을 일으키고 그 결과 관절 내로 농을 형성하게 된다. 인접한 대퇴골의 골수염이 관절 내로 전파되어 발생할 수 있다. 외상이나 수술, 주사 침 등에 의한 직접적인 균의 침투로 발생할 수 있다. 관절 내 활액막에 침균한 균이 증식하게 되면 급성 염증 반응이 일어나며 병원균과 이에 대항하는 다형핵 백혈구로부터 나오는 유독성 물질과 단백질 분해 효소에 의해 관절 연골의 파괴가 일어난다. 관절액의 증가로 관절 내압이 증가되며 관절 연골의 영양 공급이 더욱 어려워지고 혈액순환까지 방해를 받아 뼈에 혈액공급이 안되어 뼈가 괴사해 뼈가 죽어버리는 증상이 발생하기도 하며, 치료가 늦으면 관절낭의 이완으로 병적 탈구가 동반될 수 있다. 활액막염으로 육아조직이 증식하게 되면 더욱 관절 연골을 파괴할 수 있다. 이처럼 화농성 관절염의 병태생리는 세균에 의한 관절 내 염증 발생과 그에 따른 다양한 병리적 변화를 포함한다. 관절 내 감염과 그로 인한 합병증이 주요한 문제로, 적절한 치료가 이뤄지지 않으면 심각한 관절 기능 장애가 발생하게 된다.
2.4. 화농성 관절염의 원인
화농성 관절염의 근본적인 원인은 관절에 세균이 침투하는 것이다. 가장 흔한 원인균은 황색포도알균이며, 연쇄상구균과 폐렴균도 주요 원인균이다. 그 외에도 대장균 등도 원인균이 될 수 있다. 감염 경로는 주로 상기도 감염이나 종기 등으로부터 혈류를 통해 관절 내로 전파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인접 장기로부터 직접 또는 임파선을 따라 침범하기도 하며, 관절강 내에 오염된 주사기 등으로 천자를 시행하여 균이 직접적으로 침투하는 경우도 있다.
화농성 관절염의 원인은 다양하다. 수술, 약물투여, 상처부위를 통해서도 감염될 수 있으며, 요로감염, 침술, 스테로이드 주사 등도 원인이 될 수 있다. 또한 당뇨병, 류마티스 관절염, 통풍, 인공 관절, 전 관절염, 면역 저하 등의 기저 질환이 있는 경우에도 화농성 관절염이 발생할 수 있다.
신생아의 경우 연쇄상구균, 2세 이하에서는 인플루엔자 호혈균, 청소년층에서는 임질균 등 연령층에 따라 다른 원인균이 중요하며, 면역 기능이 악화된 환자에서 발생한 화농성 관절염은 치사율이 매우 높다.
전반적으로 화농성 관절염은 병원균의 관절 침투가 근본적인 원인이며, 다양한 경로를 통해 균이 관절에 도달할 수 있다. 특히 면역저하 상태나 연령에 따라 발생하는 원인균이 달라질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2.5. 화농성 관절염의 증상
화농성 ...
참고 자료
황옥남 외(2019). 성인간호학 상·하권 현문사
이은희 외(2019) 비판적 사고에 기반한 간호과정 고문사
[네이버 지식백과] 화농성관절염 [suppurative arthritis, septic arthritis, 化膿性關節炎]
(간호학대사전, 1996. 3. 1, 대한간호학회)
대한근관절건강학회 홈페이지
대한정형외과학회, www.koa.or.kr
조영준 외 4명. 화농성 관절염의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 고찰.
https://synapse.koreamed.org/upload/SynapseData/PDFData/1016jkrs/jkrs-20-852.pdf
대한정형외과학회. 화농성관절염. https://www.koa.or.kr/info/index_1_8.php
MSD 매뉴얼. 감염성 관절염(패혈성 관절염).
https://www.msdmanuals.com/ko-kr/%ED%99%88/%EB%BC%88,-%EA%B4%80%EC%A0%88,-%EA%B7%BC%EC%9C%A1-%EC%9E%A5%EC%95%A0/%EB%BC%88-%EB%B0%8F-%EA%B4%80%EC%A0%88-%EA%B0%90%EC%97%BC/%EA%B0%90%EC%97%BC%EC%84%B1-%EA%B4%80%EC%A0%88%EC%97%BC#v23362430_ko
서울아산병원. 패혈성 관절염.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735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
박은영 외 5명(2019),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현문사, 228~233p
김금순 외, 『성인간호학1 8판』, 수문사, 2017
김조자 외, 『비판적 사고를 적용한 간호과정』, 수문사, 2017
대한정형외과학회, 화농성관절염
네이버 지식백과, 화농성 관절염 : 치료와 예후, 화농성 관절염 : 원인과 진단, 종근당세파졸린주1g, 펠루비서방정45mg, 쎄레브렉스캡슐200mg, 파라마셋정325/37.5mg, 알록시주1.5ml, 노스판패취5μg/h, 다이아벡스정1000mg, 자누비아정100mg, 아마릴정2mg, 세파제돈주1g, 페티딘 HCL, 골시멘트술
널싱스킬, 절개배농 : 보조
조영준 외, “화농성 관절염의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 고찰”, 19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