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뇌출혈환자 간호 컨퍼런스 및 간호진단 과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뇌출혈 환자의 간호
1.1. 질환의 정의 및 원인
1.2. 병태생리
1.3. 증상
1.4. 진단 및 검사
1.5. 치료
1.6. 간호
1.7. 재활간호
1.8. 참고문헌
2. 간호과정
2.1. 간호진단 목록
2.2. 간호과정 기록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뇌출혈 환자의 간호
1.1. 질환의 정의 및 원인
뇌출혈이란 뇌혈관의 출혈이 원인이 되어 일어나는 뇌혈관장애이다. 갑작스러운 의식장애와 이완성 반신불수 등의 뇌졸중을 일으키는 대표적인 질환이다. 뇌출혈은 출혈의 해부학적 부위에 따라 경막외출혈, 경막하출혈, 지주막하출혈, 뇌내출혈 등으로 나눌 수 있다. 경막외출혈은 중대뇌 동맥이나 다른 뇌막동맥의 파열을 동반한 두개골 골절시 생긴다. 경막하출혈은 주로 연결정맥의 파열로 발생한다. 지주막하출혈의 가장 흔한 원인은 동맥류의 파열이나 균열이다. 뇌내출혈은 대부분 고혈압과 관련되어 혈관이 파열되면서 뇌실질로 출혈이 일어나 혈종을 형성하는 질환이다. 그 외에도 뇌 아밀로이드 혈관병, 혈관 기형, 응고장애, 외상, 암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출혈은 주로 활동 중에 생기며 증상 발현은 수분~수시간 내에 일어난다.
1.2. 병태생리
뇌는 체중의 약 2%밖에 안 되지만 분당 심박출량의 약 20%를 받으며 신체의 산소 소모량의 20%를 사용하는 중요한 기관이다. 뇌의 혈류는 윌리스 환을 통해 끊임없이 순환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뇌에 혈액을 공급하는 내경동맥은 주로 전두엽, 측두엽, 두정엽, 뇌간, 간뇌(시상과 시상하부)에 공급되며, 경동맥의 주요 가지들은 중대뇌동맥과 전대뇌동맥에 분포되어 있다. 척추동맥은 측두엽, 두정엽의 중간 및 아래부위, 뇌간, 간뇌 일부에 공급하는 혈관들이 있는 기저동맥과 문합된다. 기저동맥의 주요가지는 후대뇌동맥들이다. 윌리스 환은 뇌의 기저에서 전, 중, 후 대뇌동맥과 2개의 교통동맥으로 이루어져 있다. 뇌혈류는 신경세포의 기능에 필요한 산소와 포도당을 공급하기 위하여 750mL/min 정도로 일정하게 자동적으로 유지되고 있으며 혈압과 이산화탄소량, 산소량 및 수소이온 농도 등의 변화에 따라 반응한다. 뇌혈류가 원활하지 않으면 신경학적 대사가 30초 이내에 변화하고, 2분 이내에 중단되며, 세포는 5분 이내에 파괴되기 시작한다. 뇌는 정상적으로 뇌의 자가조절기전에 의해 평균 수축기 동맥혈압이 50~150mmHg의 범위 내에서 변화가 있는데 이는 뇌를 일정하게 유지하려는 뇌혈류의 압력 변화에 대한 반응으로 뇌혈관의 직경에 변화가 나타나는 것이다. 뇌허혈 상태가 되면 자가조절 기전이 손상되어 뇌가 수축기 혈압에 따라 달라진다. 이산화탄소는 혈관확장제의 역할을 하여 동맥 이산화탄소 수치가 증가되면 뇌혈류량이 증가되고, 동맥산소압이 매우 낮거나 수소이온농축이 증가되면 뇌혈류량이 증가된다. 뇌혈류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수축기 혈압, 심박출량, 혈액의 점도이다. 출혈성 뇌졸중은 뇌혈관 장애의 원인과 유형에 따라 병태생리에 차이가 있으며 일...
참고 자료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http://www.snuh.org/main.do
삼성서울병원 질환백과, 삼성서울병원 http://www.samsunghospital.com/home/main/index.do
서울아산병원 질환백과, 검사정보, 서울아산병원 http://www.amc.seoul.kr/asan/main.do
김금순 외, 성인간호학1, 수문사, 2017, p50-51
송경애 외, 최신 기본간호학2, 수문사, 2017, p219-232
송경애 외, 간호중재와 간호술기, 수문사, 2017, p55-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