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극성 정동장애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최초 생성일 2025.04.16
7,000원
AI자료를 구입 시 아래 자료도 다운로드 가능 합니다.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양극성 정동장애"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양극성 정동장애 개요
1.1. 정의 및 유병률
1.2. 원인
1.2.1. 심리사회적 요인
1.2.2. 생물학적 요인

2. 증상 및 특징
2.1. 조증 삽화 시기 증상
2.2. 우울증 삽화 시기 증상
2.3. 양극성 장애의 특징

3. 진단 및 평가
3.1. 진단 기준
3.2. 진단 과정

4. 치료
4.1. 약물치료
4.2. 환경요법
4.3. 활동요법

5. 경과 및 합병증

6. 일상생활관리

7. 사례연구
7.1. 대상자 정보
7.2. 건강력
7.3. 진단적 검사 결과
7.4. 약물치료 현황
7.5. 정신치료 및 활동요법
7.6. 간호과정
7.6.1. 우선순위별 간호진단
7.6.2. 간호진단 및 계획
7.6.3. 간호중재와 평가

8.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양극성 정동장애 개요
1.1. 정의 및 유병률

양극성 정동장애(bipolar affective disorder)는 현실과 맞지 않게 기분이 들뜨고 과장된 자신감에 차있는 기분장애이다. 조증이나 경조증 상태와 우울증이 일생동안 주기적으로 발생하는 만성재발성 질환이다. 유병률은 0.3~0.49%이며, 20% 정도가 자살로 사망하는 등 사망률이 심각하다. 청소년기 후기에 병이 생기는 경우가 많으며 대개 우울증의 모습으로 십대 때에 나타나는 경우가 많지만, 어린이나 인생의 후반기에서도 나타날 수 있다. 남자와 여자의 발생률은 차이가 없지만 남자는 주로 조증의 형태로, 여자는 주로 우울증의 형태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으며 모든 사회계층 및 나이에서 발병 가능하다. 양극성 장애의 평생 유병률은 I형 장애가 0.4~1.6%, II형 장애가 약 0.5%이다.


1.2. 원인
1.2.1. 심리사회적 요인

정신역동에서 조증은 우울에 대한 방어 현상으로 설명된다. 프로이드는 조증과 우울증을 상실의 고통을 피하기 위한 현상이라고 하였다. 인지적 관점에서는 자신과 세상에 대한 잘못된 믿음과 높은 성취목표로 인한 것으로 설명하고 있다. 또한 양극성 장애의 첫 삽화 발현 전에 과도한 스트레스 생활사건을 경험한 환자들이 많다. 이러한 요인들은 개인의 심리사회적 측면에서 양극성 정동장애의 발병에 영향을 미친다.


1.2.2. 생물학적 요인

양극성 장애는 유전적 소인이 높은 질환으로 가족 중에 양극성 장애가 있는 경우 일반인에 배해 유병률이 5~10배 높다. 특히 부모 중 한 명이 양극성 장애일 때 자녀의 25%가 양극성 장애가 될 가능성이 있고, 부모 모두가 양극성 장애일 때 자녀가 양극성 장애일 가능성은 50~75%로 증가된다. 신경전달물질 측면에서는 노르에피네피린, 도파민, 세로토닌과 호르몬과 같은 화학물질들의 상호작용으로 인하여 수면, 각성, 성기능, 내분비기능 및 공포나 분노 같은 감정 상태 조절에 이상이 나타난다. 뇌영상 연구에서는 PET, f-MRI 등을 통해 전전두엽과 내측 측두엽 부위에 신경회로의 조정이상이 발견되었다. 질병 초기에 전전두엽의 변화가 뚜렷하며, 양극성 장애로 가장 많은 영향을 받는 부위는 정서, 동기, 기억, 공포와 관련된 변연계로 전변연계에 변화 소견이 보고되었다.


2. 증상 및 특징
2.1. 조증 삽화 시기 증상

조증 환자는 잘 모르는 분야에 대해 의견을 제시하거나, 특별한 경험이나 재능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자신을 과대평가하여 능력에 넘치는 일을 시도한다. 과대망상이 흔해서 신과 특별한 관계이거나 유명 인물과 특수한 관계라고 주장한다. 수면에 대한 욕구가 감소하여 보통 평소보다 몇 시간 더 일찍 깬다. 잠을 자지 않고 며칠간 지내도 피로를 느끼지 않는 경우도 있다. 조증 환자는 일반적으로 조절이 어려울 정도로 수다스럽고 목소리가 크고 빠르다. 말을 자르거나 중단시키기 어려워 몇 시간 동안 계속하여 말을 하기도 한다. 만약 기분 상태가 예민하고 흥분이나 화를 잘 내는 상태라면, 불평이나 적대적인 비난 등이 뚜렷해진다. 조증 상태에서는 생각이 빠른 속도로 흐르는데, 실제 환자들은 말보다 생각이 더 빠르게 떠오른다고 호소한다. 또 빈번하게 사고의 비약이 나타난다. 한 화제에서 다른 화제로 갑자기 바뀌며, 가속화된 말이 거의 연속적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사고의 비약이 심하면 말은 무질서하고 지리멸렬해진다. 이야기를 하거나 어떤 일을 하다가도 연관이 없는 자극에 금방 주의가 산만해지며, 중요한 일을 지속해서 다룰 수 없게 된다. 자신에 대한 통찰력 부족과 함께 목표 지향적 활동이 증가하며 과도한 계획을 수립하게 된다. 예를 들면 성욕의 증가나 성적 환상 및 성적 행위의 증가가 흔히 나타난다. 위험을 고려하지 않고 기존에 하던 일을 다 종결하지 않고 여러 가지 새로운 일들을 시작하기도 한다. 밤낮없이 친구들이나 낯선 사람들에게 전화를 걸기도 한다. 동시에 여러 가지 일을 하거나, 여러 사람과 대화를 하는 등 정신 운동성 초조나 불안을 나타내기도 한다. 자아 팽창감, 과대 성과 판단력 결여로 인해 고통스러운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 무분별한 쇼핑, 무모한 운전, 어리석은 사업 투자 등에 경솔하게 뛰어드는 모습을 보인다. 이러한 조증의 상태는 우울증보다 급작스럽게 종료되며, 대개 더 짧고 1주 또는 그 이상 지속된다. []


