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챔피언프로그램"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히든챔피언 기업의 개념과 기준
1.1. 히든챔피언 개념의 정의
1.2. 히든챔피언 선정 기준
2. 히든챔피언 기업의 공통점과 성공요인
2.1. 기술력과 혁신
2.2. 균형있는 기업생태계
2.3. 직업교육 시스템
2.4. 노사관계와 품질전략
3. 국내 기업의 히든챔피언 전략
3.1. 코스닥시장 히든챔피언 제도
3.2. 한국수출입은행 히든챔피언 육성 프로그램
3.3. 해외 사례의 국내 적용을 위한 고려사항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히든챔피언 기업의 개념과 기준
1.1. 히든챔피언 개념의 정의
히든챔피언은 세계시장을 지배하는 중소기업으로, 일반 대중에게는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특정 분야에서 세계적인 기술력과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이다. 이 개념은 독일의 경영학자 헤르만 지몬이 1980년대 말에 연구하여 소개한 것으로, 1992년 하버드 비즈니스 리뷰에 관련 논문이 소개되면서 세계적으로 주목받게 되었다. 지몬은 20년 이상 글로벌 강소기업을 연구하여 1996년과 2008년에 각각 이들 기업에 대한 분석 결과를 발표하였는데, 히든챔피언은 전 세계 시장을 지배하고, 빠르게 성장하며, 생존 능력이 탁월하고, 대중에게 잘 알려지지 않은 제품을 전문적으로 생산하며, 진정한 의미의 다국적 기업과 경쟁하고, 기적을 이룬 기업이 아니라는 6가지 기준을 갖추고 있다. 또한 세계 시장에서 1위, 2위 또는 3위를 차지하거나 소속 대륙에서 1위를 차지하며, 매출액은 약 4,400억 원 이하이고, 대중에게 잘 알려져 있지 않다는 추가 기준을 충족해야 한다.
1.2. 히든챔피언 선정 기준
히든챔피언은 세계 시장을 지배하는 기업,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기업, 생존 능력이 탁월한 기업, 대중에게 잘 알려지지 않은 제품을 전문적으로 생산하는 기업, 진정한 의미의 다국적 기업과 경쟁하는 기업, 기적을 이룬 기업이 아닌 성공을 거두고 있는 기업이다. 또한 세계 시장에서 1위, 2위 또는 3위를 차지하거나 소속 대륙에서 1위를 차지하며, 매출액이 약 4,400억 원 이하이면서 대중에게 잘 알려져 있지 않은 기업이다. 이러한 기준을 충족하는 기업들 중에서 추가적으로 세계 시장 점유율, 수익성, 기술력, 성장성, 재무안정성, 현장실사 결과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히든챔피언으로 선정된다. 히든챔피언으로 선정된 기업들은 코스닥시장 기업들 중 주력제품의 세계시장 점유율이 3위 이내로, 세계적인 기술력과 경쟁력을 갖춘 것으로 평가된다. 또한 매출액 400억 원 이상 1조원 미만의 수출 중소ㆍ중견기업 중 기술력, 성장잠재력, CEO 역량, 재무건전성 등이 우수한 기업들이 한국수출입은행의 한국형 히든챔피언 육성 프로그램의 대상이 된다.
2. 히든챔피언 기업의 공통점과 성공요인
2.1. 기술력과 혁신
히든챔피언 기업에는 세계 최고수준의 기...
참고 자료
국내 글로벌 강소기업들의 특성에 대한 연구 : 해외 히든 챔피언들의성공요인을 중심으로, 김규배, 김병구, 벤처창업연구, 2015.
한국수출입은행 홈페이지. (www.koreaexim.go.kr)
경영전략과 기업혁신, 송병선, 김종원, 도서출판 청람, 2017.02
스프린트, 제이크 냅, 김영사, 2016.10
'혁신 챔피언'의 모험정신을 북돋워라, 이현숙, 동아비즈니스리뷰, 201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