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소방설비기사
1.1. 스프링클러 설비
지하층 바닥면적이 1000 m^2 이상이거나, 무창층의 바닥면적이 1000 m^2 이상인 경우, 또는 4층 이상의 층으로 바닥면적이 1000 m^2 이상인 층이 있는 소방대상물에는 스프링클러 설비를 설치해야 한다. 스프링클러 헤드의 수평거리 설치기준은 다음과 같다.
정방향(정사각형) 배열의 경우 헤드 간 수평거리(S)는 2Rcos45°의 공식으로 산출한다. 장방향(직사각형) 배열의 경우 헤드 간 대각선 거리(S')는 √(4R^2-L^2)의 공식으로, 가로 방향 간격(L)은 2Rcos
1.2. 옥내소화전 설비
옥내소화전 설비는 건축물 내부에 설치되어 화재 발생 시 신속한 초기 진화를 위해 사용되는 소방설비이다. 옥내소화전 설비의 주요 구성요소는 다음과 같다.
옥내소화전 설비의 토출량(유량)은 최대 5개의 방수구에 대해 130리터/분 이상이어야 한다. 따라서 건축물의 규모나 층수에 따라 적정한 토출량을 산정하여 설치하여야 한다.
수원의 저수량은 최대 5개의 방수구에 대해 2.6세제곱미터 이상 확보하여야 하며, 30층 이하 건축물은 최대 2개, 30층 초과 건축물은 최대 5개의 방수구를 설치한다. 저수량 계산 시 저수조와 옥상 주조의 저수량을 합산하며, 저수조 저수량의 1/3 이상을 옥상 주조에 확보하도록 한다.
옥내소화전 설비의 전양정은 소방호스의 마찰손실수두, 배관 및 관 부속품의 마찰손실수두, 실양정(흡입양정+토출양정)을 고려하여 최소 17미터 이상이 되도록 하여야 한다.
펌프의 동력은 토출량, 전양정, 펌프의 효율을 고려하여 산정하며, 성능시험 시 정격토출량의 150% 운전 시 최소 양정은 전양정의 65% 이상이 되어야 한다.
옥내소화전의 설치개수는 건물의 둘레길이를 80미터로 나누어 산정하며, 방수구는 건물의 가로, 세로 크기에 따라 적정 개수를 배치한다.
1.3. 옥외소화전 설비
옥외소화전 설비는 옥외에 설치되어 화재 발생 시 소방대원 등이 사용할 수 있는 소화설비이다. 옥외소화전 설비의 주요 구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토출량(유량)은 350L/min에 최대 2개 소화전을 설치할 수 있다. 둘째, 수원의 저수량은 7m³에 최대 2개 소화전을 설치할 수 있다. 셋째, 전양정은 마찰손실수두, 실양정 등을 고려하여 25m 이상이 되도록 한다. 넷째, 옥외소화전의 설치개수는 건물의 둘레길이를 80m로 나누어 절상한 수만큼 설치한다.
옥외소화전 설비는 화재 발생 시 신속한 초기진화와 소방대원의 원활한 진화활동을 위해 설치된다. 이를 위해 충분한 토출량과 수원확보, 적절한 설치개수가 요구된다. 또한 충분한 전양정 확보를 통해 방수압력을 유지하여 화재 진압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1.4. 물 분무소화 설비
물 분무소화 설비는 화재발생 시 물을 고압으로 분무하여 화재를 진압하는 설비이다. 이 설비는 소화약제로 물을 사용하므로 환경친화적이며 인체에 무해하다는 장점이 있다.
물 분무소화 설비의 주요 구성요소는 펌프와 배관, 분무헤드 등이다. 펌프는 고압의 물을 공급하며, 분무헤드에서 물이 고압으로 분무되어 화재를 진압한다. 배관은 펌프에서 분무헤드까지 물을 운송하는 역할을 한다.
물 분무소화 설비의 토출량은 소방대상물의 화재안전기준에 따라 결정된다. 일반적으로 콘베이어 벨트의 경우 벨트 부분의 바닥면적 1제곱미터당 10리터/분, 변압기의 경우 표면적(바닥부분 제외) 1제곱미터당 10리터/분의 토출량이 요구된다.
수원의 양은 소방대상물의 토출량과 방사시간을 고려하여 산출한다. 예를 들어 콘베이어 벨트의 경우 토출량과 방사시간 20분을 곱하여 수원의 양을 계산한다.
물 분무소화 설비는 소화 성능이 우수하고 인체에 무해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배관의 동파 우려와 겨울철 동결 문제가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1.5. 포 소화 설비
포 소화 약제는 가연성 액체와 가연성 가스 화재에 매우 효과적이다. 포 소화약제는 화재 발생 시 액체를 형성하여 화재를 억제하고 질식소화 및 열 흡수 작용을 통해 화재를 진압한다. 포 소화 설비는 크게 고정포 방출구 방식과 포헤드 및 포워터 스프링클러 방식으로 구분된다.
고정포 방출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