2.2. 우울증 삽화 시기 증상

슬픔이 지속되거나 이유 없이 눈물이 난다. 식욕이나 수면습관의 큰 변화가 생긴다. 짜증이나 화를 내거나, 걱정, 불안 증상이 나타난다. 염세적이 되고 매사에 관심이 떨어진다. 기운이 없게 느껴진다. 죄책감이나 자신이 쓸모없다는 자책감에 빠진다. 집중력이 떨어지고 우유부단해진다. 이전에 즐기던 일이 재미없어지고, 사회생활이 줄어든다. 이유 없이 여기저기가 아프다. 죽음이나 자살에 대한 생각을 반복적으로 한다. 이처럼 양극성 장애의 우울증 삽화 시기에는 일반적인 우울증상과 유사한 증상이 나타나며, 몸에 기운이 없고 처지는 증상이 좀 더 두드러진다.


2.3. 양극성 장애의 특징

양극성 장애는 기분, 에너지, 생각과 행동에 극단적인 변화가 특징이다. 비정상적 흥분 상태인 조증 삽화와 비정상적 우울 상태인 우울증 삽화가 주기적으로 번갈아 가며 나타난다. 이러한 특징 때문에 양극성 장애를 조울증이라고도 부른다.

조증 삽화 시기에는 비정상적인 흥분, 고양, 불안, 불면, 과대망상 등의 증세가 나타난다. 조증 환자는 잘 모르는 분야에 대해 의견을 제시하거나, 특별한 경험이나 재능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자신을 과대평가하여 능력에 넘치는 일을 시도한다. 수면에 대한 욕구가 감소하여 보통 평소보다 몇 시간 더 일찍 깨며, 조절이 어려울 정도로 수다스럽고 목소리가 크고 빠르다. 사고의 비약이 심하면 말은 무질서하고 지리멸렬해진다. 자아 팽창감, 과대 성과 판단력 결여로 인해 고통스러운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 무분별한 행동을 보인다.

우울증 삽화 시기에는 슬픔이 지속되거나 이유 없이 눈물이 나며, 식욕이나 수면습관의 큰 변화가 생기고, 짜증이나 화를 내거나, 걱정, 불안 증상이 나타난다. 기운이 없고 죄책감이나 자신이 쓸모없다는 자책감에 빠지며, 집중력이 떨어지고 우유부단해진다. 이유 없이 여기저기가 아프고, 죽음이나 자살에 대한 생각을 반복적으로 하기도 한다.

이와 같이 양극성 장애는 조증과 우울증 삽화가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질병이다. 기분이 조증이나 우울증으로 바뀔 수 있고, 우울 증상과 조증 증상이 동시에...


참고 자료

원종순 외 3명,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제2판, 현문사, p213~p247
양선희 외 8명, 기본간호학 Ⅱ 제3판, 현문사, p137~p160, p195~p204
이경희 외 6명, 정신건강간호학 제2판, 정문각, p452~p467
보건복지부 국립나주병원, 양극성 정동장애, http://www.najumh.go.kr/html/content.do?depth=fc&menu_cd=02_02_00_02, 2019.12.31.
정신 건강 장애, 양극성 장애(조울 장애), MSD 매뉴얼, https://www.msdmanuals.com/ko/%ED%99%88/%EC%A0%95%EC%8B%A0-%EA%B1%B4%EA%B0%95-%EC%9E%A5%EC%95%A0/%EA%B8%B0%EB%B6%84-%EC%9E%A5%EC%95%A0/%EC%96%91%EA%B7%B9%EC%84%B1-%EC%9E%A5%EC%95%A0, 2018.06.05.
주요정신질환, 양극성 장애란?, 논산시정신건강복지센터, https://www.nonsan.go.kr/mhc/html/sub05/050103.html, 2020.10.17.
질환백과, 양극성 장애(Bipolar disorder), 서울아산병원,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580
질환정보, 양극성장애 (조울증)(Bipolar disorder), 세브란스 병원, https://sev.iseverance.com/dept_clinic/department/psychiatry/disease/view.asp?con_no=20270&page=2&SearchField=&SearchWord=, 2006.12.27.
홍경수, 극과 극을 달리는 '조울증(양극성 장애)' 란? http://www.samsunghospital.com/home/healthInfo/content/contenView.do?CONT_SRC_ID=33777&CONT_SRC=HOMEPAGE&CONT_ID=6368&CONT_CLS_CD=001027, 2016.03.08
삼성서울병원 건강이야기, http://www.samsunghospital.com/home/healthInfo/content/contenView.do?CONT_SRC_ID=33777&CONT_SRC=HOMEPAGE&CONT_ID=6368&CONT_CLS_CD=001027, 2016.03.08.
운동치료,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927723&cid=51007&categoryId=51007
이종주 (2018). 양극성 장애에 대한 현상학적 분석과 치료. 철학과 현상학 연구, 79, 59-103.
이숙, 김순오, 김희정, 최윤정 외 공저, 『 정신건강간호학』, 2판, 서울:신광출판사, 2018.
박은영 외 공저,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현문사, 2017.
드러그인포, https://www.druginfo.co.kr/index.aspx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