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수술 타임아웃"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수술실 타임아웃
1.1. 타임아웃의 정의
1.2. 타임아웃의 중요성
1.3. 타임아웃 수행 시 주의사항
1.4. 수술 부위 표시 방법 및 유의사항
2. 타임아웃 필수 항목
2.1. WHO 수술 안전 체크리스트(SSC)
2.2. 국내 병원의 수술 안전 체크리스트
3. 타임아웃 절차 및 환자 확인 사례
4. 타임아웃이 지켜지지 않은 사례 및 분석
4.1. 수술 부위 미표시로 인한 수술 부위 착오
4.2. 대상자 확인 절차 누락으로 인한 낙태 사례
5. 타임아웃 강화를 위한 개선 전략
6. 타임아웃이 잘 지켜진 사례
6.1. 고신대 병원의 타임아웃 수행률 증진 사업
6.2. 양산부산대 병원의 리더십 환자안전 라운딩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수술실 타임아웃
1.1. 타임아웃의 정의
수술실 타임아웃이란 병원에서 수술 환자의 안전을 위해서 환자가 병실로부터 수술실에 들어올 때, 그리고 수술실에서 마취를 시작하기 전에 수술 담당의사, 마취과 의사, 간호사가 함께 환자의 인적 사항, 수술부위, 수술명 등을 확인하는 절차이다. 이는 수술환자나 수술부위가 바뀌는 불행한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과정이다.
1.2. 타임아웃의 중요성
타임아웃의 중요성은 의료진 간 효과적인 의사소통과 환자 안전 향상에 있다. 의료분쟁 상담이 가장 많은 곳이 바로 외과, 수술실이었으며, 그 주된 원인은 "충분치 못한 의사소통"과 "안전지침 미수행" 등으로 밝혀졌다. 수술실 타임아웃은 잠재적으로 오류를 확인하고 교정하는 독립적인 확인절차인 동시에 의료진 간 소통의 도구이자 최종적 안전 확인 과정이다.
타임아웃을 통해 수술팀원들은 서로를 존중하고 팀의 동등한 구성원임을 자각하게 된다. 수술실 타임아웃은 환자의 정확한 정보와 수술 부위를 확인함으로써 잘못된 수술이나 수술 부위 착오와 같은 의료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이는 환자 안전 향상과 더불어 의료기관의 분쟁 예방 및 이미지 제고에도 기여한다. 따라서 타임아웃은 단순히 체크해야 할 절차가 아니라 의료진 간 소통과 환자 안전 문화 향상을 위한 필수적인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1.3. 타임아웃 수행 시 주의사항
타임아웃 수행 시 주의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수술팀을 구성하는 구성원은 수술의사, 마취의사, 수술간호사와 수술환자로 이루어진다. 둘째, 마지막 확인단계인 타임아웃은 수술절개 직전, 마취유도 직전에 시행한다. 셋째, 타임아웃은 수술이 행해지는 각 수술실에서 시행한다. 넷째, 타임아웃의 주요 확인 내용은 "정확한 수술환자, 정확한 수술부위, 정확한 수술과정(3R, Right Person, Right Site, Right Procedure)"이다. 다섯째, 수술팀원 중 1명을 주체로 정하여 타임아웃을 진행한다. 여섯째, 타임아웃 진행 시 구두의사소통을 통해 환자 확인내용에 오류가 있는지 말할 수 있도록 역할을 분담한다.""
1.4. 수술 부위 표시 방법 및 유의사항
안전한 수술 문화 정착을 위해서는 수술에 직접 참여하는 의사와 간호사의 적극적인 참여가 중요하다"" 수술실에서 수술 부위 표시 방법과 유의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수술 부위 표시는 수술에 참여하는 의사가 피부 소독에도 지워지지 않는 전용 펜을 사용하여 표시해야 한다"" 좌우 구분, 다중 구조, 레벨 구분이 필요할 경우 명확히 표시해야 한다"" 혼동을 방지하기 위해 'X'나 "No"를 사용하지 않는다"" 절개 부위와 가까운 부위에 'Both', 'Right', 'Left', 척추의 경우 척추 general level(예 L2)을 기록하여 명확히 표시해야 한다""
둘째, 수술 부위 표시 후에는 환자(의사소통이 어려운 경우 보호자)와 함께 수술 부위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한 수술 부위 표시 확인서를 작성하고 서명하도록 한다"" 동의서, 수술 스케줄 입력 시에도 수술 부위를 확인해야 한다""
이와 같이 수술 부위 표시 방법과 유의사항을 철저히 준수함으로써 수술 부위 착오를 방지하고 환자안전을 확보...
참고 자료
박정숙 외 3명, 수술실 타임아웃 프로토콜 개발 및 적용, 성인간호학회지 제20 , 제2호, 2008년
손유진 외 1명, 수술실 타임아웃에 대한 간호학생과 간호사의 지식, 중요성 인지 및 교육요구, 2015년, p.9
고신대학교 복음병원 회복실, ‘수술 전 확인 : 타임아웃 체크리스트를 이용한 타임아웃 수행률 증진’, <건강보험심사평가원>, QINewsLetter, 2014년 10월호 [제42호]
건양대병원, 환자 바꿔 수술 황당한 의료사고, <데일리메디>, 2006년 01월 14일 11시 38분(검색일자 : 2018.10.26.)
수혈사고, 경북대병원 O형 환자에 B형 투액… 최근 4년동안 35건, <머니S>, 2017.01.19 오후 1:31(검색일자 : 2018.10.26.)
이 병원이 멀쩡한 환자의 전립선을 절제한 이유, <허핑턴포스트코리아>, 2017년 11월 28일 05시 07분 KST(검색일자 : 2018.10.26.)
이 병원이 멀쩡한 환자의 전립선을 절제한 이유, <허핑턴포스트코리아>, 2017년 11월 28일 05시 07분 KST(검색일자 : 2018.10.26.)
[헬스&뷰티]수술, 무서웠죠?, <동아일보>, 2011.01.12 03:00:00(검색일자 : 2018.10.26.)
의료분쟁 조정 5년간 176억 배상, <파이낸셜 뉴스>, 2017.04.07 18:09 (검색일자 : 2018.10.30.)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수술 전 확인․타임아웃 체크리스트를 이용한 타임아웃 수행률 증진’ , 2014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서울아산병원의 수술 시 Surgical Safety Checklist 시행활동’, 2015
KOPS환자안전보고학습시스템, 수술전환자확인, 2017.07.27
안신애, 「수술실 간호사의 안전한 수술에 대한 의사소통 경험」, 서울대학교 간호과학 연구소, 2019
KOPS환자안전보고학습시스템, '수술 부위 착오로 다른 부위 수술' 환자안전 주의경보 발령, 2019.12.16.
KOPS환자안전보고학습시스템, WHO 수술 안전 점검표, 2019.03.21
국제뉴스, 「양산부산대병원, ‘리더쉽 환자안전 라운딩’실시」, 박영헌 기자, 2019.05.24
데일리메디, 「"환자 바꼈네" 황당 의료사고···진료현장 비일비재」, 박대진 기자. 2019.09.26
청년의사, 「엉뚱한 부위 수술 막으려면 ‘수술표시·타임아웃’ 중요」, 송수연 기자, 2019.12.16